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만능플랫폼으로 진화…글로벌 사업도 숙제 [2018승부수]사업 부문 전열 재정비, 자회사 수익성 개선 가시화 기대
정유현 기자공개 2018-01-15 07:59:21
이 기사는 2018년 01월 12일 15시3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카카오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모든 서비스를 카카오톡 플랫폼에 얹는 작업을 본격화한다. AI 기반 챗봇(Chatbot·채팅 로봇프로그램)을 통해 카카오톡에서 음식을 주문하고 장보는 것을 넘어 집안 내 가전을 제어하는 것이 목표다. 자회사와 서비스 연동 뿐 아니라 외부와의 협력을 통해 카카오톡을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진화시킬 계획이다.카카오의 올해 사업 전략의 핵심 키워드는 AI다.카카오 통합 AI플랫폼 '카카오 아이(I)'를 통해 생활에 모든 것을 연결하는 만능플랫폼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스마트폰에 카카오톡만 설치 돼 있으면 모든 일상생활 관련 서비스와 연결되는 방식이다.
올해 공개할 예정인 카카오 아이 오픈빌더로 외부와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카카오는 GS리테일과 업무협약(MOU) 체결을 통해 GS25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나만의 냉장고 기능을 담은 카카오톡 챗봇을 만들기로 협의했다. 카카오 아이 오픈빌더가 적용되는 첫 사례다.
이 개발툴은 특별한 AI 지식과 기술이 없이도 누구나 카카오의 AI 기술을 자신의 서비스·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올해 현대자동차, 포스코,GS건설, 롯데정보통신, 삼성전자, 코맥스 등 AI 파트너사와 자동차, 아파트, 오프라인 매장 등 다양한 영역에자사 AI 기술의 접점을 만들고 제휴 결과물을 선보일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올해 카카오는 게임, 음악, 영상, 웹툰·웹 소설 등 콘텐츠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한다. 모바일 콘텐츠 플랫폼 카카오페이지는 영상 콘텐츠를 추가해 종합 콘텐츠 플랫폼으로 만들 계획이다. 일본에서 고속 성장 중인 만화 플랫폼 ‘픽코마'도 현지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국내 우수 작품들을 서비스하며 성장을 이어나간다.
카카오는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현금 실탄 확보에 나섰다. 10억 달러 규모의 해외주식예탁증서(GDR)를 발행해 싱가포르증권거래소에 상장할 예정이다. 이 자금으로 AI뿐 아니라 콘텐츠 사업 관련 투자 및 인수 합병(M&A)를 단행할 계획이다.
자회사 별 수익성 개선도 기대된다. 최근 몇 년간 카카오는 주요 사업들을 자회사로 분사시키고 사업 구조를 개편하는 등 전열을 재정비했다. 사업 부문은 플랫폼 기반 사업 (광고, 커머스, 모빌리티)과 콘텐츠 사업(게임, 웹툰, 음악·영상), 지식재산권(IP) 비즈니스와 핀테크(금융기술), 인공지능(AI)으로 분류된다.
카카오 T 택시는 기업용 업무 택시 도입, 카카오페이 연동 등을 통해 이용자의 편의를 강화함은 물론 서비스 수익성을 높여나갈 예정이다. 커머스는 거래액 1조를 달성한 선물하기와 이용자가 카카오톡에서 바로 상품을 탐색, 주문, 구매할 수 있는 톡스토어 서비스를 발전시킬 계획이다.
카카오페이 역시 사업 확장을 모색 중이다. 상반기 QR/바코드가 모두 지원되는 오프라인 결제서비스를 출시될 예정이다.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구축 후에는 앤트파이낸셜(알리페이)과 연동을 통해 한-중간 크로스보더 결제·송금을 가능하게 할 계획도 갖고 있다. 최근 사명을 변경한 콘텐츠 자회사 카카오M(구 로엔 엔터테인먼트)은 올해 음악 서비스 멜론 사업 이외에도 영상 콘텐츠 제작을 본격화한다.
카카오 관계자는 "카카오 올해의 핵심 키워드는 '챗봇' 사업에서 읽을 수 있을 것"이라며 "외부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거듭나는 것이 목표다"고 설명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정유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매각, 유동성 넘어 지배구조 정리 '시그널'
- [캐시플로 모니터]현금흐름 흑자 무신사, 순이익+운전자본 최적화 효과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R&D로 쌓은 수출 경쟁력,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안착
- 롯데그룹, 지속 가능 성장 가속화…'AI·글로벌' 방점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K뷰티 밸류체인 수직 통합, 연매출 1000억 '정조준'
- [캐시플로 모니터]현금흐름 흑자 남양유업, 체질 개선 노력 결실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최종환 파라다이스 대표 "장충동 호텔 투자, 재무 여력 충분"
- 이우봉 풀무원 총괄 대표 "연내 해외 사업 흑자 가능할 것"
- [이사회 모니터/롯데쇼핑]신동빈 회장 복귀, 의사 결정 기구 '체급'도 키웠다
- 주진우 복귀 사조산업, 수익성·승계 부담 '직접 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