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플럭스, 인도 푸드테크기업 '헝거박스'에 베팅 IT파크 입주사 식대관리 업체에 11억 집행, 풍부한 내수시장 기대
배지원 기자공개 2018-07-12 07:59:24
이 기사는 2018년 07월 10일 17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네오플럭스가 인도기업에 3번째 투자를 단행했다. 인도최대 푸드테크 기업인 헝거박스(HungerBox)에 약 100만달러(한화기준 11억원)을 집행했다.
|
헝거박스는 대규모 IT파크에 있는 기업들의 직원식당에 식품을 공급한다. 인도 현지에는 글로벌 IT회사들이 수천명에서 수십만명에 이르는 연구 개발직과 콜센터 인력을 고용한다. 큰 규모의 IT파크에는 직원 식당을 회사에서 운영하면서 최소 8~10개 각기 다른 식품 회사들이 계약돼 직원들에게 식품을 제공한다.
인도는 국내와 달리 직원마다 각기 다른 고용계약으로 식권사용 클래스가 차별화돼 많게는 50개로 구분된다. 직원의 복리후생 체계도 복잡해 다양한 식품회사를 관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헝거박스는 2016년 창업돼 뱅갈루루, 첸나이, 하이데라바드, 뭄바이, 푸네, 델리, 자이푸르, 콜카타 주 등에서 운영되고 있는 IOT기반 푸드테크 기업이다. 글로벌 IT회사의 구내 식당과 관리 계약을 맺고 고객사와 식음료 서비스 제공 업체 간 결제, 임직원들의 식음료 주문 및 식권 카드 충전, 식품업체 메뉴 평가와 피드백 등을 운영한다.
헝거박스 플랫폼 내에서 이러한 서비스들이 이뤄지며 결제 지불금액의 8~10% 수수료를 수취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 제너럴일렉트로닉스, 퀄컴, 맥킨지, 액센츄어, 로우스, 메르체데스 벤츠 등 160개가 넘는 기업의 식당에서 한달에 600만건 이상의 주문을 처리하고 있다. 푸드테크 업체로는 인도 내 단연 1위 기업이다.
투자를 주도한 노우람 네오플럭스 팀장은 "최근 인도에서는 푸드테크와 관련된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다"며 "뱅갈루루에 본사를 둔 인도판 '배달의민족' 스위기(Swiggy)가 나스퍼스(Naspers)와 러시아 DST Global로부터 2억1000만달러(한화기준 2345억원) 펀딩에 성공해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번 투자는 네오플럭스의 세 번째 인도기업 투자다. 앞서 네오플럭스는 모바일커머스 기업 딜라이트풀 고메(Delightful Gourmet Private Limited)다. 메이필드 펀드(Mayfield Fund)가 주도한 1000만달러 클럽딜에 150만달러(약 16억 8000만 원)를 투자했다. 이어 올해 상반기에는 디지털 미디어 스타트업인 팝엑스오에 250만달러(한화기준 약 27억원)을 투자했다. 팝엑스오의 유저와 콘텐츠 생산성을 고려할 때 낮은 밸류에이션에 투자를 마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노 팀장은 "인도는 세계 3위권의 내수시장 규모를 바탕으로 소비가 확산되고 있어 내수 관련 기업에 투자가 활발하다"며 "소비자 1인당 가처분 소득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어 현재 낙후된 식품 산업이 대한 성장의 폭이 아주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