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티세미콘, 코로나 경구용 치료제 시장 '도전장' 웅바이오테크와 파트너십, 후보물질 'Now-St' 기반 임상개발 공동 보조
조영갑 기자공개 2021-09-09 10:04:07
이 기사는 2021년 09월 09일 10시0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전문기업 '에이티세미콘'이 코로나 경구용 치료제 및 예방제 시장에 도전장을 던진다.에이티세미콘은 바이오테크 '웅바이오테크'와 파트너십을 맺고, 웅바이오테크의 원천기술 물질인 'Now-St'를 기반으로 응용제품의 제조, 유통을 비롯해 Now-St 물질을 활용한 코로나 경구용 치료제, 예방제의 개발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실험 과정에서 대장균, 포도상구균, 살모넬라, 녹농균 등이 99.9% 사멸했으며, Now-St 제조장치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을 95.6% 사멸했다는 게 업체 측의 설명이다.
에이티세미콘과 웅바이오테크는 협약을 바탕으로 Now-St 물질을 공동으로 제조, 생산한다. 특히, 양사는 에이티세미콘이 보유한 유휴 클린룸을 생산시설로 변경, 신속한 설비 투자에 나서 R&D(연구개발)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에이티세미콘 관계자는 "대한임상보건학회와 함께 Now-St 후보물질을 토대로 한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 및 예방제 FDA 임상을 준비하고 있다"면서 "바이러스의 변이 여부와 관계 없이 치료 효과를 입증할 수 있다면 인증의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임상 개발 진척에 따라 에이티세미콘은 웅바이오테크의 총판권을 취득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코로나19 치료제로 FDA 등에서 정식 허가를 받은 제품은 정맥주사제 '렘데시비르' 뿐이다. 최근 MSD(머크)의 경구용 치료제 '몰누피라비느'가 유의미한 임상 데이터를 확보해 하반기 임상 3상 결과와 동시에 FDA 긴급승인이 유력한 상황이다.
국내에서는 13개 품목의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이 진행 중이며, 셀트리온이 첫 코로나19 치료제(주사제) 개발에 성공했다. 대웅제약, 종근당, 신풍제약, 부광약품 등은 경구용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허가 받은 경구용 치료제는 없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그룹내 자금 에어로 투입, 투자자 달랠수 있을까
- '첫 선' 모태 과기부 AI 출자, 정시 서류탈락자 '북적'
- [윤석열 대통령 탄핵]UAE국부펀드, '토종 헤지펀드' 출자 속도낸다
- [thebell note]리브스메드, 한국의 포드될까
- IPO 개선안에 코벤·하이일드펀드 투자자 불만 고조
- [Red & Blue]'삼성전자 파트너' 미래반도체, 관세 유예 소식에 '활짝'
- [i-point]해성옵틱스, 삼성전기 ‘2025 상생협력데이’ 품질혁신 대상
- 중소기업중앙회, 액티브 운용사에 최종 자금 집행
- 교보증권, 변동성 장세에 채권 라인업 강화
-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