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산업개발, 자체공사 비중 4년래 최고 작년 매출 1조4762억, 비중 30.1%···올해 외주공사 확대
김경태 기자공개 2016-04-22 08:11:22
이 기사는 2016년 04월 20일 10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산업개발이 지난해에도 자체공사 비중을 늘렸다. 일반 도급사업에 비해 수익성이 높다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산업개발은 올해 자체공사에 주력하는 동시에, 재건축·재개발 사업을 통해 매출을 확대시킬 계획이다.20일 현대산업개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자체공사를 통해 벌어들인 매출은 2014년보다 14.2% 증가한 1조4762억 원이다. 이로써 현대산업개발의 자체공사 매출은 4년 연속 확대됐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년래 최고치인 30.1%를 나타냈다.
|
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 "국내 10대 대형건설사 중 당사가 가장 활발하게 자체공사를 벌이고 있고 과거 매출 비중 50%를 넘었던 적도 있다"면서 "택지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고, 지난해 사업화된 부분이 많이 있어 매출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국내 대형건설사들의 자체공사 비중은 20% 미만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현대건설의 경우 현재 국내에서 진행하는 자체공사 사업장이 창원 감계 힐스테이트와 위례 송파 힐스테이트를 비롯해 4곳이다.
하지만 현대산업개발은 지난해 연말에만 해도 속초 아이파크, 김포 한강 아이파크, 김포 사우 아이파크, 평택 용죽 아이파크 등에서 3800여 가구를 공급하며 자체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했다.
현대산업개발이 자체공사에 힘을 싣는 이유는 다른 도급공사에 비해 수익성이 높기 때문이다. 자체사업은 보유한 택지의 지가가 상승할 경우 차익을 얻을 수 있고, 동시에 개발 수익까지 얻을 수 있다. 또 건설사가 하도급 과정의 상위에 위치해 마진이 늘어나 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도 있다.
현대산업개발의 자체공사는 지난해 1862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둬 전체의 가장 큰 부분을 책임졌다. 외주주택공사는 1004억 원, 일반건축공사는 99억 원으로 뒤를 이었다. 토목공사는 129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현대산업개발 관계자에 따르면 올해 자체공사에 지속적으로 힘을 싣는 가운데, 재건축·재개발 등 외주주택공사 사업을 적극 전개할 방침이다. 현재 수도권 지역의 경우 재건축·재개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커지는 시장에서 성과를 거두겠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현대산업개발은 외주주택공사 사업을 꾸준히 확대시키고 있다. 2011년 3123억 원의 매출을 거둔 후 2014년에는 1조 원을 돌파했다. 지난해는 1조157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4년 연속 매출 증대를 이뤄냈다. 현대산업개발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3.6%로 4년 전에 비해 16.4%포인트 높아졌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SK그룹, 실트론 매각 추진 배경 '오너 지분 탓'
- [Company Watch]삼성메디슨, 소니오 시너지 가시화 '아직'
- [Company Watch]삼성전자, 실적 버팀목 MX…'노태문 직대' 힘실리나
- '파운드리 끈기' 삼성, 빅테크 영업에 'ARM 출신' 투입
- [Company Watch]'호실적' LG전자, 질적 성장 '진검승부' 남았다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DX부문 첫 실적·후속인사 '고차방정식'
- [상호관세 후폭풍]한숨돌린 삼성·SK? 중국·대만 여파에 보조금 협상 '고심'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