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소프트웨어 스몰캡 리뷰]5년간 IPO 최다 업종에 시총 자격미달기업 '속출'[총론]몸값 500억 하회하는 코스닥 상장사 64곳, ICT 집중
전기룡 기자공개 2025-03-24 08:30:54
[편집자주]
금융당국은 지난 1월, 기업공개(IPO) 및 상장폐지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시가총액 요건을 강화해 몸값 낮은 곳을 퇴출하겠다는게 골자다. 당장 내년부터 코스닥에선 몸값이 150억원을 하회하면 퇴출대상이 된다. 금융당국의 칼날이 우선적으로 향할 곳은 어디일까. 더벨이 조사한 결과, 최근 5년간 상장이 가장 활발하게 이뤄졌던 IT·소프트웨어 업종에서 시가총액 500억원을 넘기지 못한 곳이 속출했다. 더벨이 IT·소프트웨어 코스닥사의 현주소를 들여다봤다.
이 기사는 2025년 03월 18일 13시2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IT·소프트웨어 업종은 최근 5년간 한국거래소가 우호적으로 상장길을 열어준 섹터 중 하나다. 역설적이게도 올해 금융당국이 발표한 상장요건에 미달할 가능성이 높은 위험기업도 이 업종에 집중돼 있었다. 성장성을 예상해 일찌감치 길을 터줬지만 이제는 금융당국이 퇴출여부를 고심하는 형국에 놓였다.◇내년 코스닥 시총 150억 미달시 상폐대상, 2028년까지 최소 300억 허들 유지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자본시장연구원은 1월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기존 코스닥 시가총액 40억원만 유지하면 됐던 요건을 향후 3년내 300억원으로 상향조정하기로 했다.
당장 내년 1월부터 시가총액이 150억원을 하회하는 코스닥 상장사는 상장폐지 대상에 포함된다. 2027년에는 200억원을 적용받고 2028년에는 300억원이 최저 허들이 된다. 코스피는 같은 기간 200억~500억원의 기준이 적용된다. 시가총액으로 상폐우려 논란을 불식시키려면 최소 500억원은 넘겨야 하는 셈이다. 금융당국은 향후 코스닥 상장사 1530곳 가운데 약 9%에 해당하는 137곳이 요건을 미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더벨이 자체적으로 집계한 결과 IT·소프트웨어 섹터는 시가총액 요건상 가장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2월말 기준, 시가총액 500억원을 하회하는 코스닥 상장사 451곳을 업종별로 분류해보니 해당 업종이 42곳으로 가장 많았다. IT서비스업(22곳)까지 포함하면 64곳에 달했다. 전체 코스닥의 3분의 1이 자격에 미달되고, 여기서 다시 15% 가량이 IT·소프트웨어 영역에 집중돼 있는 셈이다.

최근 5년간 거래소가 IT·소프트웨어 상장을 상당히 우호적으로 바라봤던 점을 감안하면 석연치 않은 대목이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IPO에 성공한 389개사 가운데 57곳은 IT·소프트웨어 업종에 해당됐다. IT·소프트웨어보다 상장을 많이 한 섹터는 제약·바이오(63개)뿐이다. 뒤를 잇는 전기·전자(32개), 반도체·반도체소부장(31개)과 비교해도 격차가 크다.

◇선제적인 밸류업 전략 절실, 유형자산 재평가 등 차선책 선택
기술특례상장 절차를 밟은 IT·소프트웨어 기업 상당수가 금융당국의 사정권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핀텔(약 200억원), 씨유박스(약 330억원), 큐라티스(약 370억원)를 비롯해 벨로크(약 160억원), 한솔인티큐브(약 150억원) 등이 내년 적용되는 '시가총액 150억원' 허들을 안정적으로 넘길지 주목된다.
일부 IT·소프트웨어 기업들은 본업으로 턴어라운드가 어려운 국면에서 유형자산 재평가 절차를 준비하고 있다. 유형자산들을 새롭게 감정평가 받아 차익을 회계처리할 경우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이다. 숙박시설운영업 혹은 부동산개발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밸류업 전략이지만 달라진 금융당국의 기조에 발맞추고자 차선책을 택하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한때 기술특례상장으로 코스닥에 입성한 기업 가운데 소프트웨어 업종이 3분의 1가량을 차지했다"며 "아직 적자기조가 유지되는 곳들이 상당수라 본업으로 시가총액을 끌어올리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주가순자산지율(PBR) 등 지표에 의거해 적합한 밸류업 전략을 마련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발표 이후 밸류업이 가능한지를 문의하는 기업들이 상당수 있다"면서 "대부분 시가총액 하위 종목인 만큼 마땅한 밸류업 전략을 제시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또 "보유하고 있는 자산들을 활용할 수 있는 기업에 한해서만 제한적으로 조언을 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에이비엘·컴퍼스, 기대보다 낮은 ORR에도 유의성 충족
- 애경산업, 대표 간담회 통해 매각 검토 공식화
- 지아이이노베이션 창업주 장명호, 4년만에 대표 복귀
- [달바글로벌 road to IPO]'콜옵션' 행사 위한 구주매출…'경영권 강화' 진행 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하반기 출범' 안다글로리, 전략 다양화 개시
- 키움투자운용, 삼성운용 출신 '마케터' 영입한다
- 코웨이 주총 D-3, '표대결' 관전포인트는
- JB운용, '최원철 대표' 꽂힌 CR리츠 4곳 추진
- 삼성증권, '기관전용 PEF 사업' 채비 장기화
-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 환율 상승에 수익률 부진
전기룡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쎄크 road to IPO]"e빔 원천기술 고도화, 100년 생존기업 전제 조건"
- [i-point]투비소프트, '공동솔루션마켓'서 주요 라인업 선봬
- [i-point]미코바이오메드, '더바이오메드'로 사명 변경 완료
- [Deal Story]이니텍 품은 로이투자 컨소시엄, 엔켐 체제 '변신'
- 세라젬, 가정의 달 맞아 특별 프로모션 진행
- [i-point]넥스턴바이오, 대표이사 교체 결정
- [Company Watch]'가용자산 2900억' 큐브엔터, 미래 경쟁력 담보
- FSN, '신뢰 회복'·'실적 개선·'지속 성장' 키워드 전면에
- [IT·소프트웨어 스몰캡 리뷰]'상장 3년차' 시선에이아이, 흑자전환 최우선 과제
- [i-point]제이엘케이, 'JLK-UIA' 진단 역량 입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