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시장 타격' 엠플러스, 1600억대 수주잔고 '회복 신호탄 쏜다' '대손 처리' 악재로 적자 전환, 해외시장 확장 기조 '반등 기반'
윤필호 기자공개 2022-02-17 08:12:15
이 기사는 2022년 02월 15일 13:2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2차전지 장비업체 엠플러스가 지난해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 주요 고객사들의 투자 지연으로 전체 매출이 감소했고, 장비를 납품했던 중국 업체로부터 대금을 받지 못해 대손처리를 하면서 수익성도 악화됐다. 하지만 최근 수주 회복세를 보이고 수주 잔고도 1600억원대로 확대하면서 반등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엠플러스는 파우치형 2차전지 조립공정 장비를 생산하며 국내 핵심 고객사인 SK이노베이션를 비롯해 해외 유럽, 중화권 고객사에 납품한다. 조립공정 자동화 시스템 개발에 성공해 턴키(Turn-Key) 방식으로 수주를 진행해 시장을 확장했다. 최근 전기차 시대가 본격화에 따라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남달랐다.
하지만 국내외 시장에서 각종 위기를 마주했다. 해외에서는 중국의 일부 2차전지 업체들이 코로나19 여파와 보조금 축소 등으로 경영에 차질을 빚으면서 악재로 작용했다. 엠플러스는 중국 업체에 장비를 납품하고도 오랜 기간 대금을 회수하지 못했고, 결국 지난해 일부 대손 처리하면서 손실을 감내했다.
국내 시장에서도 대형 고객사 간의 소송전 등으로 오랜 기간 투자가 지연되면서 수주 감소로 이어졌다. 매출은 감소한 반면, 비용 부담은 커졌다. 세계적인 물류 대란 등으로 원자재 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다. 여기에 시장 확장을 필요한 인력 확충으로 인건비도 상승했다.
이런 상황에서 실적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대비 52% 감소한 765억원에 그쳤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130억원, 당기순손실 109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그동안 사업이 부진하더라도 흑자를 놓친 적 없었기에 이번 적자는 충격이 남다르다.
실적 악화는 재무 지표에도 영향을 미쳤다. 계약 체결 이후 계약금과 중도금을 부채로 잡는 수익 구조에서 중국 악재가 터지자 지난해 말 부채총계가 전년 말 대비 49% 증가한 1224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영업손실에 따라 같은 기간 자본총계는 10.2% 감소했다. 이에 부채비율은 2020년 말 139.9%에서 지난해 말 232%로 상승, 200%를 넘겼다.

다만 지난해 각종 홍역을 치렀지만 올해 상황은 다르다. 엠플러스는 수익을 다시 늘려 실적 반등을 꾀하겠다는 계획이다. 위기에서도 지속적으로 국내외 영업 활동을 강화하면서 수주를 따내고 반등의 기반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이런 자신감은 수주잔고에서 찾을 수 있다. 장비 사업은 통상 계약을 체결하고 납품까지 10개월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에 전년도 수주 성과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엠플러스의 수주잔고는 지난해 11월 12일 기준 1675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매출로 반영되면 지난해 두 배 이상의 실적을 기록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올해 초까지 따낸 수주까지 일부 수익으로 잡히면 2000억원대 매출까지도 기대해 볼 수 있다.
그동안 어려운 상황에서도 해외 시장 확장 기조를 유지했다. 해외 시장 강화 차원에서 지난해 8월 미국 조지아주에 법인을 설립했다. 기존 고객사 기술 지원 등을 강화하고 현지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전기전자 기업 지멘스와 협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단순한 상호 기술 협력에 그치지 않고 영업까지 고려한 결정이라는 분석이다.
엠플러스 관계자는 "지난해 중국에서 코로나19 영향으로 사업성이 악화되면서 오랜 기간 대금 회수를 못하는 경우가 발생했고 결국 대손 처리하면서 실적 부진으로 이어졌다"면서 "어려운 상황에서도 영업을 강화했고 수주를 꾸준히 늘리면서 잔고를 충분히 확보한 덕분에 올해 매출은 일정 수준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스와니코코, 네이버쇼핑 인기 검색어 1위 달성
- 설립 5년 코메스인베, AUM1600억…올해 600억 결성
- [VC 투자기업]제이제이앤컴퍼니스, 해양플랜트 솔루션 활용 북미 진출 시동
- 오리엔트바이오, 1분기 흑자전환…'분기최대 영업익'
- 신금투, 주관계약 '10년차' 대성하이텍 결실맺었다
- 투자 혹한기 뚫은 직방, 1500억 자금 조달 뒷배는 '산은'
- [원전산업 체인 점검]오르비텍, 매출 성장 비결 'HP·ISI 양쪽 날개'
- NHN, 자사주 소각으로 주주환원 빅스텝
- SK텔레콤, 5G 리더십·플랫폼 다 잡았다
- 하나마이크론, 비메모리 테스트·기술 전문성 확장에 방점
윤필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원전산업 체인 점검]'주강품 장인' 대창솔루션, 원전 해체시장 개화 기대
- '친환경 행보' CBI, 전기밴 K1V로 ESG경영 나섰다
- [원전산업 체인 점검]'유연한 전략' 우리기술, 하반기 특수선박 건조 가시화
- [원전산업 체인 점검]탈원전 위기 버틴 우리기술, 기반은 '원천기술'
- 피엔에이치테크, 고부가 전략 통했다 'OLED 채택률 상승'
- 세종메디칼 "제넨셀,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인도 환자모집' 개시"
- 한컴라이프케어, 시스템 전문기업 '유비마이크로' 인수
- [코스닥 CB 프리즘]'콜옵션 100%' 켄코아, 에이원자산 '파트너십' 확인
- 로보티즈, '서비스로봇' 공급 2024년까지 30배 늘린다
- [코스닥 CB 프리즘]'FSS사업 양산 눈앞' 켄코아, 100억 조달로 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