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7년 04월 17일 07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우조선해양은 2016년 8월 유동성 위기 극복을 위한 추가 자구계획안에 웰리브 매각을 포함했다. 웰리브는 대우조선과 조선소 직원의 단체급식·경비 등을 관리하는 자회사로, 현금창출력이 안정적이라 대우조선 내에서도 '알짜'자회사로 꼽힌다.이를 증명하듯 웰리브 매각이 시작되자 CJ·하림 등 국내기업들과 사모투자펀드(PEF) 등이 러브콜을 보냈지만 8개월이 지나도록 새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그 배경을 들여다보면 그 중심에 모회사 대우조선이 있다는걸 알 수 있다.
우선 최근 진행된 두 번째 매각 지연의 가장 큰 원인은 대우조선 'P플랜' 리스크였다. 재무적투자자(FI)인 베이사이드PE가 웰리브의 순자산을 토대로 출자기관에서 돈을 끌어와야 하는데, 마침 불거진 대우조선 법정관리 가능성으로 펀드레이징이 어렵게 된 것이다.
좀 더 깊이 들어가보면 웰리브 직원들의 고용승계와 수주 보전 이슈에 직면하게 된다. 대우조선은 웰리브를 매각하면서 웰리브와 협력업체 임직원 전원에 대한 고용 승계를 원할 뿐 아니라 웰리브를 매각하더라도 대우조선이 보유한 상당한 규모의 지분을 남기길 바라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점들은 인수를 검토하는 입장에서 웰리브의 매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밖에 없었다. 거래 과정에서 대우조선과 관련된 이슈가 지속적으로 걸림돌이 되자 시장에서는 결국 웰리브를 팔고싶지 않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대우조선 입장에서 웰리브 매각을 주저하는 건 십분 이해가 간다. 현금창출력 좋고 계열사 의존도가 높은 알짜 회사를 어쩔 수 없이 팔게되니, 가격을 최대한 비싸게 받거나 유리한 조건에 팔고 싶을 수 있다. 하지만 대우조선이 하나라도 더 지키려고 줄다리기를 하는 사이 웰리브는 수개월째 주인없이 방황하는 처지에 놓였다.
채무조정안에 줄곧 반대의사를 밝혀오던 국민연금이 결국 대우조선을 살리기로 결정했다.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우선 급한 불은 끈 셈이다. 대우조선도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가능한 빨리 결정을 내려야 한다. 우물쭈물하는 사이 결국 피해를 입는 건 대우조선이 그토록 고용승계를 주장했던 웰리브 및 협력사 임직원들임을 기억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한샘, 고개 드는 '수익성'…주가 부양은 '숙제'
- 금감원·예보, 카뱅 설립 후 첫 정기검사…배경은
- KDB생명, 순이익 감소에도 빛난 CSM 확보 성과
- [보험사 CSM 점검]라이나생명, 보유계약 감소세 속 커지는 기대이익 고민
- [보험사 매물 분석]매물로 나온 페퍼저축, 자산 6년 전으로 '회귀'
- [금융권 AI 윤리 현주소]후발주자 지방금융 3사, AI 거버넌스 수립 공동 대응
- 중대 사고 발생 금융사, 소비자보호 실태 조기 평가받는다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현대해상, 실질 손실흡수력 취약…보완자본 의존 과도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교보생명, 견조한 자본적정성…하방 압력 완화는 숙제
- [보험사 CSM 점검]KB라이프, 2년째 잔액 감소...건강보험으로 반등 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