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진출 목표' H2O호스피탈리티, 최소 200억 투자유치 추진 대통령 UAE 방문 동행해 중동 지사 설립 발표, 무바달라와 협력 기대
김예린 기자공개 2023-02-01 08:05:59
이 기사는 2023년 01월 31일 12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디지털 숙박시설 위탁 운영사 H2O호스피탈리티(이하 H2O)가 수백억원 규모 투자금 유치에 나선다. 최근 중동 지사 설립 계획을 밝힌 만큼 투자 실탄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3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H2O는 해외 진출과 운용 자금 확보를 위해 투자자들과 접촉 중이다. 조달 규모는 최소 200억원으로 파악된다. 산업은행과 카카오인베스트먼트, 인터베스트 등 기존 투자자를 비롯해 일부 국내외 투자자가 검토에 나선 단계다. H2O가 일본과 동남아, 중동 등 글로벌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이번 라운드에서는 특히 해외 투자자 모집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펀딩은 아랍에미리트(UAE)를 거점 삼아 중동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H2O는 이달 윤석열 대통령 UAE 방문 당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해 중동 지사 설립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지난해 12월 국내 관광 관련 스타트업 최초로 아부다비 국부펀드(무바달라)의 예비 유니콘 지원 대상에 선정된 데 이은 행보다. 현재 무바달라와 함께 현지 법인 설립을 계획 중이다. 무바달라, 현지 기업들과 중동 지역 호텔들의 디지털 전환에 나선다는 청사진이다.

기존 누적 투자금은 480억원이다. 가장 최근에 마무리한 시리즈C 투자라운드에는 산업은행과 카카오인베스트먼트,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고릴라PE, 인도네시아 벤처캐피털(VC) 케조라캐피탈, 인터베스트, 나이스투자파트너스 등이 참여했고, 300억원을 투자했다. 기존 주주로는 삼성벤처투자, 스톤브릿지벤처스, IMM인베스트먼트 등이 있다.
비상장사를 향한 투심이 냉랭한 점은 변수다. IPO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재무적투자자(FI)들의 엑시트 창구가 막힌 탓이다. 재무제표로 수익성을 입증해내거나 압도적 점유율을 자랑하는 비상장사가 아닌 이상, 펀딩에 난항을 겪는 경우가 많다. H2O의 경우 중동 진출 등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힘입어 펀딩에 성공할 수 있을지 업계 관심이 쏠린다.
H2O 측은 “글로벌 투자자 위주로 펀딩 중인 건 사실”이라면서도 “규모나 투자자는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인프라 강자' 스톤피크·아이스퀘어드, DIG에어가스 인수 검토
- [아이나비시스템즈 IPO]남다른 사업모델, 피어기업 선정 '고심'
- '전환 대신 상환' 나우IB, 아쉬움 남긴 나이스엘엠에스 엑시트
- 신영증권, 빅토리아텍스타일 인수금융 주선 맡는다
- [Deal Story]단기물 배팅 메리츠금융, 1.5조 수요 집결
- [Deal Story]대한항공, 수익률 낮아도 투자자 '무한신뢰'
- [LP Radar]한국성장금융, 반도체생태계 프로젝트펀드 40% 소진
- [Korean Paper]속속 이어지는 한국물 복귀전…현대카드는 '아직'
- [큐리오시스 IPO]글로벌 파트너십 확장세, '공룡' 써모피셔 틈새 조준
- 호산테크 최대 실적 달성, 파라투스·골든루트 '함박웃음'
김예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구조혁신 펀드 활용' SG PE, 코스모그룹 2000억 투자 추진
- 신영증권, 빅토리아텍스타일 인수금융 주선 맡는다
- '산재기금 픽' KY PE, 최대 5000억 펀드 조성 속도
- 메티스톤-로프티록, 에스티유니타스 딜클로징 비결 '언아웃'
- E&F PE, 코엔텍 매각 개시…차주 티저레터 배포
- 메티스톤-로프티록, 에스티유티나스 인수 완료
- LKS 품는 니케PE, 펀딩 마케팅 핵심 '건기식 전문성'
- '재무구조 개선 시급' 카카오게임즈, 카카오VX 분리 매각 추진
- 아마존 화장품 유통사 '이공이공', 200억 투자유치 추진
- '펀딩 오버부킹' 니케PE, LKS 인수 본계약 체결 목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