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모니터]한투·NH 손잡은 시프트업, ‘SK바사 신화’ 재현할까외국계 증권사 없이 해외 네트워크 갖춘 국내 주관사단 꾸려…‘135일룰’ 피했다
최윤신 기자공개 2023-05-24 07:23:47
이 기사는 2023년 05월 22일 16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IPO를 공식화한 ‘시프트업’이 국내 IPO 하우스만을 주관사로 선정해 공모에 나선다. 외국계 증권사 선임 없이 1조5000억원에 달하는 공모를 성공시킨 SK바이오사이언스의 사례를 재현할 수 있을지 이목이 모인다.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시프트업은 지난 19일 IPO 업무를 총괄할 대표주관사 선정을 마쳤다. 지난 11일 숏리스트에 선정된 복수의 증권사들을 대상으로 PT를 청취한 뒤 약 일주일간 고민의 시간을 가졌고, 최종적으로 한국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을 공동대표주관사로 선정했다.
시프트업은 상장과정에서 변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 증권사를 중심으로 주관사단을 꾸리기로 계획을 잡았다. 통상 공모규모가 큰 회사는 다양한 기관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해 외국계 증권사를 주관사단에 포함시키는데, 이를 배제하고 국내 증권사를 대상으로만 입찰 제안을 받았다.
금융투자업계에선 이 같은 결정이 해외투자자 모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장과정의 변수를 줄이기 위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외국계 증권사를 포함시켜 미국 등 해외에서 본격적으로 투자자를 모집할 경우 ‘135일 룰’ 등을 적용해야해 상장 일정에 변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135일 룰은 해외 투자자 대상으로 배포하는 OC(Offering Circular·해외투자설명서)에 포함되는 결산자료의 기준일로부터 135일 이내에 청약대금 납입 등 상장 일정을 마쳐야 하는 규정을 말한다. 이 규정 때문에 미국 등에서 대규모 투자설명회를 열고 투자자를 모집하는 딜은 그렇지 않은 딜보다 일정 선택의 자유가 부족하다. 실제 거래소의 상장 예비심사 승인 유효기간이 남았음에도 135일룰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빠른 상장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현재 국내 증시가 변동성이 큰 만큼 대규모 해외 투자자 모집을 포기하고 상장 일정 선택에 여유를 갖는 전략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프트업이 공모 규모를 최소화해 증시에 입성하는 걸 계획하고 있다는 점도 이런 선택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IPO에서 대다수의 기업은 상장예정주식수의 20% 가량을 공모하는데, 시프트업은 이보다 적은 10~15%만을 공모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에서 언급되는 몸값이 3조원 가량임을 고려할 때 공모규모는 5000억원 미만이 될 것으로 보인다. 5000억원 미만의 금액은 기업의 펀더멘털이 견조하고 시장 상황이 나쁘지 않다면 국내에서 충분히 채울 수 있는 규모로 평가된다.
특히 이번에 공동대표주관사로 선정된 한국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은 앞서 지난 2021년 외국계 증권사 없이 공모규모가 1조5000억원에 달했던 SK바이오사이언스의 공모를 성사시킨 경험이 있다.

당시 미국 등지에서 별도의 투자설명회를 진행하지 않았음에도 기관수요예측 경쟁률은 1275.47대 1에 달했다. 국내 뿐 아니라 292곳의 해외기관이 참여한 결과였다. 국내 주관사단은 이를 통해 싱가포르와 홍콩 등지에서 충분한 투자자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도 했다. 당시 NH투자증권이 대표주관사로 활약했고,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이 공동주관을 맡았다.
시프트업이 이번 주관사 선정 과정에서 SK바이오사이언스의 주역들을 최종 선임한 것도 우연은 아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한국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은 코스닥 상장 기업의 공모에서도 싱가포르와 홍콩 등지에서 IR을 실시하며 차별화된 해외 네트워크를 보여줬다”며 “그간 보여준 해외 세일즈 역량이 주관사 선정에 큰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빅데이터' 뉴엔AI, 코스닥 상장 예심 4개월만 통과
- NH농협은행, '단기채·가치주' 고수…안정성 중점
- 라이프운용 PIV펀드, KB증권서 300억 자금몰이
- 신한PBS-타임폴리오, 두 번째 맞손…롱숏에 힘쏟는다
- [택스센터를 움직이는 사람들]"세무·법률·부동산 전문가 라인업…'연구 DNA' 전문성 제고"
- 신한증권 가판대 전면 재배치, 기아·삼전 신규 등판
- [연금시장에 분 RA 바람]AI PB의 등장…규제 탓에 더뎠던 확산 속도
- 블루코브운용, 명동 뉴오리엔탈호텔 인수한다
- 미래에셋운용 '핀→테크' 진화…퇴직연금 RA 진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 현대제철 미국 현지 JV 검토 배경은
최윤신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비이아이, 몸값 1000억 '눈 앞'…대기업 SI 투자 이목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투자 몰리는 비이아이, '황각규의 혜안' 주목
- [VC 경영분석]㈜IMM, 지성배·정일부 각자대표 체제 열었다
- [thebell interview]황상연 HB인베 PE본부장 "차별화된 투자·밸류업 방점"
- '첫 선' 모태 과기부 AI 출자, 정시 서류탈락자 '북적'
- [VC 투자기업]'선택과 집중' 원프레딕트, 올해 실적 반등 노린다
- [달바글로벌 road to IPO]반성연 대표 "5년내 키엘·이솝과 어깨 나란히 할 것"
- [VC 투자기업]위펀, 성장보다 내실 다지기 집중…IPO 몸 만들기 '착착'
- [VC 투자기업]야나두, 월단위 흑자 시작…'렛츠두두'로 극대화 기대
- 신협 출자 '우협' 오른 AFWP, 최종 고배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