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9년 05월 22일 07시4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지난 13일(미국 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으로 백악관을 방문, 30여분의 면담을 가졌다. 이 소식은 곧 '국내 대기업 총수 최초로 트럼프 면담'이란 제목으로 국내에 전해졌다.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은 한화로 약 3조6000억원을 투자한 롯데케미칼의 미국 루이지애나주 석유화학공장 준공 축하와 감사의 표현이지만 신 회장에겐 감회가 새로울 수 밖에 없다.
유통 대기업 롯데에서 이제는 석유화학사업을 빼 놓을 수 없도록 만든 지난 30년의 노력이 인정받는 순간이었기 때문이다. 신 회장이 한국 롯데 경영에 참여한 1990년 처음으로 둥지를 튼 곳은 지금의 롯데케미칼인 호남석유화학이었고, 이후 그의 롯데케미칼에 대한 애정은 지속됐다. 그 결과 현 롯데에서 석유화학사업의 이익기여도는 55%를 넘어서며 그룹의 미래 성장을 이끌고 있다.
신 회장이 백악관을 방문하고 있을 당시 국내에서는 신 회장의 한국 복귀 후에 이뤄질 업무보고를 준비하며 분주한 곳이 있었다. 롯데카드 내 한 사업부로 출발해 2015년 분사된 롯데멤버스가 바로 그 곳이다.
롯데멤버스는 올해로 설립 5년차, 총 자산이 3000억원 수준에 불과하지만 신 회장이 무한 애정을 보여주고 있는 곳이다. 실제 롯데카드에서의 분사 당시부터 신 회장은 깊은 관심을 보였고, 분사 관련 회의에서 주요 임원들에게 직접 분사 목적과 비전을 수차례 강조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그룹 총수인 신 회장이 애정을 기울이는 상황에서 지난 20일 분사 이후 첫 업무보고를 준비하는 롯데멤버스 경영진은 프리젠테이션 관련 자료만으로도 책 한권을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사전 준비에 공을 들였다고 한다.
신 회장이 롯데멤버스에 깊은 관심과 애정을 보이는 것은 그룹의 한 축이지만 새로운 소비 문화에서 뒷걸음질치는 유통사업의 새 미래를 이끌 곳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아마존과 알리바바 등 이미 해외에서 유통사업은 이커머스를 중심으로 재편된지 오래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기조는 빨라지고 있고, 롯데도 내년까지 3조원의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이커머스 시장 선점 경쟁에 뛰어들었다.
새로운 유통산업의 미래를 그리는 신 회장은 이커머스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빅데이터 사업으로 봤고, 롯데멤버스를 롯데 이커머스 사업의 중심축으로 오래 전부터 낙점했다.
30년 전 보여 준 석유화학사업의 애정이 롯데의 미래 성장 동력이 된 롯데케미칼을 만들었듯이 롯데멤버스에 대한 신 회장의 애정이 향후 롯데멤버스를 중심으로 롯데 유통사업이 이커머스 시장에서 우뚝 서게 만들지 궁금해진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동인기연, 필리핀 바타안경제특구청과 협력 강화
- [i-point]태성, 임대공장 계약 "복합동박 장비 초도물량 대응"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베트남 생산비중 높은 HS효성, '고관세' 영향 불가피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고ROE와 상반된 PBR…중국공장 신설효과 기대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
- NH증권 점프업리그, 해외로 확장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KB국민은행, 가판대 대폭 조정…한·중 펀드에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