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ND는 지금]해외건설 팀코리아 '조력자→견인차' 존재감 키운다①납입자본금 2조 근거 확보, 설립 7년 차 '26개·8500억' 투자…재원 확보 속도
신상윤 기자공개 2024-08-07 07:45:55
[편집자주]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가 출범 7년 차를 맞아 민간 건설사의 해외 투자개발사업을 이끄는 핵심 축으로 도약한다. 납입자본금 규모를 2조원까지 불릴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면서 해외 투자 규모를 빠른 속도로 키울 전망이다. 팀코리아를 꾸려 개발사업의 타당성 검토부터 자금 회수까지 지원할 KIND의 역할과 과제 등을 더벨이 짚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8월 06일 07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 지난해 5월 국토교통부와 우크라이나 인프라부가 G2G(Government to Government) 협력에 손을 잡았다.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사업에 국내 민간 기업과 공공기관이 참여할 사업을 발굴하는 데 뜻이 모였다. 우크라이나 재건 '6개 선도 프로젝트'가 수립된 가운데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등 유수의 건설사도 참여했다. 양국 간 G2G 협력 총괄간사로는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가 이름을 올렸다.# 올해 7월 삼성물산은 루마니아에서 글로벌 엔지니어링 기업들과 '소형모듈원전(SMR)' 기본 설계(FEED) 계약을 체결했다. 루마니아 도이세슈티 지역 석탄화력발전소를 SMR로 교체하는 사업의 초기 단계다. FEED에 참여한 삼성물산은 EPC 수주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 이 프로젝트에 KIND는 조성된 펀드로 투자해 삼성물산 해외 먹거리 발굴을 지원했다.
# 대우건설은 베트남 하노이에서 스타레이크 신도시 개발을 30년 가까이 진행하고 있다. 금융 조달과 시공 등을 총괄한 대우건설의 해외 도시개발사업은 나가야 할 길이 더 많다. 이런 가운데 KIND는 최근 스타레이크 신도시 개발 사업비를 위한 펀드의 수익증권을 일부 인수해 대우건설의 금융 부담을 덜어줌과 동시에 출구 전략을 도왔다.
국내 민간 기업의 해외 투자개발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KIND의 보폭이 넓어지고 있다. 올해로 설립 7년 차를 맞은 KIND는 해외 수주 가능성 높은 국가를 중심으로 국내 민간 기업의 투자개발사업 진출을 지원한다. 납입자본금을 2조원까지 확충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한 가운데 해외 투자개발사업에 국내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는 생태계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법정자본금 2조 확보, 2028년까지 3600억 확충 예고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KIND는 지난달 두 차례에 걸쳐 500억원의 유상증자를 단행했다. 지난달 16일과 31일 각각 200억원과 3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통해 자본금을 확충하는 내용이 골자다. 출자자는 정부로 이번 유상증자로 KIND 자본금은 5000억원 가까이 확충됐다.
KIND는 2018년 6월 해외건설 촉진법에 근거해 국토교통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출범했다. 출범 초기 KIND 법정자본금은 5000억원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해외건설 촉진법이 개정되면서 법정자본금은 2조원으로 상향됐다. 올해 유상증자는 지난해 관련 법 개정의 후속 과정이다. 단기적으로는 내년부터 2028년까지 3600억원 자본 확충이 예고돼 있다.
KIND의 자본금 확충은 국내 민간 기업의 해외 투자개발사업 확대를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KIND가 차입 또는 채권을 발행할 경우 납입된 자본금과 적립금 합계의 5배를 초과할 수 없는 점 등을 고려하면 해외 투자개발사업 확대를 위해 필요성이 제기됐다.
특히 국토교통부는 올해 국내의 해외 건설 수주 목표액을 400억달러로 설정했다. 다만 다른 국가들과 경쟁으로 인한 수익성을 제고하기 위해 단순 도급 사업을 벗어나 출혈 경쟁 가능성이 작고 고부가가치 수익화가 가능한 투자개발사업으로 유도하고 있다.
◇팀코리아 사업 지원 강화, 신규 펀드·사업 외연 확대 추진
올해 설립 7년 차를 맞은 KIND 역할 강화를 정부가 나서서 주문하는 배경이기도 하다. 실제로 최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선 KIND의 민간 투자개발사업 지분 참여율 확대와 기존 투자 지분 유동화 지원 등 역할 강화가 주문됐다.
