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성택표 행동주의 통했다...트러스톤, 6년만에 최대 성과 [자산운용사 경영분석]①주주행동주의 담은 ESG 펀드 흥행…사모펀드 성장에 수수료 급증
허인혜 기자공개 2021-09-01 07:33:42
이 기사는 2021년 08월 30일 14시4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트러스톤자산운용이 상반기만에 당기순이익 100억원을 넘기며 선전했다. 트러스톤운용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100억원을 넘은 것은 6년 만이다. 사모펀드 설정액이 8000억원 이상 확대되며 수수료 수익이 대폭 늘었다.황성택 대표가 뚝심있게 이끌어온 주주행동주의가 상반기 빛을 봤다. 트러스톤운용의 지배구조 개선 철학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 트렌드와 맞아떨어졌다. 행동주의를 담은 ESG 펀드를 출시하며 자금을 빨아들였다.
◇트러스톤운용, 6년만에 상반기 당기순이익 100억 넘겼다
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트러스톤자산운용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102억7530만원을 기록했다. 영업수익이 207억5000만원으로 이중 172억7600만원이 수수료 수익으로 집계됐다. 자산관리 수수료가 71억8800만원, 집합투자기구운용보수가 98억5600만원으로 나타났다.

트러스톤운용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100억원을 넘은 것은 6년 만이다. 2015년 상반기 167억1900만원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지만 100억원을 넘기지는 못했다.
펀드 수수료 수익이 3배가량 늘면서 상반기 좋은 성과를 냈다. 자산관리수수료도 이 기간 확대됐지만 집합투자기구운용보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집합투자기구운용보수는 지난해 상반기 32억7800만원에서 올해 상반기 3배 성장했다. 자산관리수수료는 지난해 같은 기간 58억2900만원으로 12억원 가량 늘었다.
펀드 잔고가 크게 늘면서 수수료 수익을 견인했다. 금융투자협회 통계를 기준으로 투자일임액과 펀드 순자산을 합한 운용잔고(AUM)는 이 기간 9조6203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6월 7조6995억원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한 해 만에 24.94%의 성장을 이룬 셈이다.

이중 1000억원은 행동주의 전략을 담은 ESG 펀드로 몰렸다. 나머지 6000억원은 정부 기관이 운영하는 자금 유입고라고 트러스톤운용은 설명했다. 영업비용은 84억32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3억4800만원 대비 소폭 늘었다.
◇황성택표 '주주행동주의' 담은 ESG 펀드 흥행

트러스톤운용은 올해 초 ESG 전략의 공모펀드와 사모펀드를 동시에 설정했다. 공모펀드인 'ESG 레벨업'에 230억원이, ESG 사모펀드에 1000억원 이상의 자금이 몰렸다. 상반기 ESG 펀드가 쏟아졌던 점을 감안하면 고무적인 성과다. 황성택 대표가 출시기념 기자간담회를 직접 진행할 만큼 ESG 펀드에 공을 들였다. 황 대표는 트러스톤운용의 적극적인 주주활동과 ESG에 대한 고유 철학을 접목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차별화된 포트폴리오가 투자금을 끌어들였다. 트러스톤운용의 ESG 펀드에는 주주행동주의 철학이 담겨 있다. 단순히 ESG 스코어만 반영하기보다 ESG 개선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나 주주행동주의로 지배구조 개선이 가능한 회사를 골라 투자한다. 적극적인 주주행동주의로 기업의 ESG 가치를 개선해 추가 수익을 노리는 펀드다.
트러스톤운용이 기업탐방과 리서치 등으로 자체적으로 구축한 ESG 등급도 활용한다. 트러스톤 자체 ESG등급은 리더, 모멘텀, 레거드A, 레거드B 총 4개 등급으로 구분된다. ESG 레벨업 펀드는 ESG개선이 기업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모멘텀 및 레거드A 등급에 50% 이상을 투자한다.
BYC와 태광산업 투자로 행동주의의 물꼬를 텄다. ESG 레벨업펀드는 6월을 기준으로 BYC와 태광산업의 지분을 각각 9.53%, 9.25% 보유하고 있다. 두 기업 모두 지배구조 측면에서 ESG 스코어가 낮은 편에 속한다. 트러스톤운용은 태광산업과 BYC의 지배구조 개선 여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투자를 감행한 것으로 보인다.
행동주의 ESG 펀드는 트러스톤운용의 상반기 성과를 이끈 주역이다. 트러스톤운용 관계자는 "펀드 수수료 성장은 ESG 공·사모펀드 수수료에 기인했다"며 "ESG 사모펀드의 규모가 1000억원이 넘는 등 흥행하면서 수수료가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허인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Red & Blue]유상증자부터 승계까지 '요동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 [조선 기자재 키플레이어]오리엔탈정공, 실적·배당 확대 불구 여전한 저평가
- '터널 끝' 적자 대폭 줄인 대선조선, 흑전 기대감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증여세 '2218억' 삼형제의 재원조달 카드는
- [방산 체급 키우는 한화그룹]몸값 높아진 오스탈, 한화그룹 주판 어떻게 튕겼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김승연, ㈜한화 지분 절반 넘겼다…'장남 승계' 굳히기
- '햇볕 든' 조선사업...HJ중공업, 상선·특수선 고른 성장
- 한화에어로 '상세한' 설명에...주주들 "유증 배경 납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