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the 강한기업]아모텍, '칩 바리스터' 최강자, 삼성·애플이 찾아온다①희소성 높은 세라믹소재 '한우물'…갤노트7 충격에도 영업이익률 '11%'

이경주 기자공개 2017-01-16 10:14:06

[편집자주]

알려진 수많은 국내 강소기업, 그 중에서도 '더' 강한기업은 어떤 기업일까. '더 강한기업'으로 성장한 기업의 성장 스토리, 재무구조, 지배구조를 분석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성공'을 꿈꾸는 수 많은 중소·중견기업에 귀감이 될 만한 정보를 제공하자는 취지다. '더 강한기업'이 되기 위해 거쳐야 할 관문과 그들의 극복 노하우도 함께 들어왔다.

이 기사는 2017년 01월 02일 10:3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2016년 하반기 국내 전자부품업체들은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단종으로 커다란 충격에 휩싸였다. 국내 연성인쇄회로기판 대표 업체인 인터플렉스는 4분기 적자전환이 유력시되고 있으며, 카메라모듈 1위 파트론은 3분기 영업이익률이1.4%로 바닥을 쳤다.

그러나 아모텍은 달랐다.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614억 원, 72억 원으로 영업이익률 11.7%를 기록했다. 매출액은 인터플렉스의 3분의 1, 파트론의 절반 수준이지만 수익은 더 많았다. 대체가 불가능한 고부가가치 부품 ‘칩 바리스터(Chip varistor)'가 모진 한파 속에서도 버팀목이 됐다.
아모텍 사진
아모텍은 높은 수익성과 성장성, 재무안전성까지 갖추며 지난해에 이어 올해 코스닥 라이징스타로 2년 연속 선정되는 쾌거를 누리고 있다. 전자부품 업계의 대표 ‘강소기업'이다.

칩 바리스터는 전자제품 안에서 정전기로 인한 고가의 부품을 보호하고 오작동을 막는 역할을 하는 조그만 '칩'이다. 원재료인 세라믹 소재 응용에 따라 정전기 차폐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세라믹 소재 기술력이 ‘원천기술'이라 할 수 있다.

아모텍은 이 칩 바리스터 시장 3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세계 1위 기업이다. 현재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 1, 2위인 삼성전자와 애플이 아모텍의 칩 바리스터를 자사 스마트폰에 채용하고 있다. 칩 바리스터 사업은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기록할 정도로 수익성이 뛰어나다.

조그만 중견기업이 세계 시장을 석권할 수 있었던 비결은 창업주 김병규(사진) 대표이사 회장의 도전정신과 강력한 리더십에 있다.

아모텍은 탄생 배경부터 남달랐다. 국내 부품업체들은 삼성전자나 LG전자 등 원청업체 출신들이 만든 기업이 많다. 원청업체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기술력도 이전받았기 때문에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성장해 왔다. 하지만 그만큼 원청업체에 종속될 수밖에 없고 수익률도 낮은 사업을 주로 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김 회장은 ‘이단아'다. 김 회장은 삼성전자나 LG전자에 몸담은 적이 없다. 사회생활을 연구소에서 시작한 특이한 이력을 갖고 있다. 김 회장은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학사, 석사, 박사학위까지 따내고 1983년 전자부품 사설 연구기관인 ㈜유유에서 연구소장으로 첫 경제활동을 시작했다.

얼핏 보면 '학자' 스타일로 보이지만 정반대다. 김 회장은 처음부터 창업을 꿈꿨다. 박사 코스를 밟고 연구소 생활을 한 것은 시장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한 공부이자 준비 과정이었다. 회사 측에 따르면 김 회장은 박사 학위 논문 주제를 ‘아몰퍼스'라는 부품소재로 잡았다. 그리고 아몰퍼스는 김 회장이 1994년 설립한 아모텍(당시 아모스)의 첫 창업아이템이 된다.

아몰퍼스는 첨단 신소재로 액체 분자구조를 가진 금속(고체)이다. 금속이지만 액체 분자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전자의 이동경로를 넓혀주고, 불량의 원인이 되는 열 발산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고주파 부품 소재로 활용되기 시작하던 시기였다.

칩 바리스터
아몰퍼스는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당시 만해도 대기업의 전유물이었다. 일본 도시바, 독일 지멘스, 미국 하니웰 등이 주도했다. 하지만 김 회장 역시 이 분야에서 박사논문까지 낸 전문가였다. 1998년부터 아몰퍼스 공급을 시작한 아모텍은 결국 2000년 도시마, 지멘스, 하니웰과 함께 세계 4대 아몰퍼스 메이커로 랭킹이 되는 쾌거를 이뤘다.

2000년은 아모텍이 칩 바리스터를 출시한 해이기도 하다.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휴대폰에 칩 바리스터가 속속 채용되던 때다. 당시 아모텍은 이 시장에서 일본 TDK, 미국 AVX, 독일 엡코스 등 대형부품사와 과감한 경쟁을 시도했다. 그리고 양산 3년만인 2003년 아모텍은 이들을 꺾고 시장 1위에 올라섰다. 글로벌 휴대폰 메이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아모텍 칩 바리스터를 채용한 게 컸다.

무모해 보였던 벤처기업의 도전이 성공하는 순간이었다. 김 회장은 자신의 전문성을 믿었고 강하게 밀어붙였다. 전자부품의 핵심 소재를 선점한 덕에 열매는 달콤했다. 아모텍은 2001년 매출 218억 원, 영업이익 42억 원을 기록한다. 영업이익률이 19%에 달했다. 이후에도 2002년 매출 310억 원 영업이익 84억 원(이익률 27.1%), 2003년 매출 406억 원 영업이익 114억 원(이익률 28.2%)을 기록하며 꿈같은 성장이 이어졌다.

아모텍은 성공을 기반으로 2003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해 제 2의 도약을 꿈꾸게 된다. 절정기는 스마트폰 시대가 도래 하며 맞게 됐다. 스마트폰 창시자 애플이 칩 바리스터 고객사로 찾아왔고, 애플을 꺾기 위한 삼성전자도 제품 불량을 낮추기 위해 칩 바리스터 채용률을 더욱 높였다.

결과적으로 아모텍 성공 비결은 원청업체에 종속되지 않는 '출발점'과 대체 불가능한 '기술력'에 있었다. 훗날 김 회장은 이렇게 회상했다. "어찌 보면 그 때 무모해 보였던 부품·소재 사업 진출 결정이 이제는 옳았다고 확신 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이진우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김용관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