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 언택트]카카오커머스, 후발 약점 딛고 '홀로서기' 합격⑥회원 수 매월 70만명 이상 증가…톡딜 출시 1년 만에 28배 성장
원충희 기자공개 2020-07-20 08:17:15
[편집자주]
코로나19 위기대응 과정에서 비대면(언택트)을 통한 경제·사회활동이 늘어남에 따라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됐다. 플랫폼, 콘텐츠, 네트워크 등을 기반으로 한 언택트 라이프가 보편화되는 양상이다. 최대 수혜업종으로 꼽히는 정보통신(ICT)기업들도 새로운 패러다임 준비가 한창이다. 포스트 코로나를 향하는 이들의 언택트 비즈니스를 조명해봤다.
이 기사는 2020년 07월 17일 08시1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커머스는 여타 카카오 계열사들과 달리 외부 투자자를 받지 않은 채 자체 여력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그만큼 현금창출능력이 좋은 덕분에 분사한 지 얼마 되지도 않아 기존 이커머스 업체를 웃도는 수익성을 기록했다. 주포인 '선물하기'가 3조원 육박하는 거래액을 달성한데 이어 신사업 '톡딜'은 출시 1년 만에 28배나 성장하며 새 동력원으로 자리 잡았다.카카오가 메신저 '카카오톡'에서 선물하기 기능을 붙인 것은 2010년 말쯤의 일이다. KT와 손잡고 기프티쇼(모바일 선물교환권)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 것이 첫 커머스 비즈니스였다. 네이버가 2002년 소호몰을 오픈하며 이커머스 사업에 뛰어든 시점과 비교할 경우 상당히 늦은 후발주자다.
카카오커머스는 별도법인으로 설립된 지 1년 반 정도 지났지만 아직 외부투자를 받지 않고 있다. 여타 계열사들이 분사 후 사모펀드나 전략적 투자자(SI)로부터 자본을 유치하는 점과는 다른 행보다. 자체 앱 없이 카카오톡에 서비스를 탑재한 형태라 고객 접근성이 좋고 별도의 인프라 비용도 들지 않아 우수한 수익창출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카카오커머스의 자본적 지출(유·무형자산 투자)은 32억원, 관계기업투자는 10억원에 불과하고 무차입 상태인 반면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순유입은 443억원에 이른다. 거래액 규모는 기존 유통강자들에 비할 수준이 못 되나 작년 매출액 2961억원, 영업이익 757억원으로 카카오 자회사들 가운데 매출은 두 번째, 이익은 첫 번째로 많다.
카카오 톡비즈의 매출 고성장 배경에도 커머스의 역대 최고 거래액 달성이 기여했다. 선물하기 서비스의 거래액은 지난해 약 3조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는 코로나19 사태로 이커머스가 반사이익을 보면서 카카오커머스의 실적 역시 크게 늘어났을 것으로 예상하는 시각이 많다. 정확한 실적은 나오지 않았지만 증권가에선 성수기 효과로 카카오톡 선물하기의 2분기 매출을 전년 동기대비 48% 증가한 1268억원으로 전망한다.
선물하기에 이어 톡딜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작년 6월 정식 오픈한 2인 공동구매 서비스로 주문 성공률 90% 이상을 기록하며 매분기 2배 이상의 매출을 내고 있다. 7월 기준 누적 톡딜 상품은 11만개를 돌파했다. 거래액은 1년 만에 28배 이상, 참여건수는 26배 이상 늘었다.

톡딜의 성공 배경은 단체매입으로 판매가를 낮출 수 있는 공동구매(공구)의 장점을 살리되 일정 수의 사람을 모으는 게 쉽지 않다는 단점을 최소한 것이다. 2명만으로도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어 제조사와 판매사 모두 단시간에 제품을 팔고 재고를 소진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카카오는 SK그룹 소속 이커머스 업체 '11번가'를 카카오톡 내 입점시키는 등 다른 쇼핑업체도 끌어오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아울러 선물하기 목록에 명품 브랜드도 확대에 나섰다. 구찌, 몽블랑, 프라다, 키엘, 디올 등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가 입점했으며 최근에는 샤넬 전문관을 오픈, 온라인 백화점으로 진화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해성옵틱스, 갤럭시S25·S26에 카메라 모듈 공급
- [i-point]폴라리스AI파마,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 [WM 풍향계]리테일 경쟁 격화, 성장 전략 색깔차 'PB vs 센터'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밸류시스템, 수익률 선방…'내러티브 숏' 집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펀더멘털 롱숏' 구도운용, 라인업 확충 박차
- [Product Tracker]쿼드운용 프로젝트펀드, 루닛 하락에도 웃음짓는 이유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i-point]경남제약, '칼로-나이트 Relax' 출시
- 동진쎄미켐, 3세 '이종호' 경영 전면 등판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삼성전자, DX부문 발빠른 재정비 '노태문 등용'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APEX 톺아보기]삼성전자, 반도체 줄고 디스플레이 2배 급증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하만 회사채 만기 도래 '늘어난 환차손'
- [R&D회계 톺아보기]"결국은 기술" 연구개발비 30조 돌파한 삼성전자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의 오너십
- [Board Change]CJ대한통운, 해외건설협회 전·현직 회장 '배턴 터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메리츠금융, 대손충당금 부담은 어느 정도
- [Board Change]넷마블 이사회 떠난 '친한파' 텐센트 피아오얀리
- [Board Change]카카오, CFO 이사회 합류…다시 세워지는 위상
- [Board Change]삼성카드, 새로운 사내이사 코스로 떠오른 '디지털'
- [Board Change]삼성증권, 이사회 합류한 박경희 부사장…WM 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