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와 달랐던 현대모비스 컨콜 평가 애널리스트 '전동화·해외수주' 질문 세례, '제한적' 정보공개
김경태 기자공개 2021-02-01 10:58:57
이 기사는 2021년 01월 28일 17시3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모비스가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을 개최한 가운데 애널리스트들의 인색한 평가가 나왔다. 신성장동력인 전동화 부문과 해외 수주가 주요 이슈로 부각되면서 다수의 질의가 나왔지만 의미 있는 답변을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번주초 열린 현대차·기아와 비교되면서 상대적으로 사측의 설명을 박하게 느꼈다는 평가도 나온다.현대모비스는 28일 오후 잠정실적 발표 컨콜을 개최했다. 국내외 증권사 애널리스트, 기관투자가 등 제한적인 인원을 대상으로 열었다. 참여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행사는 40분가량 진행한 뒤 종료했다.
사측에서는 최고재무책임자(CFO) 배형근 재경본부장(부사장), 이의섭 IR담당 상무가 모습을 드러냈다. 이전부터 행사에 모습을 드러냈던 독고율 IR팀장을 대신해 최택진 책임매니저가 참여했다. 독고 팀장은 최근 인사에서 다른 부서로 이동했다.
컨콜은 이전처럼 분기 실적에 대한 발표를 한 뒤 Q&A 시간을 갖는 순서로 진행됐다. 전날 기아의 경우 정성국 IR담당 상무가 모든 질문에 홀로 답했다. 현대모비스의 경우 참여한 재무·IR부서 임원들이 적절히 안배해 응답했다.
행사에 참여한 애널리스트들에 따르면 질의응답에서 전동화와 해외수주에 관한 질문이 다수 나왔다. 하지만 사측의 답변이 제한적이었던 탓에 IR자료와 발표 내용을 넘어서는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웠다는 후문이다.
이번주초 있었던 현대차·기아와 비교되면서 상대적으로 인색한 평가가 나왔다는 분석도 있다. 현대차는 작년 연간 실적을 발표하며 사실상 처음으로 올 실적 및 판매 가이던스를 공시했다. 컨콜에서도 자세히 밝혔다. 기아는 컨콜 외에 내달초 열릴 'CEO 인베스터데이'에서 더 세부적으로 밝히겠다고 공언했다.

현대모비스는 이날 IR자료에 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E-GMP)에 공급하는 세부적인 부품을 공개했다. 사측이 IR자료에 E-GMP 공급 부품을 밝힌 것은 2019년2분기 실적 발표 이후 처음이다. 당시 '2019년 하반기 전동화 투자 진행' 페이지에 수소연료전지와 함께 기재됐다.
이번에는 한 페이지 전체를 할애해 재작년보다 더 상세한 이미지를 첨부했다. 전륜과 후륜 PE모듈은 인버터, 구동모터, 감속기, 전장품 등이다. ICCU(Integrated Charging Control Unit), 배터리시스템도 공급한다.
해외 수주는 계열사와 내부거래 비중을 낮추기 위해 중요한 부분이다. 또 지배구조 개편에서도 분할 이슈로 인해 주목받는 부분이다. 작년 코로나19로 인한 수주 일정 지연 등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해외 완성차 거래처를 대상으로 17억5800만달러 규모의 외부시장(논캡티브·Non-captive market) 수주를 달성했다. 올해는 28억7900만달러가 목표다.
현대모비스의 작년 연결 매출은 36조6265억원, 영업이익은 1조8302억원이다. 전년보다 각각 3.7%, 22.4%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1조5543억원으로 32.3% 줄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빅데이터' 뉴엔AI, 코스닥 상장 예심 4개월만 통과
- NH농협은행, '단기채·가치주' 고수…안정성 중점
- 라이프운용 PIV펀드, KB증권서 300억 자금몰이
- 신한PBS-타임폴리오, 두 번째 맞손…롱숏에 힘쏟는다
- [택스센터를 움직이는 사람들]"세무·법률·부동산 전문가 라인업…'연구 DNA' 전문성 제고"
- 신한증권 가판대 전면 재배치, 기아·삼전 신규 등판
- [연금시장에 분 RA 바람]AI PB의 등장…규제 탓에 더뎠던 확산 속도
- 블루코브운용, 명동 뉴오리엔탈호텔 인수한다
- 미래에셋운용 '핀→테크' 진화…퇴직연금 RA 진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 현대제철 미국 현지 JV 검토 배경은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호관세 후폭풍]삼성·SK, 일희일비 어려운 '불확실성' 연속
- 노종원 솔리다임 사장, 멕시코사업 챙기기 '분주'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SK그룹, 실트론 매각 추진 배경 '오너 지분 탓'
- [Company Watch]삼성메디슨, 소니오 시너지 가시화 '아직'
- [Company Watch]삼성전자, 실적 버팀목 MX…'노태문 직대' 힘실리나
- '파운드리 끈기' 삼성, 빅테크 영업에 'ARM 출신' 투입
- [Company Watch]'호실적' LG전자, 질적 성장 '진검승부' 남았다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DX부문 첫 실적·후속인사 '고차방정식'
- [상호관세 후폭풍]한숨돌린 삼성·SK? 중국·대만 여파에 보조금 협상 '고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