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3년 03월 11일 08:02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벤처캐피탈 업계에 바이오산업 투자 바람이 거세지고 있다. 업계 10위권 이내 대형 벤처캐피탈은 물론 전문 심사역이 없는 소형사까지 너도나도 바이오 투자에 기웃거리고 있다.지난해에만 사상최대인 59개 회사에 1052억 원을 투자했다. 지난 2005년 황우석 박사의 논문조작 사건이후 추락했던 바이오업종의 신규 투자비중도 8.52%로 호황기 수준(2005년 8.59%)을 회복했다.
올해는 신규투자 비중이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기록할 전망이다. 투자금액도 15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의 정책자금 지원으로 투자 실탄이 넉넉해진데다가 투자 회수도 나쁘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미 보건복지부, 국민연금, 정책금융공사 등 정책자금 지원이 줄줄이 계획돼 있다. 보건복지부는 바이오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1000억 원 규모의 PEF 결성을 준비하고 있고 국민연금도 '코퍼레이트파트너십펀드' 등을 통해 바이오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늘려 나갈 계획이다. 정책금융공사는 PEF와는 별도로 300억~500억 원 규모의 벤처조합 출자를 검토하고 있다.
투자금 회수도 수월한 편이다. 바이오기업은 일반기업보다 연구개발에 오랜 시간과 많은 자금이 필요하지만 기술성만 인정받을 수 있으면 특례상장으로 증시 입성이 가능하다.
최근 기업공개(IPO) 시장이 꽁꽁 얼어붙은 상황에서도 지난 5일 인공관절 제작회사 코렌텍이 특례상장에 성공했다. 지난해 말 상장예심청구가 승인된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도 올 상반기내에 상장할 예정이며 펩트론은 다시 기술성평가를 통한 특례상장에 도전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 같은 벤처캐피탈의 바이오 투자가 마냥 반가운 것만은 아니다. 자칫 투자의 쏠림이나 무분별한 투자로 이어진다면 펀드 부실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과열의 징후는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기술력을 평가할 전문 심사역이 없는 벤처캐피탈이 바이오 기업 투자에 나서는가 하면 투자를 성사시키기 위해 이례적으로 조건을 완화해주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한 바이오기업은 보통주 인수, 투자금액 증액 등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조건을 내걸었다. 현재 투자자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이 같은 조건 완화에도 여러 벤처캐피탈이 투자에 참여하기 위해 접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벤처캐피탈들의 전문 인력 쟁탈전도 치열해졌다. 증권사 애널리스트에서 제약회사 등의 산업계 종사자까지 가리지 않는다. 바이오 투자 경력이 조금만 있어도 몸값은 천정부지로 치솟는 실정이다.
벤처캐피탈의 바이오 전문 인력이 늘고 투자가 활발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업계발전을 위해서라도 다양한 방면에 경험을 가진 전문가를 확보해 투자경험을 쌓도록 해야 한다. 신규투자비중 8.52%는 전체 벤처캐피탈 투자에서 큰 것도 아니다. 투자가 더 늘어야 한다.
그러나 갑자기 한 업종에 자금이 쏠리고 투자가 집중된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성장가능성이나 기술적 평가 없이 무분별한 투자가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큰 어려움을 겪었던 태양광 업종도 지난 2~3년 전 투자과열 현상을 이미 경험한 바 있다. .
펀드에 자금은 넘쳐나는데 전문인력은 부족한 지금, 투자 과열을 미리 대비해야 하지 않을까.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정철 브이티 공동대표, 140만주 매각 예고
- [i-point]시노펙스, 유튜브 통해 적극 주주 소통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빅텐츠 인수 예고한 나노캠텍, 내실 다지기 '글쎄'
- [IR Briefing]'경영권 분쟁 일축' 에스켐 "OLED 소재 전문 공급사 도약"
- [Company & IB]SK·LG 이은 '빅 이슈어' 한화, KB증권으로 파트너십 '이동'
- 우리금융, CEO 장기 승계 프로그램 가동…후보군 면면은
- 최규옥 전 오스템 회장, 주성엔지 투자 방침 '유지'
- [한미 오너가 분쟁]'직접 소통' 약속 지킨 신동국, 소액주주연대 '지지' 화답
- [SK스퀘어 밸류업 구상 점검]인크로스, 'T딜+AI' 신성장동력 확보 속도
- [저축은행경영분석]NH저축은행, 흑자전환 지속 가운데 건전성 관리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