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경PSG, CJ ENM 투자 잇따른 '결실'…'기생충' 정점 [인사이드 헤지펀드]CJ ENM 배급하는 영화 분산투자…기생충 효과 반영 누적 수익률 72%
정유현 기자공개 2020-02-17 08:11:50
이 기사는 2020년 02월 13일 15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경PSG자산운용이 운용중인 펀드가 영화 '기생충'의 후광 효과를 톡톡히 볼 전망이다. 이 펀드는 CJ ENM이 배급하는 영화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지난해도 영화 '극한직업'이 천만 관객 달성으로 한 차례 수혜를 입은 펀드다.당장 아카데미 수상 효과가 반영되지 않지만 기생충이 북미 지역에서 박스 오피스 1위를 달리고 있는 점, 국내에서 재개봉 되며 주목받고 있는 점에서 추가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올해 CJ ENM이 배급하는 영화 라인업이 탄탄한 만큼 영화 성공 여부에 따라 펀드 수익률이 더 높아질 것으로 분석된다.

유경컨시어지펀드는 CJ ENM이 배급하는 영화 제작 등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해주는 일종의 대출형 펀드다. CJ ENM에서 유통 및 배급하는 영화에 투자하고 영화에서 나오는 수입을 분배받아 수익을 올린다. 앞서 '공작', '협상' 극한직업' 등 CJ ENM이 배급하는 영화에 투자했다.
개별 영화에 대한 흥행을 예측해 설정액 전액을 1개의 영화에 베팅하는 것이 아니라 금액을 쪼개서 CJ ENM이 배급하는 여러 영화에 소수의 금액으로 분산 투자하는 방식이다. 소위 '대박'을 치기는 어렵지만 분산 투자로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구조다. 펀드가 기생충에 투자한 금액도 설정액의 약 5분의 1 수준이다. 극장 매출, IPTV 매출, 해외 판권 수출 등이 주요 수입원이다.
펀드는 영화 극한직업 효과가 절정이었던 지난해 2월 말 누적 수익률은 101%에 달했다. 이후 3월 부터 마이너스 수익률로 돌아섰다가 기생충이 개봉한 5월 말 1.42% 수준이었다.
기생충이 지난해 5월 30일 기생충 개봉 후 7월 21일 누적 관객수 1000만명을 돌파하며 한국영화 사상 19번째로 천만 클럽에 입성하며 분위기가 반전됐다. 영화 매출 정산 등의 영향에 따라 지난해 12월 말 누적 수익률이 50%를 넘어섰다.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된 매출과 아카데미 시상식 이전에 해외에 선판매 된 매출에 대해서는 수익금으로 정산 받았고 수익률에 반영된 상태다.
기생충 흥행 효과가 지속되며 유경컨시어지4호 펀드의 설정 후 현재까지 누적 수익률은 72%다. 1월 한달간 수익률은 16%였다. 아카데미 시상식 효과에 따라 북미에서 관객 몰이가 지속되고 있어 수익률이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북미 박스오피스 집계 사이트 모조에 따르면 기생충은 11일(현지시간) 66만1099달러(7억8000만 원) 매출을 올려 이틀 연속 4위를 지켰다. 여기에 일본 뿐 아니라 유럽 지역에서도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 기생충이 미국 외 지역에서 벌어들인 수입은 1억2989만 달러(12일 기준·약 1532억 3100만원)으로 집계됐다. 국내에서도 10일부터 재개봉하며 관객 몰이에 나섰다.
유경PSG자산운용 관계자는 "이미 국내에서 발생한 매출과 해외 선판매 매출이 수익금으로 정산을 받은 상태"라며 "현재도 해외 극장에서 상영되고 있고 관객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수익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경컨시어지펀드는 4.5년 만기 폐쇄형 구조로 설정 3년 이후부터 투자를 중단하고 자금 회수에 집중할 계획이다. 아직 투자가 1년이 남은 만큼 올해 CJ ENM이 배급을 맡게 될 영화의 흥행에 따라서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다.
올해 CJ ENM이 배급을 앞두고 있는 영화는 공유와 박보검이 주연을 맡은 '서복'과, 황정민, 이정재 주연의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안중근 의사 일대기를 그린 뮤지컬 영화 '영웅' 등이 있다.
유경PSG자산운용 관계자는 "배급사 중 CJ ENM에 투자하게 된 것은 영화의 포트폴리오 구성이 좋은 편이고 업계에서 잘하고 있는 곳인 만큼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영화 펀드 라인업을 확대하기 위해 내부에서 계획을 세우고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티맵모빌리티는 지금]'계약 유지율 98%' 티맵 API, 물류기업·구급차도 택했다
- [i-point]크라우드웍스, AI 학습용 데이터 구매 플랫폼 오픈
- [i-point]'코드게이트 2025' 국제 해킹 방어대회 본선 진출자 발표
- [i-point]아이티센클로잇, '파트너스 데이' 개최
- 디앤씨미디어, 보다 끈끈해진 넷마블 관계
- [애경그룹 리밸런싱]AK홀딩스, 유동성 압박 속 추가 매각 카드 꺼낼까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경영권 프리미엄' 145% 기대 근거는
- [애경그룹 리밸런싱]매물로 나온 애경산업, 인수 후보군은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매각, 유동성 넘어 지배구조 정리 '시그널'
- [오너가 무브먼트]서울식품 서인호, 지배력 확대…오너 4세 등장 '눈길'
정유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매각, 유동성 넘어 지배구조 정리 '시그널'
- [캐시플로 모니터]현금흐름 흑자 무신사, 순이익+운전자본 최적화 효과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R&D로 쌓은 수출 경쟁력,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안착
- 롯데그룹, 지속 가능 성장 가속화…'AI·글로벌' 방점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K뷰티 밸류체인 수직 통합, 연매출 1000억 '정조준'
- [캐시플로 모니터]현금흐름 흑자 남양유업, 체질 개선 노력 결실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최종환 파라다이스 대표 "장충동 호텔 투자, 재무 여력 충분"
- 이우봉 풀무원 총괄 대표 "연내 해외 사업 흑자 가능할 것"
- [이사회 모니터/롯데쇼핑]신동빈 회장 복귀, 의사 결정 기구 '체급'도 키웠다
- 주진우 복귀 사조산업, 수익성·승계 부담 '직접 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