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핀셋' 임원인사 단행할까 이르면 이번주 인사, 일부 부원장보 퇴진·보직변경 관측
고설봉 기자공개 2021-01-15 09:22:34
이 기사는 2021년 01월 14일 10:21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융감독원 임원인사가 눈앞에 다가왔다. 올해는 특별한 조직개편 이슈가 없는 만큼 인사 규모는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부원장보 중 일부의 퇴진과 보직을 변경하는 '핀셋' 인사가 이뤄질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어 관심을 끈다.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르면 이번주 임원인사를 단행할 예정이다. 오는 25일 전후 실국장급 인사를 낼 방침인 만큼 그 이전 부원장 및 부원장보 등에 대한 인사를 마무리 짓는다는 계획이다. 지난해에도 비슷한 시기 임원인사를 단행한 뒤 곧바로 실국장급 인사를 냈다.
윤석헌 금융위원장과 김우찬 감사를 제외한 금감원 임원은 총 14명이다. 수석부원장 1명과 부원장 3명, 부원장보 9명, 전문심의위원(부원장보) 1명으로 구성된다.
임기만 놓고 보면 올해 인사 대상자는 없다. 하지만 관례를 보면 원장이 일부 부원장보에게 사표 제출을 요구하고 인사를 할 수는 있다. 부원장은 금융위원회가 임명하는 자리지만 부원장보는 금감원장이 직접 임명권을 행사한다. 부원장보의 잔류 및 교체는 금감원장이 전권을 쥐고 있다.
이번 1월 인사에서 교체 대상에 오를 수 있는 임원은 부원장 4명을 제외한 10명의부원장보다. 이 가운데 장석일 전문심의위원과 조영익 부원장보의 경우 지난해 11월 신규선임된 만큼 이번 인사 대상으로 보기 어렵다. 나머지 부원장보 8명 중 아직 임기를 1년도 채우지 못한 부원장보도 5명 있다.

우선 지난해 임원인사를 보면 금감원은 3월과 6월, 11월 등 세 차례 걸쳐 이를 단행했다. 3월 김은경 금융소비자보호처장(부원장), 김종민 기획·보험 부원장보, 이진석 전략·감독 부원장보, 박상욱 보험 부원장보, 김동회 금융투자 부원장보, 조영익 소비자피해예방 부원장보 등을 신규 선임했다.
이어 6월에는 김근익 기획·보험 수석부원장, 최성일 은행·중소서민금융 부원장, 김도인 자본시장·회계 부원장을 선임했다. 11월에는 김철웅 소비자권익보호 부원장보와 장석일 회계 전문심의위원(부원장보급)을 각각 임명했다. 지난해 신규 선임된 임원들의 임기만료는 2023년 3월부터 순차적으로 다가온다.
반면 김동성 은행 부원장보, 이성재 중소서민금융 부원장보, 장준경 공시조사 부원장보의 경우 앞선 이들보다는 임기를 오래 지냈다. 모두 2019년 1월 신규선임 됐고 지난해 1월 각각 현재 자리에 유임되거나 보직변경되며 올라섰다. 임기는 오는 2022년 1월까지다.
특히 이들 3명은 지난해 인사에서 윤 원장의 일괄 사표 제출 요구를 수용하며 인사 대상에 올랐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후 잔류가 확정되면서 현재의 자리에 머물렀지만 올해 윤 원장이 부원장보 교체를 통해 조직 재정비에 나선다면 이들이 1순위 대상이 될 것이란 게 내부 평가다.
이런 가운데 최근 금감원 안팎에선 2명 정도가 인사 대상에 올랐다는 말도 들린다. 부원장보 일부의 임무를 바꾸는 방식의 인사가 이뤄질 것이란 관측도 있다. 금감원 9명 부원장보(회계 제외)는 각각 △기획·경영 △전략·감독 △보험 △은행 △중소서민금융 △금융투자 △공시조사 △소비자피해예방 △소비자권익보호 부문을 담당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소보자권익보호 부원장과 회계 전문심의위원 인사 때초와 마찬가지로 신규 선임될 후보자들의 자리와 이름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부원장보 인사는 윤 원장과 얼만큼 호흡을 잘 맞춰왔는지가 관건인데 지난해 굵직한 이슈가 많았고 안팎의 우려도 존재했더 만큼 일부 교체 가능성이 있다”고 말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메리츠증권 글로벌슈퍼그로쓰랩, 성장기업 '정조준'
- M&A 규제 완화에 지방 저축은행 '꿈틀'
- [DGB금융 포트폴리오 진단]DGB캐피탈, 자본규제 강화 속 성장 해법 찾기 숙제
- [하나금융 차기 리더는]김정태 회장에 주어진 1년, 후계자 양성의 시간
- [교보생명 FI 갈등]어피너티, 딜로이트에 '추가용역 약속' 했나 안했나
- [한국씨티은행 철수설]'묵묵부답' 유명순 행장, 전임자와 다른 행보
- 부산은행 칭다오, 소비자금융 무기로 현지화 '껑충'
- [금융 人사이드]정재호 전 의원, IBK기업은행 '소비자보호 감사' 중책
- 한화생명 '기관경고'에 캐롯손보 재편 계획 '원점'
- 하나금융 임추위의 행장 선택권, '회장 후보' 박성호로 향했다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B국민은행의 비이자 실험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 수익성 개선 총력…콜라보그룹 공동평가 강화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 내부통제·소비자보호 강화 초점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 평가항목 간소화 '영업집중도' 높인다
- [한국씨티은행 철수설]'국내시장서 롤이 없다' 소매금융 안정화 실패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 줄어든 '고객기반' 배점…세부지표는 '강화'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 강화된 소비자보호…불건전 영업 단속 방점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 고객보호 미세조정…정책금융·수익성·건전성 배점↑
- [금융사 KPI 점검]KB국민은행, '이자·비이자 늘려라' 수익성 증대 방점
- [금융사 KPI 점검]KB국민은행, 위험한 대출 줄이기…법인·소호 점수 '확 낮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