[thebell interview]인크레더블버즈 "'수네코스' 바이오 스티뮬레이터 시장 게임 체인저"임신영 대표 "국내 하반기 허가 기대"
양귀남 기자공개 2025-06-10 15:36:33
이 기사는 2025년 06월 09일 14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수네코스는 바이오 스티뮬레이터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다. 기존에 영위하던 사업의 영업망을 활용해 빠르게 안착시킬 자신이 있다. 인크레더블버즈 역시 수네코스를 기반으로 실적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임신영 인크레더블버즈 대표(사진)가 지난 5일 더벨과 만난 자리에서 밝힌 인크레더블버즈의 비전이다. 인크레더블버즈는 지난해 새주인 맞이 후 본격적인 체질개선 과정을 진행 중이다.

휴먼웰니스가 지난해 인크레더블버즈를 인수해 최대주주 자리에 올랐다. 휴먼웰니스는 모티바코리아의 최대주주로 모티바코리아는 가슴보형물 유통 업체다. 모티바코리아는 가슴보형물 국내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새로운 먹거리로 점찍은 것이 바이오 스티뮬레이터 '수네코스'다. 수네코스는 특허받은 비가교 히알루론산과 아미노산 조합을 통해 피부 장벽을 재건하고, 콜라겐·엘라스틴 생성을 유도한다. 기존에 가교된 히알루론산 제품 대비 섬유화 부작용이 없고 염증 반응이 낮은 점이 특징이다.
수네코스는 이탈리아 프로페셔널 다이테틱스사가 제작한 바이오 스티뮬레이터다. 인크레더블버즈는 국내를 비롯한 아시아 지역과 미국에서 제품 유통과 판매를 담당할 예정이다.
임 대표는 "수네코스는 이미 유럽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고 있다"며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허가를 받았고, 국내는 현재 허가 심사 중이며, 하반기 내 마무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크레더블버즈는 수네코스에 대해 홍콩과 베트남 등에서 등록 및 허가를 완료했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등 주요 아시아 국가에서의 허가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이어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증 취득 역시 추진하고 있다.
국내 시장 확장을 위해서는 기존에 확보한 유통망을 활용할 예정이다. 모티바코리아는 지난 2014년 설립돼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가슴보형물 유통 사업을 영위했다. 이미 업력이 10년이 넘은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구축한 병·의원 네트워크가 수네코스의 안착에 기여할 수 있는 상황이다.
임 대표는 "가슴보형물 사업에서 확보한 유통망을 통해 국내 바이오 스티뮬레이터 시장 장악은 크게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국내 시장 뿐만 아니라 글로벌 바이오 스티뮬레이터 시장 점유율 확대에 목표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올해 50억원 이내의 매출액을 예상하고 있고, 오는 2027년까지 보수적으로 책정해도 200억원의 매출액을 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인크레더블버즈의 핀테크 플랫폼 '강남오빠'와의 연계를 통한 서비스 제공도 앞두고 있다. '강남오빠'는 미용 목적의 대출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기반 자금 서비스로 수네코스의 접근성 확대 측면에서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인크레더블버즈는 수네코스를 통한 구조적 성장과 더불어 차기 먹거리에 대한 투자 역시 병행하고 있다. ARMR Science라는 미국 법인 투자 사전 검토 단계에 있다. ARMR Science는 펜타닐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업체로 알려져 있다. 인크레더블버즈는 약 139억원 규모의 지분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임 대표는 "상장사 인수 후 여러 상황 속에서 회사는 안정적으로 체질 개선을 진행하고 있다"며 "올해 본격적으로 수네코스를 통해 성장 궤도에 올라설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양귀남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에이루트 자회사, 반도체 미세공정용 장비 시장 진출
- [i-point]경남제약, 감기약 '세다큐업 시리즈' 3종 출시
- [거래재개 노리는 코스닥사]'회생 포기' 시스웍, 더테크놀로지 거래정지 '유탄'
- [현장 스토리]포니링크 "자율주행 플랫폼 사업 착실히 준비"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기습 매각' 옵티코어, 대부업자 새주인 '눈길'
- '반년만에 매각' 더바이오메드, 사업 기조 유지 '방점'
- [i-point]에이루트 자회사, 중국 제조사에 반도체 장비 독점 공급
- [지배구조 분석]에스앤더블류 승계 마무리 수순, 실리 챙긴 오너
- [지배구조 분석]퓨트로닉, 1년만에 우수AMS 대주주 등극…인수 가능성 '촉각'
- [코스닥 오버행 리스크 체크]'잠재물량 260%' 오늘이엔엠, CB 향방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