KIND 역할은 크게 사업발굴과 사업개발, 금융지원 등 세 가지로 나뉜다. 우선 사업발굴은 해외 정보관리 및 정책 분석, 정부나 민간이 추진할 사업정보를 찾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케냐, 방글라데시, 사우디아라비아 등 5개 국가 해외인프라협력센터와 폴란드 소재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센터가 사업발굴 역할을 한다.
사업개발은 교통 인프라와 도시개발, 에너지 및 플랜트, 신사업 및 사회 인프라 등을 중심으로 타당성을 조사 또는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이 과정을 거쳐 확정된 민간 기업의 해외 진출 사업에 KIND가 대출이나 펀드를 통한 투자 등 금융 지원이 이뤄진다.
정부의 이번 지원 강화 주문과 맞물려 KIND는 국내 건설사가 참여하는 해외 프로젝트 지분 투자 한도를 기존 30%에서 50%까지 확대할 수 있게 됐다. 또 기존에 진행 중인 해외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민간 기업의 유동화를 지원하기 위해 투자 지분도 인수할 수 있다. 장기간 소요되는 해외 프로젝트의 기업 부담을 낮추고 새로운 투자처 발굴 지원을 돕는 것이 목적이다.
KIND는 지난달 말 기준 14개 국가, 26개 사업에 8500억원 투자를 승인했다. 현재 검토 중인 사업도 30개가 넘어 투자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정부의 역할 강화 주문으로 KIND는 단순 조력자를 넘어 사업의 주도적인 역할이 가능한 상황이다. 아울러 완공 또는 운영 중인 해외 사업 지분을 인수해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갖출 수도 있게 됐다.
KIND가 지속적인 유상증자로 자본금을 확충하는 배경도 정부의 국내 기업 지원 강화 주문과 궤를 같이한다. 올해 조달한 500억원 가운데 200억원은 '글로벌플트·건설·스마트시티(PIS) 펀드' 2단계 조성에 사용할 계획이다. 최대 1조1000억원 규모 설정이 목표다. 나머지 300억원은 녹색인프라해외수출지원펀드(4000억원) 조성에 사용할 예정이다.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의 팀코리아를 구축해 해외 수출을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이강훈 KIND 사장은 "국내 민간 기업이 해외 고부가가치 투자개발사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사업성 검토와 금융지원 등을 복합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강화할 것"이라며 "국내 민간 기업들이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가져갈 수 있도록 전후방에서 지원해 해외 수주 확대를 돕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자본금 확충을 시작으로 공공기관 출자 지원 확보와 채권 발행 등을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메이크글로벌, 글로벌 경기둔화에도 거래액 성장
- HD현대일렉 "트럼프 2기 수주 영향 없어, 조기발주·선박용 기대"
- 대한항공, '2025년 ESG보고서' 신뢰도 높인다
- [i-point]이브이첨단소재, 에쓰씨엔지니어링 지분 인수 '완료'
- [IR Briefing]미소정보기술 "한국의 스노우플레이크 되겠다"
- [i-point]하이드로리튬,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48톤 추가 공급
- [i-point]에이루트, 'NRF 2025'서 글로벌 기업 네트워크 확대
- LG화학 신학철, 5년 연속 다보스행...업황저하 대응책 모색
- 해외비중 키우는 국도화학, 사빅 출신 황문성 대표 영입
- '아워홈 인수 우군' 한화비전, 금감원도 지켜보고 있다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desk]건설부동산 봄날을 기다리며
- [건설리포트]삼성E&A, 태국발 '본드콜' 영향 아쉬운 수익성
- 호반그룹, 공공택지 입찰 다시 눈독
- [thebell interview]박형석 ULI 한국 회장 "아시아퍼시픽 서밋 개최 목표"
- [디벨로퍼 프로젝트 리포트]아이코닉, '목동 KT빌딩 개발' 삼성물산과 심폐소생
- [디벨로퍼 분양 인사이드]건우씨엠, 사업비 15% PF '트리븐 논산' 본계약 관건
- [디벨로퍼 열전]한국산업양행 오너 2세, 부동산 개발업 '관망세' 전환
- [신동아건설 법정관리]워크아웃 졸업했지만, 채권단 빚 아직 못 갚았다
- [CFO Change]삼성E&A, 'EPC강화TF' 출신 윤형식 부사장 낙점
- [신동아건설 법정관리]'오너 2세' 김세준 사장, 대표 취임 10일 만에 '법원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