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0년 06월 01일 07시1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최근 시멘트 업계 최대 화두는 단연 '그린(Green·친환경)경영'이다. 업종 특성상 제조 과정에서 대량의 온실가스 배출이 불가피한데 정부의 규제 강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규제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이다. ‘배출 금지’가 아니라 '배출한 만큼 돈을 내라'는 식이다.국내 주요 시멘트 회사 대부분은 정부 규제에 잘 적응해나가고 있다. 무료로 나눠준 탄소배출권을 다 쓰지 않고 시장에 팔아 이익을 챙기는 업체들이 있을 정도다. 정부로부터 무상으로 할당받은 배출권 이상의 탄소를 배출하면 초과분만큼의 배출권을 따로 구매해야 한다.
그런데 유독 성신양회 홀로 버거운 싸움을 이어나가고 있다. 시멘트 생산량이 눈에 띄게 많은 것도 아닌데 온실가스 배출량은 이상하리만치 많다. 생산 거점들의 설비가 오래되고 공정 효율성이 낮은 탓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공장 굴뚝에서 뿜어져 나오는 이산화탄소는 고스란히 재무제표상 부채로 인식되고 있다. 한 때는 배출부채로 쌓아놓은 금액이 300억원을 훌쩍 넘기기도 했다.
문제는 곧 정부의 규제가 더욱 강화된다는 데 있다. 오는 2021년 3차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도입되면 무상 배출권은 더욱 줄어든다. 한 시멘트 회사 배출권 담당자는 "6~7월쯤 3차 탄소배출권 거래제 관련한 세부사항들이 결정될 예정"이라며 "정부가 조정계수 등을 어느 정도 수준으로 상향 조정할지 긴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금이 넉넉지 않은 성신양회는 정부 결정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다. 성신양회의 올 1분기 말 기준 차입금은 3500억원에 달하지만 현금성자산은 100억원을 밑돈다. 가뜩이나 건설경기 침체로 업황도 좋지 않아 뚜렷한 실적 개선을 기대하기도 어렵다. 과장해서 말하자면 앞으로의 그린경영에 생사가 달렸다고도 볼 수 있다.
성신양회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면 ‘성신&GREEN’이란 항목에 다양한 친환경 활동들이 나열돼있다. 그중 온실가스 감축 활동과 관련해선 '2015년까지 온실가스 발생을 줄이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지난 과거의 다짐도 볼 수 있다.
성신양회의 이 다짐은 아직도 유효한 것일까. 과연 그린경영의 귀감이 될 수 있을까 아니면 반면교사로 남게 될까.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동인기연, 필리핀 바타안경제특구청과 협력 강화
- [i-point]태성, 임대공장 계약 "복합동박 장비 초도물량 대응"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베트남 생산비중 높은 HS효성, '고관세' 영향 불가피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고ROE와 상반된 PBR…중국공장 신설효과 기대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
- NH증권 점프업리그, 해외로 확장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KB국민은행, 가판대 대폭 조정…한·중 펀드에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