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이엔지, 사업부문 동반성장 속 흑자 전환 1분기 영업익 29억 달성, 수주 확대·판가 인상 영향…"신규 공장·생산라인 일원화"
신상윤 기자공개 2022-05-17 11:11:58
이 기사는 2022년 05월 17일 11:11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성이엔지가 제품 가격 상승 등에 힘입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유가증권 상장사 신성이엔지는 올해 1분기(연결 기준) 매출액 1379억원, 영업이익 2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83%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클린환경(CE) 사업부문이 외형 성장을 견인했다. 클린환경 사업부문은 매출액 1088억원, 영업이익 2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84%, 영업이익은 44% 증가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바이오 제조시설 등에 필수인 클린룸 사업부문을 지속적으로 수주한 데 힘입었다. 2차전지와 드라이룸 등 해외 매출도 증가하면서 실적을 견인했다.

이와 관련 신성이엔지는 최근 충청북도 증평군에 207억원 투자를 결정했다. 산업환경설비를 생산할 공장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산업 시설 내 제조 환경을 쾌적하게 만드는 제품들을 생산한다. 이 공장을 통해 환경 토탈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제품 생산과 판매가 본격화되면 매출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재생에너지(RE) 사업부문은 매출액 291억원, 영업이익 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7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흑자 전환은 8개 분기 만이다. 이는 태양광 모듈의 판가 인상 등으로 제품 가격에 반영하면서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신성이엔지는 올해 1분기 태양광 모듈 제조시설을 전라북도 김제로 통합했다. 생산 및 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다. 김제 공장은 연간 800㎿ 규모의 태양광 모듈 생산 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500W 이상의 고출력 제품과 친환경 모듈 등 핵심 제품을 생산한다. 공장가동률이 기존 35%에서 최근 70~80% 수준으로 증가해 고객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신성이엔지 관계자는 "각 사업부 신규 수주가 이어지면서 흑자 전환 등에 성공한 가운데 올해 2분기도 좋은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며 "신규 공장 준공과 생산라인 일원화 등 급증하는 고객 수요에 대응하고 있는 만큼 괄목할 만한 실적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에디슨이노 "600억 CB 납입 차질 없다"
- [Korean Paper]한국가스공사, 글로벌본드 '북빌딩' 연기
- [IPO 그 후]알비더블유, FI발 '오버행' 이슈 끝났다
- 네오네시아, 매출 1조 찍고 2024년 IPO 목표
- [특례상장 주관사 성적표]나노씨엠에스, 안정적 매출...'해외 잭팟'은 불발
- 대한항공, 'A 등급' 복귀는 아시아나 인수 이후로
- 삼척블루파워, 나신평마저 등급 강등…ESG '직격탄'
- 가상자산 '한지붕 여러 협의체'…축소된 협회 영향력
- KT, 물류 영역 확장…'모빌리티 밸류체인' 구축 첫발
- 이수페타시스, 글로벌 서버용 PCB 시장 재편에 성장 '탄력'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글로벌텍스프리 "해외 법인 회복, 하반기 실적 기대"
- 에스엘바이오닉스 "우성인더스트리 합병 차질 없어"
- 소니드, 자회사 '이그잭스디엑스' 잔여 지분 전량 확보
- 'BW 7전8기' 한창, 자금 조달 9부 능선 넘었다
- [에쿼티스퍼스트 포커싱]환매조건부매매, 회색지대에 놓인 '유가증권'
- THQ 새 주인 '휴림로봇', FI 엑시트 구조까지 마련
- 국보 "美 레드힐, 600억대 라이선스·로열티 현금 확보"
- [에쿼티스퍼스트 포커싱]변동성 큰 한국 시장, 틈새 노린 '델타 헤징' 전략
- 국보 "MOA '썬로이' 태국 뷰티 시장 진출"
- [에쿼티스퍼스트 포커싱]끊이질 않는 오너가 발길, 2년새 3700억 오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