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코나인베스트먼트, 문화콘텐츠부문 투자 나선다 회수 유리 장점, '인재 영입' 모태펀드 분야 지원

양용비 기자공개 2020-03-25 07:29:44

이 기사는 2020년 03월 24일 16시5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재생에너지 전문 벤처캐피탈(VC) 코나인베스트먼트가 문화콘텐츠 부문까지 아우르는 VC로 거듭날 채비를 하고 있다. 영화 '기생충'의 성공으로 두각을 나타내는 영화·공연 부문으로 투자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전문가를 영입하는 등 문화콘텐츠 부문 강화에 나선 것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코나인베스트먼트는 이달 초 문화콘텐츠 투자 전문가인 이정훈 이사를 영입했다. 이 이사는 2017년 VC 업계에 입문했다. 벤처투자자로 4년차에 불과하지만 영화 ‘신과 함께’, 퀸 내한공연 등을 발굴하며 문화콘텐츠 부문에서 준수한 트랙레코드를 달성해 주목받았다.

이 이사는 코나인베스트먼트에 합류하기 전 문화콘텐츠 전문 VC인 TGCK인베스트먼트에서 역량을 쌓았다. 앞서 독일의 게임 퍼블리셔와 국내 광고업체 ‘애드콜로니’를 차례로 거쳤다.

그동안 창업초기·신재생에너지 분야 투자에 집중해 왔던 코나인베스트먼트는 이 이사 영입과 함께 문화콘텐츠 부문 딜 발굴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코나인베스트먼트가 문화콘텐츠 부문에 관심을 기울이는 이유는 다른 분야에 비해 투자 회수가 수월하기 때문이다. 영화와 공연 등 문화콘텐츠 분야 투자는 배급사가 정산의 의무를 갖고 있다. 특히 롯데와 CJ 등 대기업이 배급사를 맡고 있어 미정산한 사례도 전무하다.

VC업계 전반적으로 회수 시장이 얼어붙었지만 문화콘텐츠 분야만큼은 상황이 다른 셈이다. 업계에선 문화콘텐츠 분야가 타 분야에 비해 회수가 안전한 만큼 향후 투자도 집중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전문 VC인 코나인베스트먼트가 올해 모태펀드 1차 정시 출자사업에서 문화콘텐츠 부문만 지원한 것도 이 같은 이유로 풀이된다. 코나인베스트먼트는 올해 모태펀드 1차 정시 출자사업에서 문화 계정(모험콘텐츠)과 영화 계정(중저예산한국영화) 등 두 분야에 제안서를 제출했다.

코나인베스트먼트 관계자는 "영화를 포함한 문화콘텐츠 분야는 회수에 대한 걱정이 타 분야에 비해 덜하다"며 "영화 기생충이 성공하면서 정부도 문화콘텐츠에 힘을 싣고 있다는 것도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이번 모태펀드 정시 출자사업에 타 VC와 합종연횡해 제안서를 제출한 점도 눈길을 끈다. 코나인베스트먼트는 센트럴투자파트너스와 손잡고 문화 계정 모험콘텐츠 분야에 공동운용사(Co-GP)로 제안서를 제출했다. 코나인베스트먼트는 포스코기술투자, 케이브릿지인베스트먼트와 각각 한 차례씩 Co-GP로 펀드를 결성한 바 있다.

코나인베스트먼트 관계자는 "센트럴투자파트너스는 기생충에 투자하는 등 문화콘텐츠 부문에 정평이 난 하우스"라며 "펀드를 공동운용할 경우 문화콘텐츠 부문에서 시너지가 클 것으로 예상해 손을 잡고 제안서를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