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캐피탈, 수입 목재 유통기업 '케이원' 매각 추진 주관사 산은·삼일PwC 선정, 2019년 인수 이후 4년 만에 엑시트
김지효 기자공개 2023-05-18 07:26:09
이 기사는 2023년 05월 17일 11시3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가공 목재 수입·유통 기업 케이원이 인수합병(M&A) 시장 매물로 나왔다. 사모투자펀드(PEF)운용사 큐캐피탈파트너스(이하 큐캐피탈)이 2019년 투자한 포트폴리오 기업으로, 약 4년 만에 투자금 회수에 성공할 지 주목된다.17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큐캐피탈은 케이원 매각을 위한 공동 자문사로 KDB산업은행과 삼일PwC을 선정하고 매각 작업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사전 수요조사를 진행한 이후 올해는 자문사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매각 절차에 돌입했다. 매각 대상은 큐캐피탈과 창업주 일가가 보유한 케이원 지분 100%다.

큐캐피탈은 2019년 케이원과 케이원임산, 케이원목재 세 곳을 묶어 지분 70%와 경영권을 490억원에 인수했다. 당시 3000억원 규모의 블라인드펀드 '2018큐씨피사모투자합자회사'를 활용해 인수 자금을 마련했다.
경영권 인수 이후 큐캐피탈은 물류창고의 효율화와 인천 원창 창고부지 매입, 인천 신항 신규창고 건립, 부산신항 창고부지 매입 등 영업자산 투자를 진행했다. 또 해외 현지 목재 생산자와 독점적 거래 비중 확대를 통한 상권 확장, SCM(공급망 관리) 도입을 통한 구매활동 및 재고관리 효율화 등을 추진했다.
그 결과 2019년 기준 매출 1449억원,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47억원 수준이었던 실적은 2021년에 매출 2029억원, EBITDA 179억원으로 개선됐다. 다만 지난해에는 가구 및 건설경기가 악화하며 매출 2037억원, EBITDA 82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국내 합판 제조사들의 경쟁력이 약화하면서 국산 목재 제품을 수입산으로 대체하는 추세가 지속되고 있어 케이원의 지속적인 시장점유율 상승 및 이익률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관련 연료로 각광받고 있는 우드펠릿 유통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점도 투자 포인트로 꼽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Policy Radar]뻥튀기 방지…신규 상장사, 직전 분기 실적 공시해야
- SK에코 환경자회사 매각 공전, KKR과 '힘겨루기' 결과는
- '2850억 베팅' 신세계-어센트EP, 씨앤씨인터내셔널 품는다
- [Deal Story]한화에너지 올해 두번째 공모채, 금리 2%대 발행
- [Deal Story]CJ CGV 신종자본증권 미매각…롯데손보 사태 영향
- 코스피 대어 줄줄이 상장 포기…FI 교체가 해법될까
- [티엠씨 IPO]단독 대표 체제 전환…상장 전 이사회 전면 교체
- [아이나비시스템즈 IPO]파트너사 손잡고 해외진출 채비, 동남아 시장 노린다
- [크몽 IPO]인력 매칭 플랫폼 1호 상장…테슬라 트랙 고심
- [이지스 IPO]피어그룹에 '클라우드·구독형 서비스' 담는다
김지효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전직 관료 리포트]'우리가 남이가' 전관 사외이사도 '대물림'
- [이사회분석/전직 관료 리포트]전직 장·차관 사외이사, '박근혜 정부' 출신 압도적
- [이사회분석/전직 관료 리포트]판·검사 출신 '연수원 22기·서울대 법대' 최다
- [저평가 시그널: PBR 0.3]주주환원율 높인 DL이앤씨, 올해 PBR 개선 ‘기대’
- [이사회 분석/전직 관료 리포트]기업 이사회인데 '판·검사' 출신 선호도 최고
- [이사회분석/전직 관료 리포트]CJ·신세계·삼성 등 '범 삼성가' 나란히 상위권
- [저평가 시그널: PBR 0.3]지역난방·가스공사, 누적된 미수금에 구조적 저평가
- [thebell interview]“PBR 1배 미만 경영권 위험…지분 40%도 안심 못해”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DSC인베, '공대 출신' 사외이사 5년 만에 원금 5배 회수
- [사외이사 BSM 점검]현대백화점그룹, 법률·경영 등 전문성 치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