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3사 C레벨 분석]LG에너지솔루션 'CFO 2막 앞둔' 이창실 전무③IPO로 12조 실탄 확보, 효율적 운용 중책...성공 시 그룹 내 역할 확대 가능성
조은아 기자공개 2021-12-24 07:26:37
[편집자주]
2021년 전기차 배터리 산업은 재계에서 가장 뜨거운 산업군이었다. 더불어 국내 두 메인 기업들이 분쟁을 종결하고 본격적인 외형 확장에 나선 시기이기도 하다. 완성차 업체들의 내재화 이슈와 해외 경쟁업체들의 외형 확장 등 위험 요소가 커지고 있지만 업계 대부분은 여전히 배터리 산업은 '개화기'라는 점에 공감한다. 2022년은 배터리 3사가 본격적인 확장에 나서는 시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지위 선점의 '골든 타임'에 진입하는 만큼 이 시기를 이끌 각 사별 핵심 인물들도 관심사다. 배터리 3사의 C레벨 임원들을 더벨이 분석했다.
이 기사는 2021년 12월 21일 15:23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해 12월 LG에너지솔루션이 출범할 때 CEO(최고경영자) 못지않게 관심을 모은 자리가 있다. 바로 최고재무책임자(CFO)다. LG에너지솔루션이 기업공개(IPO)와 함께 대규모 투자를 예고했던 만큼 신설법인의 '곳간지기'에도 자연스레 시선이 몰렸다.LG에너지솔루션의 CFO를 맡고있는 이창실 전무(사진)는 LG전자 출신이다. 2019년 10월 전지부문 경영관리담당 상무로 선임되며 LG화학으로 이동했다. 한달 뒤 정기인사에서 전무로 승진했고 지난해 12월부터는 LG에너지솔루션의 CFO를 지내고 있다.
이 전무가 LG화학으로 이동했을 때부터 앞으로 LG화학의 전지사업과 관련해 중책을 맡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안팎에서 나왔다. 이 시기 이미 내부적으로 분사 논의가 이뤄지고 있었던 만큼 신설법인 독립, 추후 기업공개까지 염두에 둔 인사라는 해석이다.

이 전무는 현재 LG에너지솔루션 이사회에도 참여하고 있다. 권영수 대표이사 부회장과 함께 사내이사를 맡고 있다. 전체 이사회 구성원 7명 가운데 사내이사가 2명밖에 없다는 점을 볼 때 LG에너지솔루션 내부에서 그만큼 CFO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가 기업공개를 본격적으로 준비하는 1막이었다면 이제 곧 CFO로서의 2막을 앞두고 있다. 내년 1월 말로 예정된 기업공개가 마무리되면 이 전무의 역할은 한층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효율적인 자금 운용과 재무건전성 유지라는 무거운 과제를 안게 된다.
전기차 배터리 업계는 하루가 멀다하고 증설 발표가 이어지고 있다. 생산능력 목표를 몇 달 만에 다시 높여 제시하는 일도 드물지 않다. LG에너지솔루션 역시 가파르게 증가하는 2차전지 수요에 대응해 증설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중이다. 3년 동안 9조원을 투자해 시장에서 확실한 주도권을 잡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기업공개를 통해 대규모 자금을 확보한다해도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배터리사업은 매출 대비 원가 비중이 높은 사업이다.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단가를 올리기 쉽지 않고 수익성 역시 악화되기 쉽다.
LG에너지솔루션이 아직 적자 기업이라는 점에서 이 전무의 어깨는 한층 무거울 것으로 보인다. LG에너지솔루션은 3분기 SK이노베이션으로부터 1조원을 받았는데 이를 제외하면 사실상 적자다.

이창실 전무가 주목받는 이유는 또 있다. LG그룹은 전통적으로 재무통을 중용한다. 위기관리가 기업의 핵심 역량으로 떠오르면서 어느 그룹에서나 재무통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LG그룹은 특히 재무통의 활약이 돋보인다. 권영수 부회장과 정호영 LG디스플레이 사장, 김영섭 LG CNS 사장 등은 모두 CFO 출신이다.
LG그룹은 정기인사에서 CFO나 CHO(최고인사책임자)가 직책은 유지하면서 다른 계열사로 이동하는 일이 많은데 이창실 전무는 LG에너지솔루션을 발판삼아 LG화학이나 LG전자 등 규모가 큰 계열사의 CFO로 중용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전무는 1964년생으로 경희대 산업공학과를 졸업하고 핀란드 알토대에서 MBA 석사학위를 받았다. 산업공학과 출신으로 제품 기획과 개발 쪽에도 정통하다는 평가다. 최근 들어 재계에서 산업공학과 출신들이 약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눈에 띈다. 현재 ㈜LG의 COO(최고운영책임자)를 맡고있는 권봉석 부회장, SK㈜의 장동현 부회장이 모두 산업공학과를 나왔다.
경력을 살펴보면 줄곧 LG전자에서만 몸담았다. 1988년 LG전자에 입사해 생산관리, 기획, 재무 관련 부서를 두루 거쳤고 IR 및 M&A도 지휘했던 경험이 있다. 특히 이 전무가 한때 맡았던 IR담당은 매 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할 때마다 앞에 나서서 기업의 실적을 시장과 투자자들에게 설명하는 직책이다. 소통능력이 검증된 재무 분야 간판 인사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Rating Watch]넷마블, 2년만에 AA '반납'…주범은 '고정비 상승'
- NH증권, IPO 부서장 파격 인사 '80년대생 반란'
- [IPO 모니터]새빗켐, 보수적 피어그룹...'2차전지 기업' 딱 한곳
- SK에코플랜트, CPS 포함 '1조' 프리IPO 성사
- 'GS이니마 품은' 글로벌워터솔루션, K-IFRS 적용
- [디벨로퍼 열전]DS네트웍스, 옛 KT강동지사 주거 개발 '돌입'
- SK디앤디의 '넥스트 이야기'
- LH, 재무위험기관 선정 될라 '노심초사'
- [증권사 부동산금융 전략 점검]미래에셋증권, 실물자산 줄이고 NPL 투자 비중 확대
- '주총 불참' 구미현, 공동지분 매각 조항에 발목 잡혔나
조은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SDI가 움직인다]배터리 삼국 시대, '재무통' 최윤호 사장의 역할은
- [삼성SDI가 움직인다]다시 원통형으로? 테슬라 4680배터리 주목
- 일진머티리얼즈 흥행 먹구름, LG화학도 불참 가닥
- [삼성SDI가 움직인다]'기술 초격차' 강조, 연구개발비 배터리 3사 중 최다
- [삼성SDI가 움직인다]'질적 성장론' 언제까지 유효할까
- [이사회 모니터/SK㈜]경영계획 및 KPI 수립도 ESG에서 맡는다
- [삼성SDI가 움직인다]이재용 삼성 부회장의 작심 발언, 배터리 사업 함의는
-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의 무기 '조인트벤처'
- SK온과 손잡은 포스코그룹, 협력관계 어디까지?
- 티케이케미칼, 돌고돌아 다시 '내부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