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금융公, 벤처투자 위탁운용 40개사 접수 출자요청액 8572억원·결성예정액 1조3200억원
이 기사는 2010년 03월 22일 15시0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2010년 1차 정책금융공사(KoFC) 벤처투자조합 위탁운용사 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40개 조합·8572억원 규모의 출자요청이 몰린 것으로 집계됐다. 조합결성예정총액 기준으로 보면 1조3200억원에 달한다.
정책금융공사가 이번 펀드 조성에 출자키로 약정한 금액은 2000억원 내외. 약정총액의 70% 이하를 최대출자비율로 정하면서 업계의 자금매칭 어려움을 덜어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에 정책금융공사가 출자하는 분야는 총 4개로 △녹색산업 및 신성장동력산업 부문에 15개사 △핵심 부품소재 부문에 13개사 △기타 일반 부문에 2개사 △세컨더리펀드 부문에 10개사가 지원했다.
녹색산업 및 신성장동력산업 부문은 △녹색기술산업·첨단융합산업·고부가서비스산업(녹색금융 제외) 등 지식경제부가 선정한 16개 신성장동력산업 분야 기업 △정부의 녹색기술 연구개발 종합대책에서 선정한 27대 중점육성기술 분야 기업 △중소기업청 선정 117개 중소기업형 유망 녹색기술 분야 기업 △공사의 신성장동력산업 지원분야 해당 기업이 주된 투자대상이다.
핵심부품소재부문은 반도체·IT·자동차 등 첨단산업의 핵심부품·소재를 개발하거나 국산화하는 중소·벤처기업에 주로 투자해야 한다.
기타 일반 분야에 응시한 운용사는 투자대상 제한없이 기술력이 우수하고 성장가능성이 높은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투자사로 선정할 수 있다.
세컨더리펀드 부문은 인수합병(M&A)과 바이아웃(Buyout) 등을 위한 중소·벤처기업 주식인수 등을 주 투자영역으로 한다.
펀드 운용기간은 녹색산업 및 신성장동력산업, 핵심부품·소재, 기타 일반 펀드가 8년, 세컨더리 펀드는 5년이다. 2년 이내로 연장이 가능하다.
정책금융공사 관계자는 "제안서 심사와 현장실사, 구술심사를 거쳐 최종 운용사를 선정할 계획"이라며 "3월 마지막 주에 1차 서류심사 통과자를 발표하고 4월 초에 프레젠테이션(PT)를 진행하며 4월 중순경 최종 선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올 7월 중순까지는 조합 결성을 마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영상]애경그룹 골프장 이어 모태사업 매각까지?
- [영상] 네이버, 컬리 지분 10%가량 인수 검토하는 배경은
- '몸값 올리기' 여기어때, 하드블록 축소로 이익 키웠다
- [VC ERP 생태계 점검]시장 점유율 1위 '로고스시스템' 품은 쿼타랩은
- 적자 지속 이수건설, 3개월 이하 사모채 릴레이
- 업스테이지, 'K-AI' 수익화 도전…글로벌 펀딩 예고
- [IB 풍향계]대어급 IPO 줄줄이 출격, KB증권 독주 이어질까
- [우리투자증권 부활 나래]미래에셋 출신 주도권, 우리은행과 화학적 결합 '관건'
- [에스엔시스 IPO]예심 청구전 이사회 완비…실적 발표후 '속전속결'
- 유진증권 기업금융본부 출범, 정통 IB '핀셋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