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켐바이오 IPO In-depth]시장 악재 못 버텼다…수요예측 흥행실패, 신사업 빨간불공모가 8000원 불과, 공모밴드 입성 실패…시설 확충 지연 ‘불가피’
김성아 기자공개 2024-12-10 08:26:56
[편집자주]
IPO(기업공개)를 준비하는 바이오텍이 넘어야 할 관문은 기술성평가, 상장예비심사 뿐만이 아니다. 증권신고서를 통해 기업가치를 평가하고 공모가를 산정해 투자자들과 조율하는 과정도 거쳐야 한다. 얼마나 매력적인 회사인지 회사는 숫자로 입증해야 하고 투자자들은 정량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더벨은 바이오텍의 이 같은 상장 과정을 따라가며 성장전략과 위험요소를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12월 09일 19시0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연내 기업공개(IPO)에 도전한 몇 안되는 바이오 흑자 기업, 알츠하이머 신약 ‘레켐비’ 국내 출시로 인한 매출 확대 효과. 여러 모멘텀에도 불구하고 듀켐바이오는 시장을 설득하지 못했다.대외불안 등 환경을 고려해 보수적인 밸류 측정을 제시했지만 시장은 생각보다 더 차가웠다. '비상계엄령 선포'라는 생각지 못한 악재까지 터지면서 투심은 더욱 악화됐다. 듀켐바이오는 확 쪼그라든 공모자금으로 신사업을 진행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였다.
◇밴드하단보다 34.95% 낮은 공모가, 12월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중 ‘최악’
듀켐바이오는 9일 늦은 오후 수요예측 결과와 확정 공모가액을 발표했다. 이달 2일부터 6일까지 기관투자가들을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했다. 오전으로 예정됐던 수요예측 결과 발표가 지연된데는 예상치 못한 결과가 있었다.
공모가는 8000원에 확정했다. 희망 밴드는 1만2300~1만4100원였지만 하단인 1만2300원보다 34.95%나 낮은 공모가로 마감했다. 경쟁률도 47.73대 1에 불과했다. 대개 수백, 수천의 경쟁률을 보이는 바이오 기업들의 상장 성적에 비하면 한참 못미친다.
참여한 기관들 대부분은 밴드 하단 이하의 가격을 적어냈다. 총 신청수량 5034만3000주 중 하단인 1만2300원 이상 가격을 제시한 곳은 1.51%에 불과하다. 확정공모가인 8000원이상 9000원 미만으로 적어낸 곳이 83.03%로 가장 많았으며 8000원 미만인 곳도 5.49%로 집계됐다. 이달 상장을 진행했던 온코닉테라퓨틱스와 온코크로스보다 저조한 성적이다.
김봉석 듀켐바이오 경영관리본부 전무(CFO)는 더벨과의 통화에서 “아무래도 수요예측 기간과 비상계엄령 선포일이 맞물리면서 파급 효과를 직격탄으로 맞았다”고 설명했다.
◇3분의 1 날아간 공모자금, 시설자금 축소에 레켐비 수혜도 차질 우려
당초 밴드 하단으로 추산한 순공모자금은 169억원 수준이었다. 하지만 낮아진 공모가로 인해 실제 공모자금은 109억원 수준으로 줄었다. 60억원이 증발하면서 공모자금 집행 계획에도 큰 변동이 생겼다.
듀켐바이오는 △시설확충 △운영 △채무상환 △연구개발(R&D)에 투입하기로 했던 공모자금을 일괄 35%가량씩 줄였다. 밴드하단보다 공모가가 낮아진 만큼 자금 투입 규모도 축소한 셈이다.
공모자금 모두를 당장 내년에 사용하기로 했던터라 계획의 차질은 불가피하다. 특히 시설 확충 자금이 줄어들면서 전반적인 사업에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듀켐바이오는 당초 레켐비 출시로 늘어난 알츠하이머 진단제 공급 확대를 위해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제조 시설을 추가 증설하고 신사업인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시설을 건설하기로 계획했다.
진단제 제조 시설 확충이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레켐비 관련 수혜도 그만큼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김상우 듀켐바이오 대표는 6일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알츠하이머 진단제는 환자당 최대 3회씩 처방될 수 있어 연간 1000만도즈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현재 듀켐바이오의 알츠하이머 진단제 연간 생산 역량은 9만도즈에 불과하다. 레켐비 수혜를 받기 위해선 최대한 생산 역량을 확충해야 한다. 이 기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놓치는 매출이 늘어나는 셈이다.
김 전무는 “내년이라도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는 확신이 있으면 상장을 미루거나 하겠지만 상황이 녹록치 않아서 그대로 상장을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했다”며 “부족한 자금은 최대한 영업활동을 통해 조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교환 합의' 네패스라웨 FI들, 네패스아크 주식 받는다
- FDA 승인 따낸 고영 '뇌수술 로봇', 오너 2세 공로 '눈길'
- [혹한기 배터리 재무점검]삼성SDI CAPEX 원동력 '계열사 배당·차입'
- [thebell interview]"TIGER미국배당커버드콜, 새로운 형태의 연금대체 ETF"
- JB운용 투자 사모사채, EOD 위기 직전 '숨통'
- 마스턴운용, 하인즈와 맞손…첫 사업지 후보 '주목'
- [헤지펀드 해외주식 시대]롱온리부터 메자닌 하우스까지…'해외주식 진출' 선언
-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법안 점검]'구원투수 기대' 국내투자형 ISA, 탄핵정국에 무기한 연기
- [thebell desk]삼성운용발 커버드콜 ETF '주의보'
- [컨콜 Q&A 리뷰]'신중한' 현대제철 "올해가 작년보다 낫다"
김성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아로마티카, RCPS 전액 보통주 전환…4월 예심청구 예고
- 박셀바이오, '영속성' 확보 전략 'M&A'…석달새 두건 인수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IPO]임상 성공 전제한 공모가 산출…발도 못 뗀 상업화 임상
- 매출 4조 벽 뚫은 삼성바이오, 올해 25% 성장 '5.6조' 예고
- [오름테라퓨틱 IPO]달라진 IR 전략, 시장 '친화·소통’ 기조에 투자자들 '반색'
- [인투셀 IPO]비교군 오름테라퓨틱 감안 '2000억' 시총 "밸류 더 높일것"
- 코스닥도 ADC 열풍, 2025년 바이오 IPO ‘오름·인투셀’ 포문
- 삼성바이오에피스, 김경아 대표 취임 후 R&D 조직 바꿨다
- CJ바이오사이언스, 이유있는 B2C 진출 '법차손·매출' 부담
- [오름테라퓨틱 IPO]"연구개발비는 못 건든다" 줄어든 공모액에 인건비 ‘싹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