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GM리콜 충당금 리스크 '일단락' 3분기 영업익 50% 감소, 충당금 4800억 선반영 영향…"추가 설정 가능성 제한적"
손현지 기자공개 2021-10-13 08:09:19
이 기사는 2021년 10월 12일 15:51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전자가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미국 제너럴모터스(GM) 리콜사태 관련한 충당금을 선반영하면서 영업이익이 시장 컨센서스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다만 추가적인 리콜 비용 설정 가능성이 제한적인 상황이라 충당금 리스크가 해소됐다는 평가를 받는다.12일 LG전자는 3분기 잠정실적 발표를 통해 연결기준 매출액 18조7845억원, 영업이익 5407억원이 집계됐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역대 분기 매출 가운데 최대 수준으로 전년 동기(16조9196억원) 대비 22.0% 증가한 수준이다.
다만 영업이익은 GM '쉐보레 볼트EV' 리콜과 관련한 충당금 반영으로 인해 전년 동기( 9590억원) 대비 49.6% 줄었다. LG전자는 회계기준에 따라 3분기 실적에 4800억원 규모의 충당금을 추가 반영했다.
영업이익은 시장의 컨센서스 절반에 불과한 수준이다. 당초 증권업계에서는 3분기 매출 18조원 이상, 영업이익은 1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LG전자 관계자는 "현 시점에서 발생 가능한 상황들을 합리적으로 추정해 산정했기 때문에 충당금 추가 설정은 매우 제한적일 것"이라며 "충당금 리스크가 해소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LG전자는 당사자는 아니지만 배터리 팩(Pack) 공급계약 당사자로서 책임을 분담하기로했다. GM은 현지에서 볼트EV 화재가 잇달아 발생하자 작년 11월 자발적으로 리콜을 결정했다. 리콜비용으로 8억달러를 반영했는데, 이를 그룹사인 LG에너지솔루션에서 배터리 결함과 관련한 책임을 떠안게 됐다.
앞서 2분기에도 GM리콜 사태와 관련 2346억원의 충당금을 선반영했다. GM이 반영한 리콜비용(약 9200억원)의 4분의 1 수준이다. LG화학의 충당금(910억원)보다 훨씬 많은 수준이었다. 그 여파로 2분기 영업이익을 기존 1조1127억원에서 8781억원으로 정정공시하기도 했다.
LG전자는 초기 생산분에 대해선 모듈(Module)과 팩을 전수 교체하는 쪽으로 단행해왔다. 최근 생산분에 대해선 진단 SW를 활용한 모듈 선별 교체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리콜 진행 과정에서 비용 규모는 변동 가능성도 남아있다.
3분기 영업이익 감소분에는 휴대폰 사업 철수도 영향을 미쳤다. LG전자는 올 7월 말 MC사업본부 실적을 중단영업손실로 처리했다.

LG전자의 3분기 매출은 생활가전(H&A)과 홈엔터테인먼트(HE)부문이 주도했다.
LG전자 관계자도 "잠정실적 발표에선 부문별 실적을 공개하지 않고 28일 실적발표에서 공개될 것"이라며 "다만 이번 3분기엔 TV와 오브제컬렉션 시리즈의 흥행이 전체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작년부터 이어진 코로나19 장기화로 공간인테리어 가전 '오브제컬렉션'이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다. 늦더위로 인해 에어컨 판매도 늘었다. 증권가는 생활가전(H&A) 부문은 매출 6조원대 후반, 영업이익 5000억원 안팎으로 전망하고 있다.
HE부문 담당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의 글로벌 점유율도 크게 늘었다. 재택근무가 늘면서 최상위 프리미엄 제품 판매율이 급증한 것이다. HE 매출은 4조원대 중반으로 추정된다. 미국시장에서 주택 경기 회복세에 따른 가전 수요 확대에 힘입어 미국의 월풀을 제치고 글로벌 생활가전 1위 자리를 수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장(VS) 사업은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여파로 적자기조가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VS 부문은 반도체 칩의 공급 차질로 자동차 OEM 생산 감소로 실적 부진이 전망된다"고 말했다.
LG전자는 모바일(MC)사업 철수와 함께 VS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밀고 있는 사업이다. 올해도 VS분야에만 6138억원 투자를 집행해 5년 누적 투자 규모만 4조원을 돌파했다. 2017년 5878억원, 2018년 1조7189억원, 2019년 6293억원, 2020년 4721억원을 투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스와니코코, 네이버쇼핑 인기 검색어 1위 달성
- 설립 5년 코메스인베, AUM1600억…올해 600억 결성
- [VC 투자기업]제이제이앤컴퍼니스, 해양플랜트 솔루션 활용 북미 진출 시동
- 오리엔트바이오, 1분기 흑자전환…'분기최대 영업익'
- 신금투, 주관계약 '10년차' 대성하이텍 결실맺었다
- 투자 혹한기 뚫은 직방, 1500억 자금 조달 뒷배는 '산은'
- [원전산업 체인 점검]오르비텍, 매출 성장 비결 'HP·ISI 양쪽 날개'
- NHN, 자사주 소각으로 주주환원 빅스텝
- SK텔레콤, 5G 리더십·플랫폼 다 잡았다
- 하나마이크론, 비메모리 테스트·기술 전문성 확장에 방점
손현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위메이드, IR 동분서주…'뉴욕·런던 넘어 중동으로'
- 넷마블, '글로벌 파이오니어' 꿈 정중동
- [게임사 투자유치 전략]엔씨소프트, 긴호흡으로 장기투자자 노린다
- [엔데믹시대, 가전업 재고 리스크 점검]SK매직, 재고 건전성 레벨업 '평가충당금 축소'
- [게임사 투자유치 전략]K-게임 눈뜬 투자자 잡아라…IR 역량 키우는 게임사들
- [엔데믹시대, 가전업 재고 리스크 점검]코웨이, 오차범위 10% 이내 수요예측 노하우 '빛'
- [엔데믹시대, 가전업 재고 리스크 점검]LG전자, 원재료 평가충당금 줄이기 안간힘
- [Company Watch]LG전자, TV시장 위축 직격탄…아쉬운 영업이익률
- 'LCD 마지막 플레이어' LG디스플레이의 전략은
- [ESG 모니터/LG전자]'이사회 역량지표' 첫 공개…지배구조 자신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