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운용, 글로벌 M&A에 투자하는 펀드 내놨다 M&A 전략 세부평가…글로벌 운용사 '누버거 버먼' 자문
허인혜 기자공개 2021-09-09 07:50:17
이 기사는 2021년 09월 03일 07시5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자산운용이 인수합병(M&A) 전략을 활용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를 출시한다. M&A 전략을 동일 업종내 사업통합, 다양한 업종의 우량기업 인수, 유망기업의 초기 발굴 등 세 가지 섹터로 나눠 분산투자할 계획이다. 글로벌 자산운용사의 자문을 받아 국내외 기업에 두루 투자한다는 목표다.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자산운용은 이달 글로벌 M&A와 관련한 기업에 투자하는 '글로벌M&A' 펀드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삼성글로벌M&A 모펀드에 자산의 60% 이상을 투자하는 자펀드다.
글로벌M&A 모펀드는 국내외 증시에 상장된 M&A 관련주에 투자한다. 글로벌 M&A 거래기업 유니버스를 구축하고 M&A 산업을 세 가지 섹터로 구분해 분산투자할 계획이다.

M&A 거래기업 유니버스에는 M&A를 주수익원으로 활용하는 기업을 담는다. 기업의 M&A 숙련도를 평가하는 'M&A 기술점수'를 도입했다. 분석을 통해 좋은 투자기회를 찾아 유리한 계약조건을 협상하고 원활한 통합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는 목표다. 세부적으로 통합 추진력, 거래 협상력, 거래 선별 항목에 각각 정량점수를 부과한다.
M&A 전략은 세 가지로 분류한다. 사업통합형과 복합기업형, 사업발굴형 등이다. 사업통합형은 동일 업종내에서 사업을 통합해 시너지효과를 노리는 전략이다. 복합기업형은 다양한 업종의 우량기업 인수를 통해 사업영역을 확대하는 기업이다. 사업발굴형은 유망기업을 조기에 발굴해 미래 성장기반을 확보하는 기업을 뜻한다.
정량평가에서 고득점한 기업은 따로 구분해 심층분석한다. 피인수 기업의 인수·합병 후 시너지 효과를 얼마나 창출했는지로 추진력을 판단한다. 유리한 딜과 관련한 거래조건을 이끌어내는지, 장래성이 높고 유망한 기업의 잠재가치를 발굴했는지도 주요 평가요소다.
이종훈 글로벌주식운용팀 팀장이 책임운용역을 맡았다. 1999년 삼성화재에 입사해 2006년 삼성자산운용으로 자리를 옮겼다. 운용규모는 8763억원이다.
글로벌 운용사 누버거 버먼 이스트 아시아(Neuberger Berman East Asia)의 자문을 받는다. 누버거 버먼 이스트 아시아는 국내 주요 자산운용사에 글로벌 리서치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운용과는 누버거버먼이머징국공채, 누버거버먼차이나, 누버거버먼미국리츠 등의 펀드로 공조한 바 있다.
지난해 설정된 '삼성누버거버먼미국리츠부동산자투자신탁'의 수익률이 높은 편이다. 연초후 수익률은 28.83%를 기록하고 있다. '삼성누버거버먼차이나증권자투자신탁'도 운용펀드 기준 1624억원을 운용 중이다. 2014년 설정돼 누적 수익률이 103.73%에 이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스닥 오너의 투자조언
- [i-point]에이루트, 무상감자 결정
- [i-point]샌즈랩, 지식재산 경영인증 획득… IP 포트폴리오 강화 박차
- [i-point]한컴케어링크, 3년 연속 질병관리청 생산 과제 수행기관 선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허인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완전한 분산소유 vs 지주 중심 수직계열화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뚜렷한 이원화 vs 오너·전문경영인 파트너십
- 현대로템, K2가 끌고간 디펜스솔루션…추가동력도 '탄탄'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한화, '집중 투자' 필수…라인메탈이 생산력 '한수 위'
- [thebell note]'적자' 필리조선소의 예정된 시간표
- HD현대사이트솔루션, 중대형 지게차 국산화 배경은
- HJ중공업·KAI, 고속상륙정 장비 '국산화' 나서는 이유는
- [Peer Match Up]수출확대가 끌어올린 이익률…한화에어로가 첫 '역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