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한화그룹, '니콜라 지분 매각' 출구전략 시작하나 작년 보유주식 절반 매도 계획 밝혀, 이사회 멤버도 철수

조은아 기자공개 2022-07-25 14:08:13

이 기사는 2022년 07월 22일 07시1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그룹이 보유 중인 미국의 수소차 기업 '니콜라' 지분을 일부 매도했다. 정확한 규모는 공개하지 않고 있으나 절반 가까운 지분을 처분한 것으로 추정된다. 2년 동안 활동하던 한화 측 이사회 멤버가 물러나는 등 사실상 니콜라와 결별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니콜라 이사회에 한화 측 멤버로 활동하던 '소피아 진'이 최근 물러났다. 소피아 진은 2019년 5월부터 니콜라 이사회 위원으로 참여해왔다. 한화 측 후임자는 선임되지 않았다.

한때 6%대를 웃돌던 한화 측의 니콜라 지분율 역시 2~3%대로 줄어든 것으로 관측된다. 한화그룹은 앞서 2018년 4월 한화임팩트와 한화에너지가 '그린니콜라홀딩스'를 설립해 니콜라 주식 1200억원어치를 사들였다. 당시 매입한 지분은 2213만주로 지분율은 6.1%였다.

상장 이후 승승장구하던 니콜라는 사기 의혹에 휘말리면서 흔들리기 시작했다. 주가 역시 급락했다. 그린니콜라홀딩스는 지난해 3월 공시를 통해 연말까지 보유 중인 니콜라 지분 가운데 최대 50%(1100만주)를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당시 한화 측은 "수소 에너지 관련 사업 확장에 재투자하기 위한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또 니콜라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에는 변동이 없다고도 했다. 니콜라 측 역시 둘의 협력 관계가 변함이 없음을 강조했다.

그린니콜라홀딩스는 몇 달 뒤 2213만주 가운데 290만주를 매각했다. 보유 지분의 13.1%에 해당하는 수치다. 주당 4.5달러에 사고 주당 평균 18.5달러에 팔면서 600억원을 확보했다. 13% 정도만 팔았는데도 초기 투자금액의 절반가량을 회수한 셈이다. 그린니콜라홀딩스의 니콜라 지분율도 5.6%에서 4.86%로 낮아졌다.

이후 지난해 연말까지 공시했던 대로 추가 매도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얼마만큼을 매각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한화 관계자는 "지분을 매각한 건 사실"이라면서도 "정확한 매각 규모는 공개하지 않는 것이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화와 니콜라 측 모두 지분율을 공개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니콜라 측에서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유지했던 한화의 지분 매각 규모가 시장에 드러나면 투심이 더욱 차갑게 식을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이사회 퇴진 등 최근 한화의 움직임을 볼 때 예고했던 규모의 최대치인 절반 수준의 지분 매각이 이뤄졌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렇게 되면 한화의 니콜라 지분율은 2%대로 사실상 의미가 없어진다. 앞으로 지분율이 더욱 낮아질 가능성도 높다. 현재 니콜라는 1조8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하고 있는데 한화그룹에서 참여하지 않으면 지분율이 더 낮아진다.

니콜라 주가는 2020년 6월 나스닥 상장 나흘 만에 종가 기준 최고가인 79.73달러를 기록했다. 한화 측이 보유한 지분 가치도 약 1조8000억원으로 16배 올랐다. 하지만 이후 꾸준히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현재 니콜라 주가는 5~6달러 사이를 오가고 있다.

그럼에도 한화그룹은 니콜라 지분을 손해를 보고 판 건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말 지분을 매각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당시 주가는 10달러 안팎을 오가 매입 평균가격 4.5달러를 훌쩍 넘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