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은행·K뱅크' 국내 첫 인터넷전문銀 선정 사업 혁신성·고객 편의성 강점, 30일 구체적 계획 발표
안경주 기자공개 2015-11-30 08:37:17
이 기사는 2015년 11월 29일 16:25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1호 인터넷전문은행 사업자로 카카오 컨소시엄(한국카카오은행)과 KT 컨소시엄(K뱅크은행)이 각각 선정됐다.금융위원회는 29일 임시회의를 개최하고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심의결과, 외부평가위원회의 사업계획 혁신성 등에 대한 평가 의견 등을 감안해 한국카카오은행(가칭)과 K뱅크은행(가칭) 등 2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의 은행 설립인가는 23년만의 일이다. 앞서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접수 결과, 카카오·한국투자금융지주 주도의 카카오뱅크, KT가 중심이 된 K뱅크, 인터파크가 주도하는 I뱅크 등 3개 컨소시엄이 참여했다. 후보자 가운데 I뱅크 컨소시엄은 고배를 마시게 됐다.
금융위와 금융감독원은 지난 27일 7명으로 구성된 외부평가위원회를 가동하고 28일 3개 컨소시엄의 프레젠테이션 평가를 진행했다.
외부평가위원회는 3개 신청자의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한국카카오은행과 K뱅크은행의 시업계획이 타당해 예비 인가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출했다.
금융위는 "이번 인터넷전문은행 예비 인가는 현행 은행법 체제하에서 1단계로 인가한 것"이라며 "인력, 조직, 전산설비 등 물적 시설을 갖추고 은행업 본인가를 신청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외부평가위원회의에 따르면 한국카카오은행 경우 카카오톡 기반 사업계획의 혁신성이 인정될 뿐만 아니라 사업 초기 고객 기반 구축이 용이해 안정적으로 운영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K뱅크은행의 경우 참여주주 역량을 최대한 활용해 다수의 고객접점 채널을 마련하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 고객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 고배를 마신 I뱅크 은행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모형 등이 긍정적으로 평가됐지만 자영업자에 집중된 대출 방식의 영업 위험이 크고, 안정적인 사업운영 측면에서 다소 취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예비인가를 받은 한국카카오은행과 K뱅크은행은 인적·물적 요건 등을 갖춰 개별적으로 본인가를 신청하게 된다. 금융위는 관련 법령에 따른 검토 및 금감원 확인 과정을 거쳐 본인가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영업개시 시기는 예비인가자의 경영전략과 사업계획 등에 따라 결정되며, 금융위로부터 본인가를 받으면 원칙적으로 6개월 내 영업을 시작해야 한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이날 임시회의에서 "예비인가자는 경영지배구조, 리스크관리 등 내부통제 체계를 충실히 구축해 신설 은행의 조기 경영안정에 노력해야 한다"며 "제출한 사업계획대로 혁신적인 모델을 안정적으로 구축·운영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융위는 또 예비인가 대상 은행 주주 중 동일인(비금융주력자) 주식보유한도(4%) 초과 신청도 승인했다. 한국카카오은행은 카카오가, K뱅크은행은 KT, GS리테일, 다날, 한화생명, 케이지이니시스 등이 각각 대상이다.
한편 한국카카오은행과 K뱅크은행은 사업계획의 구체적 내용 등에 대해 30일 은행연합회에서 별도로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외형 줄어든 디티씨, 루멘스 인수 돌파구 기대
- [Company Watch]'유해사이트 차단' 플랜티넷, 3분기 실적 개선세 뚜렷
- [현장 인 스토리]세림B&G,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 도약 준비 '끝'
- 'IPO 출사표' 와이즈넛, 3000억대 몸값 제시 '투심 관건'
- 폴라리스오피스의 '성공적' M&A 행보
- [PMI 포럼 2024]"불확실성 높은 빅컷 시대, LP-GP간 활발한 소통 필수"
- [PMI 포럼 2024]"미 헬스케어 시장 개편 한창, 국내 투자자엔 기회"
- [PMI 포럼 2024]"적대적 M&A, 법률적 적법성부터 면밀히 판단해야"
- [PMI 포럼 2024]"승계 고민 깊어지는 PE들, LP 신뢰 유지 집중해야"
- [PMI 포럼 2024]"재활용업체 밸류업, 수직계열화·지역 거점화 중시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