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2월 17일 07시0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또 한 명의 메이저리거가 탄생했다. 행선지는 LA다. 키움 히어로즈의 김혜성은 지난달 포스팅 시스템을 통해 다저스 입단을 확정 지었다. 김혜성은 포스팅 시스템을 거쳐 미국에 진출한 한국 프로야구 선수 중 9번째로 메이저리그에 입성하게 됐다.비슷한 시기 바이오 업계에서도 흥미로운 LA발 소식이 들려왔다. LA 소재 신생 바이오 전문 벤처캐피털(VC) 고든엠디글로벌인베스트먼트(이하 고든엠디)가 국내 VC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와 최대 1억5000만달러(약 2165억원)의 공동 펀드를 결성한다는 내용이다.
이들이 조성하는 펀드의 예비 명칭은 'GP-MLB(Major League Biotech Fund)'다. 국내 프로야구 선수들이 미국 MLB(메이저리그 베이스볼)에 진출하는 방식에서 영감을 받은 듯하다. 국내 바이오텍의 미국 진출을 지원하겠다는 의미를 담아 실제 명칭으로 활용하게 됐다.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중심의 국내 펀드와 고든엠디 중심의 미국 펀드가 각각 1대1 비율로 바이오텍에 공동 투자한다. 가령 공동 펀드가 바이오텍 한 곳에 100억원을 투자하면 국내와 미국 펀드에서 각각 50억원을 출자하는 방식이다.
국내 바이오텍이 해외 펀드 투자를 유치하는 사례는 종종 있었다. 그러나 이번 펀드는 단순한 자금 지원을 넘어 나스닥 상장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미국 나스닥 상장은 국내 상장과는 다른 접근법이 필요하다. SAB(과학자문위원회)와 BOD(이사회) 구성은 물론 회계 및 법률적 요건을 철저히 갖춰야 한다.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 기준에 맞춘 감사 절차와 계약서를 갖추는 것도 필수다.
미국 현지 펀드와 손을 잡는 만큼 공동 펀드가 투자하는 국내 바이오텍의 미국 진출이 더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가 보유한 포트폴리오 중 제약, 헬스케어가 아닌 신약 개발 기업에만 투자하겠다는 포부도 흥미롭다.
국내 프로야구의 성장을 견인한 계기는 박찬호, 추신수, 류현진 등 한국 선수들이 메이저리그에서 두각을 나타내면서다. 이들의 성공이 국내 프로야구 선수들과 야구팬들에게 영감을 주면서 국내 프로야구 시장도 활력을 되찾았다.
국내 바이오 업계에서도 이런 선순환이 시작되길 기대해 본다. 최근 기술성평가를 비롯해 거래소의 심사 기준이 높아지면서 신약 바이오텍이 국내 IPO(기업공개)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이번 시도가 더 의미 있게 다가오는 이유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
- [thebell note]미국에서 키운 '혁신의 숲'
- PBR 0.1배 해결법
- [thebell interview]"외국인 주주 인식을 바꾼 건 사외이사 IR"
- [thebell note]현대제철, 신뢰를 회복하려면
- 제네시스·헬리오스PE의 하얀 전쟁
- [thebell note]K-바이오는 마중물이 필요하다
- [thebell interview]허장 행공 CIO "이자 지급성 자산 확대, 사모신용 주목"
- [thebell note]삼성화재의 혁신 스노볼
- [thebell note]기타오 SBI그룹 회장의 '차선책'
- [thebell desk]오리온의 '심장'
한태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엘앤씨바이오, 중국법인 영업권 2000억 인식 '활용법' 관건
- [BIO KOREA 2025]보령의 우주의학 핵심은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 만든다"
- 엔케이젠, 엔케이맥스 인수 비용 추가납부…딜 완주 주목
- 쓰리빌리언, 신임 CFO 선임…핵심 과제 '美 법인 설립'
- 휴온스랩, 92억 투자 유치…반년만에 밸류 두배 껑충
- [동성제약 오너십 체인지]갑작스레 바뀐 최대주주, 지분 이은 경영권 변화 예고
- [thebell interview]윤석근 일성아이에스 회장 "3인 대표, 미래 CEO 포석"
- [인투셀 IPO]플랫폼의 한계 '자체신약'으로 상쇄…밸류 핵심 '연내 IND'
- '오너의 귀환' 마크로젠, 해외 겨냥…한몸 된 '소마젠' 활용
- HK이노엔의 케이캡, 1조 매출 키 美 진출 '3상 유효성 입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