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산업단지, 지자체 개발사업의 모범 사전 수요 확보로 사업성 제고..지자체 보증 논란 불식
이 기사는 2010년 10월 05일 15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제지평산업단지 조성 사업이 지방자치단체 개발사업의 모범이 되고 있다. 지자체의 과도한 보증 논란으로 사업이 자초하거나 지연되는 다른 사업과 달리 순조롭게 자금 조달과 분양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업성 분석이 철저히 이뤄져 업계와 대주단의 신뢰를 얻은 결과로 해석된다.
총 투입비용이 3800억원에 달하는 김제 지평선 산업단지 조성사업 자금 조달은 시행사 지앤아이에 대한 출자와 외부 차입으로 이뤄졌다. 출자금은 200억원대다. 대표 시공사 한양이 지분율 40.4%로 가장 많고, 현지 중견 건설사인 옥성건설과 플러스건설이 각각 24%, 9%를 보유하고 있다. 발주자인 김제시와 전북개발공사가 10%씩, 산업은행이 6% 정도를 출자했다. 추가 출자 가능성도 있다.
출자금 외 올해 조달해야 하는 자금은 대략 900억원. 지난 8월(500억원)과 9월(500억원) 두번의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발행을 통해 해결했다. 만기가 2014년으로 3년여동안 무리없이 자금 운용을 할 수 있게 됐다.
주목되는 것은 해당 ABCP의 구조. 시공사가 아닌 발주처인 김제시의 채무보증으로 신용보강이 이뤄졌다. 지방자치법과 지방재정법·김제시보증채무관리조례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해 만기 45일전 채무 상환 자금이 마련돼야 하는 구조다. 지자체 보증을 받아내기 위해 다소 특이하게 짜여진 것이다.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 맡았다.
그러나 논란의 여지는 별로 없다. 판교와 광교·한류월드·천안비즈니스파크 등의 사업에서 지방자치단체가 과도하게 보증을 서고 있다는 논란과는 극히 대조적이다.
이같은 엇갈린 평가는 사업성에 기인하다. 대부분의 지자체 개발 사업이 사전에 사업성을 철저하게 따지지 않는 난개발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던 것에 비해 김제 산업단지는 그와 달랐던 것이다.
여전히 지대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이미 분양률이 60%를 넘어섰다. 뿐만 아니라 사전 수요조사 결과 잠재 수요를 합쳐 분양률이 100%를 넘을 설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정책을 제대로 읽어냈고 자체 수요를 확인하면서 어느 정도의 안전 장치를 마련한 덕분이다.
실제로 발주처인 김제시는 이 단지 내에 10% 정도의 부지를 사용할 계획이다. 또 전라북도도 10% 정도를 필요로 한다. 여기에 지식경제부 산하 기관이 40% 정도를 분양받기로 했다. 이미 60% 정도의 분양률을 확고히 한 것이다.
2008년 산업단지로 승인된 이후 지경부에 자유무역지역 지정을 요청해 승낙을 받아낸 점이 초기 분양률을 끌어올린 중요한 요인이다. 서해안 개발에 맞춰 전주와 익산·군산·김제 권역의 T자형 산업벨트 전략에 대한 강조가 주효했다.
반면 산업단지가 경기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점은 리스크다. 분양률과 분양가를 끌어내릴 수 있는 위협 요인이다.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부거리 일원 298만6683㎡(90만3470평) 규모의 부지에 지평선 일반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2007년 2월 사업타당성 조사 이후 실시계획 승인을 받았고 2013년 5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빅데이터' 뉴엔AI, 코스닥 상장 예심 4개월만 통과
- NH농협은행, '단기채·가치주' 고수…안정성 중점
- 라이프운용 PIV펀드, KB증권서 300억 자금몰이
- 신한PBS-타임폴리오, 두 번째 맞손…롱숏에 힘쏟는다
- [택스센터를 움직이는 사람들]"세무·법률·부동산 전문가 라인업…'연구 DNA' 전문성 제고"
- 신한증권 가판대 전면 재배치, 기아·삼전 신규 등판
- [연금시장에 분 RA 바람]AI PB의 등장…규제 탓에 더뎠던 확산 속도
- 블루코브운용, 명동 뉴오리엔탈호텔 인수한다
- 미래에셋운용 '핀→테크' 진화…퇴직연금 RA 진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 현대제철 미국 현지 JV 검토 배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