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불어나는 차입금..신사업 효과는?' [Company Watch] 3분기말 순차입금 5000억 넘어서..영업현금흐름 마이너스 행진
양정우 기자공개 2013-11-29 08:53:42
이 기사는 2013년 11월 27일 17시1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불과 3년 전 만해도 마이너스 흐름을 보였던 LG CNS의 순차입금이 올들어 5000억 원 규모로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영위하던 국내 SI 사업이 활력을 잃으면서 신사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재원이 필요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신사업이 아직까지 이렇다할 성과를 내놓지 못하는 단계에 머물러있다. 이 가운데 내년에도 활로를 뚫기 위한 투자를 계속해서 진행할 예정이다. 현금 창출 능력이 마이너스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라 차입금에 대한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 누적되는 차입금, 순차입금 어느새 5000억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LG CNS의 올해 3분기 말 기준 순차입금은 5012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기준 3152억 원보다 59%나 늘어났다. 앞서 지난 2010년 말에는 순차입금이 마이너스 25억 원에 그쳤었다. 3년 전에는 차입금보다 갖고 있던 현금성자산이 더 많았다는 얘기다.
|
LG CNS의 부채 규모는 해를 거듭할수록 늘어나고 있다. 2010년 말 8248억 원에서 올해 3분기 말 1조 1730억 원으로 확대됐다. 이중 총 차입금은 같은 기간 1090억 원에서 6146억 원으로 6배 가량 늘어났다. 부채비율 역시 상승 곡선을 그리며 176%까지 올라섰다.
이 같은 외부 자금 조달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국내 SI 시장이 포화 상태에 다다른 상황에서 성장을 위해서는 신사업에 매달릴 수 밖에 없었다. 차입금은 신사업을 위한 연구개발(R&D)과 대대적인 설비 투자를 벌이는 데 쓰였다.
지난 2012년 말 금융자동화 사업 분야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자회사 LG 엔시스의 금융자동화 사업 부문을 분할 합병했고, 올해 3월에는 무인 헬기 관련해 독보적 기술을 보유한 원신스카이텍을 인수했다. 지난 5월 개관한 국내 최대 규모인 부산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기 위해서도 대규모 자금이 투입됐다.
불어난 차입금은 금융비용을 크게 늘리면서 실적을 직접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 금융비용은 151억 원으로 지난해 114억 원보다 32% 늘어났다. 금융비용 부담은 1~3분기 누적 기준 당기순손실(58억 원)을 기록하는 데 한 몫을 했다.
◇ 신사업 지지부진 속 투자 지속..영업현금흐름도 마이너스
하지만 스마트 그린 솔루션, 스마트 교통, 클라우드 서비스 등 신사업은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수익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LG CNS 관계자는 "수익을 기대하기보다는 투자가 더 필요한 시점"이라며 "하지만 스마트 그린 솔루션 부문에선 수출 실적을 올리는 등 가시적인 성과도 거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사업 투자를 위한 실탄 마련도 힘에 부치고 있다. 현재 LG CNS의 현금 창출 능력은 마이너스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올해 1~3분기 영업현금흐름은 마이너스 523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 2011년 영업현금흐름 827억 원을 기록한 뒤, 지난해(마이너스 705억 원)부터 마이너스 추세로 돌아섰다.
이 가운데 내년에도 스마트 그린 솔루션, 스마트 교통, 클라우드 서비스 등 신규 사업에 대한 R&D 투자는 계속될 예정이다. 올해 3분기 말까지 투입된 누적 R&D 비용은 1098억 원 수준이다. 상암 DDMC 사옥(275억 원)과 부산 클라우드 데이터(546억 원) 등 설비투자도 역시 계획돼 있다.
현재 LG CNS는 1000억 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을 추진하고 있다. 이중 500억 원은 원화차입금을 상환하는 데 쓰고, 나머지 500억 원은 내년에 집행될 설비투자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9월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차입금이 총 2657억 원에 달하는 가운데 차입금 의존도가 더 늘어날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LG CNS 관계자는 "이번 회사채 발행으로 인한 차입금 증가는 불가피해 보인다"라며 "내년에 만기가 도래하는 차입금은 보유 중인 현금성자산과 영업활동을 통해 마련할 예정으로 유동성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경동나비엔은 지금]보일러·온수기 노하우, '240조 시장' HVAC에 녹인다
- [LG그룹 로봇사업 점검]LG CNS, 물류 사업 고도화 'AMR 도입' 초읽기
- [Korean Paper]코레일, 관세 전쟁 속 한국물 복귀전 나선다
- [유증&디테일]'초음파 DDS 선두' 아이엠지티, 임상시험 150억 조달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