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2년 10월 16일 18:4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세원셀론텍이 바이오 사업부 분할 후 신설법인의 200억 원 규모 유상증자를 검토 중이다. 2006년 에스씨엔지니어링과 분할 이후 단 한 차례의 유상증자 경험이 없던 터라 증자를 추진하게 된 배경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신설법인이 증자를 통해 유치한 자금으로 바이오 사업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보고 있다.◇신설법인 200억 규모 유증 가능성 높아
세원셀론텍은 기업분할을 추진하며 인적분할 보다 물적분할 방식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장정호 회장이 기업분할시 신설법인에 대한 2~3년 뒤 재상장을 언급했기 때문이다. 인적분할을 하게 되면 현재 바이오 사업부가 재상장하고 기존 주주들에게 분할 비율 만큼의 주식을 나눠준다. 반면, 물적분할은 신설법인의 주식을 모회사, 즉 세원셀론텍이 100% 보유하게 된다. 물적분할 후 신설법인은 일반적으로 비상장으로 남는다. 기존 주주에게 특별한 혜택이나 영향은 없다.
단, 회사 입장에선 자회사가 하나 더 생긴다. 물적분할시 신설법인의 지분 100%를 세원셀론텍이 가지기 때문이다. 분할 후 세원셀론텍의 지분 구조는 '장정호(100%)→SC기획(54.1%)→SC엔지니어링(32.5%)→세원셀론텍(100%)→신설법인'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바이오 사업부가 물적분할을 한다는 가정하에 신설법인은 유상증자를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규모는 200억 원으로 알려졌다. 신설법인이 유상증자를 단행하게 되면 지분도 변동하게 된다. 세원셀론텍이 최대주주 지위를 유지는 하겠지만, 100% 지분율은 깨지게 된다. 회사 입장에서는 경영권을 위협받지 않는 선에서 바이오 사업을 키울 수 있는 자금을 유치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매출 증가를 예상하고 연구개발비용이나 시설자금 등을 준비하는 차원으로도 풀이된다. 최근 연골세포치료제 '콘드론' 관련 의료기술이 보건복지부 산하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에서 안전성 및 유효성에 대한 최종 심의를 통과했다. 신의료기술로 인정받은 것이다. 신의료기술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콘드론의 보험급여 적용과 관련해 미진했던 부분도 해결된 것으로 알려졌다. 콘드론의 매출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다. 작년 콘드론을 포함한 바이오사업부 매출은 215억 원, 올해 상반기까지 매출은 71억 원을 기록했다.
◇증자 참여 대상 찾으면 분할 가속도 낼듯
세원셀론텍이 유상증자 참여 대상으로 고려하고 있는 곳은 벤처캐피탈(VC)이었다. 벤처캐피탈이 투자조합 형태로 투자하게 되면 투자기간을 2~3년 이상으로 가져갈 수 있다. 투자받는 입장에서는 가시적인 실적을 내기까지 안정적일 수 있다. 특히, 결과물 도출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바이오 회사로선 장기적인 투자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문제는 세원셀론텍이 '대기업군'으로 분류된다는 점이다. 세원셀론텍은 직원수만 500명이 넘는다. 대기업군으로 분류되면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받기 힘들어진다. 벤처캐피탈은 펀드 성격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대부분 대기업군에 투자를 못한다. 투자를 하게 되면 개선명령이 내려지거나 회수 조치를 내리게끔 돼 있다. 세원셀론텍의 신설법인이라고 하더라고 대기업군으로 분류된 세원셀론텍이 최대주주이기 때문에 신설법인도 '중소기업기본법'에 의거해 관계회사도 대기업군에 속하게 된다.
사모펀드(PEF)는 얘기가 다르다. PEF는 어떤 제약도 받지 않는다. 그러나 PEF는 투자처가 크거나 안정적인 곳을 선호한다. 투자 규모가 일반벤처조합 보다 크기 때문이다. 세원셀론텍의 신설법인은 벤처 규모로 PEF 투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업계 중론이다. 이 같은 이유로 벤처캐피탈들은 세원셀론텍 바이오 사업부에 대한 긍정적인 투자 의견을 가졌음에도 투자를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입장에서는 바이오 사업부 분할이 급박하게 진행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투자처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외국계 바이오 업체나 투자 기관에서 투자를 유치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올림푸스와 제휴로 사업을 진행한 경험도 있고, 세포치료제 '콘드론'의 해외 판로 개척에도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세원셀론텍은 바이오 사업 분할에 대해 매우 신중할 것"이라면서도 "투자처만 찾는 다면 분할을 좀더 빠르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도드람 런천미트, 동남아 수출 확대 '가속화'
- '범죄피해자 지원' 장재진 오리엔트 회장, 국무총리 표창
- [렉라자 주역' 오스코텍은 지금]제노스코 뗀 후 자생력 '관건', 6건 물질 중 'OCT-598' 주목
- [다시 온 가상자산의 시간]'법인 투자 허용' 연내 결판, 게임체인저 될까
- [우리은행 차기 리더는]임종룡 회장의 '믿을맨', 급부상한 이정수 부사장
- [IR Briefing]미래에셋생명, 자본적정성 전망 낙관하는 배경은
- [우리은행 차기 리더는]김범석 국내영업부문장, 상업은행 맏형 계보 이을까
- [우리은행 차기 리더는]기업금융 전문가 정진완 부행장, '파벌' 논란 극복할까
- [우리은행 차기 리더는]롱리스트 깜짝 등장한 '1년차 부행장' 조세형 기관그룹장
- [우리은행 차기 리더는]'예상 밖 후보' 조병열 부행장, 이변 주인공 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