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캐피탈, 신용등급 강등 vs 유지..논리는 [Rating Watch]한신평, 바뀐 평가기준 적용 A급 하향…한기평·NICE, AA급 타당
배지원 기자공개 2015-11-30 09:43:00
이 기사는 2015년 11월 26일 16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신용평가가 미래에셋캐피탈의 등급을 AA-에서 A+로 떨어뜨린 것을 두고 신평업계의 의견이 분분하다.미래에셋증권의 유상증자 참여로 인해 재무부담이 늘긴 했지만 증자 후 주요 재무지표는 '안정적' 신용등급 전망을 유지하던 지난해 연말보다 오히려 양호하다는 이유 때문이다. 2013년 AA급으로 신용등급이 올랐던 때보다도 우수한 재무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신용평가업계 내부적으로도 의견과 평정 결과가 엇갈린다. 한국기업평가와 NICE 신용평가는 "미래에셋증권이 대형IB 요건을 갖추게 되면 재무부담을 상쇄하는 효과가 있다"며 등급을 현상 유지했다.
◇"이중레버리지 200% 재무부담 과중" vs "등급 상향 당시보다 오히려 낮은 수준"
한신평은 지난 18일 미래에셋캐피탈의 신용등급을 A+로 강등했다. 그 동안 국내 신용평가 3사는 AA-(안정적) 등급을 부여해 왔다. 한신평은 이번에 미래에셋증권의 유상증자에 참여하면서 차입금 부담이 지나치게 늘어 이중레버리지비율이 205%에 이른다는 점, 지주회사의 구조적 후순위성이 심화된 점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를 두고 크레딧 업계에서는 "과거의 평정과 모순이 있다"며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신평이 미래에셋캐피탈의 신용등급을 A+에서 AA-로 상향시킨 2013년, 그리고 지난해 9월 기준으로 볼 때 이중레버리지비율은 오히려 지금보다도 낮기 때문이다. 당시 이중레버리지비율은 2013년 말 230%, 지난해 9월 기준 234%였다. 현재보다 30%포인트가량 더 높은 비율에도 AA-등급을 부여했던 한신평이다.
권대정 한신평 연구위원은 이에 대해 "한신평의 평가 기준이 그 때와 달라졌다"며 "자회사의 신용도보다는 지주회사 자체의 재무상태를 우선적으로 평가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신평은 이번 등급 하향 조정의 근거로 피어(Peer)그룹 대비 이중레버리지 비율이 현저히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 피어그룹인 메리츠금융지주(120%), JB금융지주(127%), 한국투자금융지주(115%)는 미래에셋캐피탈보다 상당수준 낮은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과거에도 미래에셋캐피탈의 이중레버리지비율은 높은 수준이었지만 자회사의 우량한 재무상태를 근거로 높은 등급을 유지할 수 있었다.
◇자회사로 인한 재무부담 이슈 발생…지주회사 평가방법론 수정
한신평이 평가방법을 수정한 데는 이유가 있었다. 최근 금융지주회사의 역할이 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권 연구위원은 "JB우리캐피탈을 지원하기 위해 JB금융지주가 전환우선주 매입확정을 결정하고 메리츠금융지주는 메리츠캐피탈에 지급보증을 제공하는 등 최근 자회사로 인한 금융지주회사의 재무부담이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간 국내 신용업계는 통상적으로 지주회사의 신용등급을 핵심자회사 대비 한 노치(Notch) 아래나 동일하게 부여했다. 크레딧 애널리스트는 한신평의 평가방법 수정과 관련 "노치 다운 수준을 단순히 자회사 등급을 근거로 내리지 않겠다는 입장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신평은 지주회사의 구조적 후순위성도 더 관심있게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래에셋캐피탈의 경우 미래에셋증권에 대한 재무적 지원이 늘어난 만큼 구조적 후순위성도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한국기업평가와 NICE신용평가도 자회사와 지주회사의 밀착도가 높아졌다는 측면에서 구조적 후순위성은 심화됐다는 점에 동의했다. 하지만 등급이 두 노치나 차이 날 수준은 아니라고 의견을 모았다. 한신평의 등급평정으로 미래에셋캐피탈과 미래에셋증권(AA+, 안정적)의 등급 차이는 두 노치로 확대됐다.
한기평 관계자는 "지주회사의 증자로 미래에셋증권은 대형IB의 요건을 갖추게 됐다"며 "자회사가 탄탄해졌다는 건 지주회사 입장에서 긍정적인 측면도 커 재무적 부담을 상쇄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넥스트증권의 도전]글로벌 자본도 움직였다…김승연식 '증권모델'에 배팅
- [증권사 생크션 리스크 점검]'관리의 삼성' 5년간 제재는 '단 3건'
- 포스코의 이유 있는 '버티기'
- 카카오, 점프는 끝났다
- [그레이존 이사회 점검]세방전지, 기타비상무이사 출석률 높일까
- [그레이존 이사회 점검]모토닉 오너 '셀프' 배당세 감액 …사외이사 '견제 미비'
- [ROE 분석]현대해상, 두자릿수 이익률 이면에 자기자본 소실
- [Financial Index/한화그룹]그룹 전반 차입 부담 심화, 에어로 유증만으로 될까
- [밸류업 성과 평가]LG그룹 전반적 부진, LG화학 '최하위권'
- [밸류업 성과 평가]'10위권 밖' HMM, 마의 PBR 1배 '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