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캐시카우 '생활가전' 수장 교체 …연구조직 개편 송대현 사장 후임에 류재철 부사장, 트윈워시·스타일러 등 판매 주역
김은 기자공개 2020-11-27 08:26:29
이 기사는 2020년 11월 26일 18:56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전자가 생활가전 사업을 담당하는 H&A사업본부 수장을 교체했다. LG전자의 캐시카우로 꼽히는 H&A사업본부를 그간 이끌어왔던 송대현 사장은 후임인 류재철 부사장에게 자리를 넘겨주고 이번에 퇴임한다.
1967년생인 류재철 부사장은 서울대학교 기계공학 학사, 미국 일리노이대(UIUC) MBA를 거쳤다. 1989년 금성사 가전연구소로 입사한 류 부사장은 2011년 LG전자 세탁기 프론트로더 사업팀장(상무), 2013년 LG전자 냉장고생산담당(상무), 2015년 LG전자 RAC사업담당(상무)등을 역임했다.
2017년부터는 LG전자 리빙어플라이언스사업부장(전무)을 맡아 이끌어왔으며 2018년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특히 류 부사장은 전무 승진 1년 만에 부사장으로 승진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트윈워시, 스타일러, 코드제로 A9 등 가전 시장 선도 제품 판매 확대를 이끈 주역으로 꼽힌다. 임직원들의 신임이 두텁고 우수한 성과를 보여준만큼 내부의 기대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2017년 정기인사를 통해 LG전자 H&A사업본부장으로 취임한 송대현 사장은 후임에게 자리를 넘겨주고 이번에 용퇴한다. 송 사장은 1983년 LG전자 전신인 금성사 전기회전기설계실에 입사한 뒤 주요 가전사업부를 거친 베테랑으로 H&A사업본부 터줏대감인 조성진 부회장에 이어 LG전자 가전사업을 이끌었다.
LG전자는 코로나19 여파로 글로벌 가전업체들이 실적 부진에 빠진 가운데에서도 나홀로 견조한 실적을 이어갔다. 올해 3분기 H&A사업본부는 전사 영업이익의 70% 수준인 6715억원을 기록했다. 올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누적 영업이익으로 보면 벌써 2조원을 넘었다. 3분기 매출액은 6조1558억원으로 분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스타일러, 건조기, 식기세척기 등 스팀 가전으로 대표되는 신가전이 3분기 실적에 크게 기여했다. 원가 개선으로 H&A사업부의 영업이익률도 10.9%에 달했다. 3분기 영업이익률 가운데 두자릿수대를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영업이익률이 올 1분기 부터 3개 분기 연속 두자릿수를 기록 중이다.
LG전자는 2021년 정기 인사 단행과 함꼐 H&A사업본부의 연구조직 재편도 단행했다. 사업 완결형 'R&D 조직'을 구축하기 위해 기존에 있던 연구개발 조직을 통합한 후 각 사업부 산하에 키친어플라이언스연구소, 리빙어플라이언스연구소, 에어솔루션연구소 등을 새롭게 신설했다.
LG전자 H&A사업본부는 지난해 H&A연구센터를 신설하고 산하에 어플라이언스연구소, 에어솔루션연구소, 제어연구소를 두고 1년간 운영해온 바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철저한 성과주의를 기반으로 단기적인 사업성과뿐 아니라 본원적인 사업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인재를 선발했다"며 "류 부사장은 글로벌 생활가전 시장에서 LG전자의 시장 지배력을 높여왔고 고객과 시장의 변화를 읽는 능력이 뛰어나 H&A사업본부를 이끌어 갈 새 적임자로 선임됐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김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점유율 하락' 좋은사람들, '식품제조·AI'로 돌파구 찾는다
- 하이트진로, 치솟은 '부채비율' 차입 전략 달라졌나
- 풀무원, '中 성공 DNA' 베트남 이식 잰걸음
- 롯데하이마트, 1년만에 곳간지기 교체…'재무통' 구원투수 급파
- 오리온, 걸음마 '생수사업' 수출로 돌파구 찾을까
- '전금업' 등록 롯데쇼핑, 간편결제 진출 포석?
- 홈플러스, '대구점 매각' 유동성 숨통 트일까
- 웅진씽크빅, '키드앱티브' 장부가 '0원' 계상 왜?
- '합병' GS리테일·GS홈쇼핑, 'TFT 출범' 시너지 찾는다
- '잉여금 3조' 이마트, '리뉴얼' 중장기 성장 베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