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 신용·시장리스크 약점 신용·시장리스크비율 '보통'…리스크 관리 '우수' 무색
안영훈 기자공개 2013-09-04 09:30:26
이 기사는 2013년 09월 03일 10시5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화재가 리스크 경영실태평가(RAAS)에서 최고점을 받았지만, 투자리스크 관리 부문에서는 약점을 보이고 있다. 계열사 주식 비중이 높아, 언제든지 리스크 관리 '취약' 판정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다.삼성화재의 경영전반에 대한 리스크 관리는 국내 손해보험사 중 최고 수준이다. 금융감독원의 RAAS에서 삼성화재는 2등급(우수 판정)을 받았다.
더벨이 금융감독원의 RAAS 평가기준을 그대로 차용(17개 항목 중 11개 항목 차용)해, 삼성화재의 2012 회계연도 리스크 관리 실태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항목별 리스크 관리 수준은 모두 3등급(보통 판정) 이상을 기록했다.
삼성화재는 특히 RAAS 정량평가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자본적정성(25% 가중치) 평가부문에서 타사와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의 차별성을 보였다. 보험가격리스크, 부실자산비율 관리 등에서도 국내 손해보험사 중 가장 관리가 잘되고 있다. 다만 투자리스크 관리 부문에서는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고 있다.
손해보험사의 투자리스크 평가는 전체 RASS 정량지표 평가에서 1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투자리스크 세부항목은 신용·시장리스크 비율, 부실자산비율, 대손충당금적립률 3개 부문으로 구성돼 있으며, 각 항목별 가중치는 각각 70%, 15%. 15%다.
삼성화재는 2012 회계연도에 2.99%의 신용·시장리스크 비율을 기록했다. 이는 간신히 3등급(보통 판정) 기준선 3%를 넘은 것으로, 언제든지 취약 판정 등급인 4등급으로 떨어질 수 있는 상태다.
|
◇ 신용·시장리스크비율 3등급 턱걸이… 계열사 지분 탓
신용·시장리스크 비율은 채무자의 부도, 거래상대방의 계약불이행 등 잠재적인 경제적 손실과 시장가격 변화에 따른 유가증권 및 파생상품의 자산가치 하락 손실 위험을 통틀어서 지칭하는 말이다. 보험사 운용자산 중 주식이나 저신용등급 채권 등의 고위험 자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향후 예상손실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셈이다.
삼성화재의 신용·시장리스크 비율 관리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은 계열사 주식 때문이다.
삼성화재는 삼성전자를 비롯한 대다수 계열사 주식을 매도가능증권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삼성화재의 25조 8051억 원 규모의 매도가능증권 중에서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12.8%(3조 3134억 원)에 달한다.
현재 금융감독원은 신용위험액 측정시 주식 자산에 대해선 상장사는 8%, 비상장사는 12%의 위험가중치를 부여하고 있다. 그 결과 매도가능증권의 전체 신용위험액 7180억 원 중 주식으로 인한 위험액은 4000억 원에 달한다.
매도가능증권에서 주식 비중은 12.8%에 불과하지만 매도가능증권 신용위험액에서 주식으로 인한 신용위험액은 전체의 55.7%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화재가 장기 국고채 중심으로 투자에 나서고 있지만 원래 보유하고 있는 계열사 지분이 많기 때문에 신용·시장리스크 비율 관리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에스엔이바이오, 엑소좀 급성뇌경색 치료제 임상 승인
- [영상]동양·ABL생명 품는 우리금융, 통합 후 유상증자 계획한 배경은
- [경동나비엔은 지금]보일러·온수기 노하우, '240조 시장' HVAC에 녹인다
- [LG그룹 로봇사업 점검]LG CNS, 물류 사업 고도화 'AMR 도입' 초읽기
- [Korean Paper]코레일, 관세 전쟁 속 한국물 복귀전 나선다
- [유증&디테일]'초음파 DDS 선두' 아이엠지티, 임상시험 150억 조달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