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본부 압수수색…안정찾는 롯데 또 발목잡나 면세점 사업자 발표 한달 앞두고 악재…리뉴얼 롯데 '찬물'
신민규 기자공개 2016-11-28 10:41:56
이 기사는 2016년 11월 24일 15시0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검찰이 롯데그룹을 또다시 정조준하고 있다. 미르·K스포츠재단 지원 대가로 면세점 사업 로비를 한 것 아니냐는 혐의를 달았다. 연말 면세점 특허 재탈환을 위해 사활을 걸어 온 롯데그룹 입장에선 혐의 자체가 찬물을 끼얹는 꼴이 됐다. 시장 신뢰를 회복해가는 시점에 악재가 불거지면서 추후 딜에 영향을 미칠지 우려되고 있다.검찰 특별수사본부는 24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그룹 정책본부 등 10여곳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롯데그룹이 면세점 사업 선정을 위해 정부 부처에 민원을 제기했거나 신규 사업자 선정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미르·K스포츠재단에 거액을 출연한 의혹을 집중적으로 살필 계획이다.
롯데그룹은 호텔롯데(28억원)와 롯데케미칼(17억원) 등을 통해 총 49억원을 재단에 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부정한 청탁 또는 대가성 여부가 핵심이 될 전망이다.
롯데그룹은 지난해 잠실 월드타워점 특허권 재승인에 실패한 후 연초부터 영업재개에 사활을 걸어왔다. 당시 고용 불안 문제와 함께 세계적인 입지를 구축하고 있는 기존 사업자를 탈락시키면서 롯데그룹에 우호적인 여론이 조성되기도 했다.
하지만 올해 이같은 노력은 신규 사업자 선정을 불과 한달 앞두고 유명무실하게 될 처지에 놓였다. 롯데그룹 입장에선 '최순실 게이트'에 휘말린 것 자체가 여론에 불리한 상황이다. 무혐의가 입증될 경우 그간 손해입은 기업 이미지를 고려하면 상당한 반발이 예상되기도 한다.
롯데그룹은 경영혁신안을 발표한 이후 계열사 공모채 딜에서 승승장구하는 등 시장 신뢰회복의 불씨를 지펴왔다.
공모채의 경우 시장 친화적인 행보도 주목받았다. 롯데칠성음료의 공모채 과정에선 인수 수수료를 높이고 기관투자가를 위한 금리밴드를 설정하는 노력을 보였다. 롯데렌탈을 포함해 두건의 딜이 대박을 내면서 적어도 공모채 시장에선 그룹 리스크를 완전히 해소했다는 평을 받았다.
호텔롯데를 중심으로 확장경영에도 속도를 냈다. 이달 늘푸른의료재단에 이어 그간 중단됐던 체코 프라하 호텔 인수 작업도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었다. 자금조달 수요가 확대되면서 내년 상반기 기업공개(IPO) 절차에도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면세점 사업권 회복은 호텔롯데 IPO에서도 중요한 사안으로 통한다. 면세사업부가 호텔롯데 전체 매출에서 핵심적인 캐시카우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업권을 회복하면 기존 밸류에이션보다 우상향하는 시가총액을 기대해볼 수 있다. 당초 호텔롯데는 잠실 월드타워점을 제외하고도 13조~16조 원의 예상 시가총액을 산정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