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우리캐피탈, 두 달 만에 장기CP '또' 발행 1200억 규모, 만기 최장 5년…캐피탈사 조달 잇달아
이지혜 기자공개 2021-10-20 15:21:41
이 기사는 2021년 10월 19일 07:46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제이비우리캐피탈(JB우리캐피탈)이 약 두 달 만에 장기 기업어음(CP) 발행을 재개했다. 만기는 이번에도 최장 5년으로 설정했다. 여신전문금융사채권을 향한 투자심리가 위축된 영향으로 파악된다.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JB우리캐피탈이 28일 장기CP로 모두 1300억원(액면금액 기준)을 조달한다. 만기는 3년 1개월물 600억원, 5년물 700억원 등 두 가지로 나눴다. 조달자금은 할부와 리스, 기타 대출 등 운영재원으로 쓰인다.
대표주관사는 신영증권이다. 인수단으로 SK증권과 메리츠증권, 하이투자증권, KTB투자증권, 유안타증권 등이 이름을 올렸다.
장기CP 할인율은 3년 1개월물과 5년물 모두 개별민평수익률에 -2bp를 가산해 정해졌다. 최종 조달금리는 발행일로부터 2영업일 전 정해진다. 최근 민간채권평가사 개별민평수익률 기준으로 책정된 할인율은 3년 1개월물 2.266%, 5년물 2.372% 정도다.
JB우리캐피탈은 올 8월에도 장기CP로 자금을 조달했다. 모두 2000억원을 2년 6개월물, 2년 9개월물, 3년물, 5년물 등으로 나눠 조달했다. 이번 발행분까지 합치면 장기CP 잔량은 모두 3200억원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JB우리캐피탈은 2017년을 끝으로 약 4년 동안 장기CP를 발행하지 않았다. 그러나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여전채 투자심리가 위축되자 장기CP로 조달창구를 확대한 것으로 파악된다.
크레딧업계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 이슈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며 “시장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 여전채 시장의 투자심리가 당분간 풀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기CP로 조달창구를 다각화한 것은 비단 JB우리캐피탈만이 아니다. M캐피탈, KB캐피탈, IBK캐피탈, 산은캐피탈 등 캐피탈사 전반이 장기CP로 눈을 돌리고 있다.
장기CP 시장이 팽창하면서 금융당국의 관리 사각지대가 넓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JB우리캐피탈 등 여전사들이 일괄신고제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JB우리캐피탈은 올해 내년 5월까지 일괄신고로 발행할 수 있는 여전채 한도가 1조1600억원 남았다.
업계 관계자는 “일괄신고제로 발행하는 여전채와 장기CP는 경제적 실질은 같지만 규제차익이 존재한다”며 “장기CP는 금융당국의 관리 사각지대를 확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장기CP는 장기자금이라는 점에서 여전채와 다름없지만 일괄신고 한도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토스뱅크, '재무 인력' 확보로 내실 다지기 나서나
- 손보사 RBC비율, 생보 첫 역전…채권 비중 탓?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반도체 국산화 1호' 피에스케이, 글로벌 리더 '발돋움'
- [Korean Paper]NH농협은행, 6억달러 소셜본드 발행 성공
- [현대오일뱅크 IPO]반년만에 예심 승인…하반기 최대어 나온다
- 신용도 'A+' 한화에너지, 사모채 발행 '산은 후방지원'
- [IPO 모니터]정석현 수산인더 회장, 구주매출로 600억 '잭팟' 기대
- [IPO 모니터]수요예측 앞둔 HPSP, 파격 할인에 투자자들 '러브콜'
- [IPO 모니터]쏘카 주요주주 IMM PE, '경영권 변동' 대비했다
- LG OLED 덕에 큰 LX세미콘, 사업다변화 모색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신용도 'A+' 한화에너지, 사모채 발행 '산은 후방지원'
- 삼척블루파워, 나신평마저 등급 강등…ESG '직격탄'
- [IPO 모니터]지피클럽, 글로벌사업 확대…코로나에도 굳건한 지위
- '재무구조 개선' 신세계건설, 신종자본증권 규모 줄였다
- 리딩증권 김충호, 부회장 직함 달고 각자대표
- KB지주 '전략통' 김세민, KB증권 이사회 합류...그룹 비전 '공유'
- KT, 수요예측 '오버부킹'…초우량 신용도·안정성 부각
- "데이터 활용, 기업경영 넘어 ESG 리스크까지 평가"
- 메리츠화재, 공모 이어 사모 후순위채 잇달아 발행
- 한기평, 기업 ESG평가로 사업 영역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