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interview]에이아이트릭스, 바이탈케어 외부검증 의미 "범용성 확인"심태용 CMO "단일 시점아닌 연속패턴 분석, 맞춤 위험도 제공"
김찬혁 기자공개 2025-06-23 09:10:18
이 기사는 2025년 06월 20일 11시1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병원 병동에서 하루 종일 울려대는 환자 상태 경고음. 하지만 대부분이 실제 위험하지 않은 오경보다. 이로 인해 의료진들이 알람에 둔감해져 정작 중요한 신호까지 무시하거나 늦게 반응하는 경우가 발생한다.에이아이트릭스의 환자 상태 악화 예측 솔루션 '바이탈케어(AITRICS-VC)'는 이 같은 오경보 문제의 대안으로 주목받는다. 최근 효과에 대한 명확한 근거도 외부 검증을 통해 확인했다.
기존 조기경보 시스템은 단순히 현재 시점의 혈압, 맥박 등 생체신호만으로 위험도를 계산기 때문에 정확도에 한계가 있다. 반면 바이탈케어는 생체신호 연속패턴과 혈액 검사 등을 통해 오경보를 67% 줄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더벨은 심태용 에이아이트릭스 최고의료책임자(사진)를 만나 바이탈케어에 대한 기술력과 외부 검증의 의미를 들어봤다.
◇외부 검증서 오경보 67% 감소·정확도 42% 향상 입증
의사 출신으로 미국에서 임상 경험을 쌓았던 심 CMO. 최근 국제학술지 'Acute and Critical Care(ACC)'에 게재된 바이탈케어의 외부 검증 연구 결과에 대해 "학습된 환경 외에서의 성능"을 입증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AAC는 대한중환자의학회가 발행하는 저널로 중환자의학 분야에서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해당 연구의 핵심은 '외부 검증'이다. 일반적으로 AI는 학습한 데이터와 비슷한 환경에서만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바이탈케어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데이터로 학습됐음에도 전혀 다른 병원인 계명대 동산병원에서 높은 성능을 유지했다.

연구 결과 바이탈케어는 일반 병동 입원 성인 환자 6039건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기존 조기경보 점수 체계인 NEWS(National Early Warning Score), MEWS(Modified Early Warning Score)와 비교해 급성 중증 이벤트 발생 예측에서 약 42%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오경보 발생은 67% 감소시켰다.
이는 바이탈케어가 국내외 다양한 의료기관으로 확산할 수 있는 기술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바이탈케어는 2025년 4월 기준 국내 100개 병원, 약 4만5000개 병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심 CMO는 "일반 병동에서 환자의 중증 악화, 즉 예기치 못한 중환자실 전실, 심정지 또는 사망을 최대 6시간 전에 예측해주는 AI 모델은 의료진이 위험 환자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며 "산소나 약제 투여, 중환자실 전실 등 선제적인 대응을 할 수 있어 환자의 생존율과 업무 효율이 동시에 향상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말했다.
기존 의료 현장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인 오경보에 대한 해결책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바이탈케어는 불필요한 알람을 대폭 줄여 알람 피로를 완화시켜주고 신속대응팀이 실제 고위험군 환자에 집중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위험 예측 통해 의료진 조기 중재 가능, 다기관 연구·확장 계획도
낮은 오경보 비율과 높은 정확성은 근본적인 검사 방식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전통적인 조기경보 시스템들은 단일 시점 생체신호만을 이용해 점수를 계산하지만 바이탈케어는 연속적인 패턴을 활용한다. 이는전통적인 점수 체계보다 정확하고 선제적으로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는 강점으로 이어진다.
심 CMO는 "NEWS, MEWS 같은 기존 시스템은 간단한 규칙 기반으로 점수를 계산하는 반면 바이탈케어는 생체신호의 연속적인 패턴과 함께 선택적인 혈액검사도 이용한다"며 "환자별 맞춤 위험도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에이아이트릭스는 다기관에서 시행한 바이탈케어 연구에 관한 논문 출판도 앞두고 있다. 또 중환자실용 제품 연구도 진행하고 있고 응급실 등 다른 병동으로의 확장도 추진할 계획이다.
그는 "외부 검증의 본질적인 목적은 모델이 다른 환경에서도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라며 "이번 연구에서 학습 병원이 아닌 외부 기관에서도 높은 성능이 유지됨을 보여줌으로써 다른 병원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근거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엔알비 IPO]모듈러 첫 상장 사례, 공모가 최상단 확정
- [i-point]손오공, 김득명·차현일 투톱체제 가동
- [i-point]넥스턴바이오, 자회사 롤코리아와 소규모 합병 진행
- [닷 IPO]세계 최초 '촉각 디스플레이' 기술성 평가 합격점
- [i-point]채비, 고객 리텐션 강화 '구독 멤버십 프로모션'
- [CFO & Credit]송기호 CFO, 효성화학 상장유지 급선무…'자산매각 러시'
- 티엘아이-원익디투아이 합병철회…상법 이슈 때문?
- [그룹 & 보드]넷마블 김병규·도기욱, 국내외 계열사 전반 '영향력 확장'
- [GS의 CFO]GS 이태형 부사장, 포트폴리오 재편 '조타수'
- [한화의 CFO]신용인 한화오션 실장, 재무·수익 함께 잡은 재무통
김찬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interview]퓨쳐켐, 전립선암 치료제 기술수출 핵심 'PFS 확보' 전력
- [지투지바이오 IPO]'CDMO' 러브콜에 기대, 비마약성 진통제 자체개발 재검토
- 퓨쳐켐, '듀켐바이오' 의식 전립선암 진단제 빠른 허가 신청
- 리가켐바이오 김용주의 숙원 '항생제' 3상 파트너 찾는다
- 유한양행, 투자법인 '휴이노' 협업 환자 모니터링까지 확대
- [Sanction Radar]알테오젠 마지막 퍼즐 '생산' 트럼프에 중단된 오리온 협업
- 에이비엘바이오, '인투셀 ADC 키맨' 문성주 CSO 영입
- '상업 생산' 앞둔 알테오젠, 종합바이오 도약 '전열' 구축
- [2025 상반기 제약바이오 마켓리뷰]CNS 일리미스 600억 펀딩 기염…뷰티·의료 '종목 다양화'
- 이뮨온시아, 'IMC-001' CSR 완료 '국산 면역항암제' 성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