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6월 19일 07시00분 THE BOARD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쉽게 답하기 어렵네요." 국내외 기업 지배구조를 연구하는 전문가에게 기업인을 사외이사로 선임하는 게 적절한지 묻자 돌아온 답변이다. 그는 특정 직업군에 치우치지 않는 균형과 다양성을 언급했다. 속 시원한 대답은 아니었다.올해 재계 트렌드는 전·현직 기업인 사외이사 확대다. 한화갤러리아는 사외이사(3명)를 모두 현직 대표급 임원으로 재편했다. 이태호 삼천리 대표, 이존우 알스퀘어 대표이사, 송지혜 마녀공장 대표이가 사외이사진이다. 교차 이사 선임이 이사회 운영 전략으로 자리 잡은 미국이라면 모를까 국내에선 흔치 않은 일이다.
그동안 국내 기업들은 학계, 법조인, 전직 관료를 중심으로 사외이사를 선임했다. 독립성과 네트워크 확보에 초점을 뒀다. 실무·현장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에게 듣는 실용적 조언을 기대하기 어려운 구성이다.
최근 최고경영자(CEO)를 지낸 이를 사외이사로 영입한 기업의 기존 사외이사를 만나 속 얘기를 들어봤다. 가장 큰 변화는 사외이사 단톡방에서 나타났다. CEO 출신 사외이사의 추가 자료 요청 문의로 카톡방이 활기를 띤다고 했다.
CEO 마인드를 지닌 신참 사외이사는 존재 자체로 자극제 역할을 했다. 큰 그림을 먼저 그리는 시각도 이사회에 보탬이 됐다. 단기 성과 압박에서 자유롭지 못한 대표이사와 달리 CEO 출신 사외이사는 보다 장기적 안목에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이사회 벤치마킹 효과도 나타나고 있었다. 쟁점 의안을 논의할 때 기존 사외이사들이 CEO 출신 신임 사외이사에게 과거 CEO 시절 이사회에서는 어떻게 했는지를 물었다. 여러 곳에서 법률 검토를 받은 의안이라도 결정이 쉽지 않을 때 다른 그룹 사례까지 참고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졌다.
올해 정기 주주총회 때 사외이사로 합류한 기업가들이 상견례와 첫 이사회 일정을 마쳤을 시기다. 달라진 이사회 풍경들도 속속 목격된다. 지배구조 전문가도 섣불리 예측하지 못했던 이들의 진가가 경영 성과로 발현될지 궁금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
- [thebell note]쪼개면 독립적일 거란 착각
- [thebell note]안준형 오아시스 대표의 티몬 살리기
- [thebell desk]'완전 무죄' 이재용의 길
- [2025 더벨 M&A 포럼]"크레딧 투자, 하방 방어에서 산업별 맞춤 전략으로 진화"
- FI 돈 안 갚는 대기업
- [thebell note]'유령섬' 벗어려나려는 거북섬
- 주주라는 이름의 무게
- [thebell note]나보타의 신화, 인보사의 진화
- [thebell note]100년 보험사가 생기려면
- [thebell interview]"CEO·CFO에게 수시로 조언하고 피드백 전달"
김형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interview]"CEO·CFO에게 수시로 조언하고 피드백 전달"
- [thebell interview]"넥센타이어 이사회에 내부토론 확산 DNA 이식"
- '자사주 소각 의무화' 입법 둘러싼 쟁점은
- [텐센트 투자 기업]부사장급 임원 파견, 장기 재직하며 의안 표결 참여
- [지배구조 분석/셀트리온]외부 조달로 지배력 늘리는 홀딩스
- [thebell note]한화그룹 민간 외교가 맺은 결실
- [이슈 & 보드]KCC, EB 리파이낸싱 이견 없었던 이유
- [상법개정, 패러다임 시프트]독립이사 비율 상향, 구인난 대비해야 하는 중견사
- [피플 & 보드]태광산업, 안효성 사외이사 첫 반대 소신 행보
- [Board Change]동양생명·ABL생명, 신임 이사진 신한라이프 출신 주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