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 분석]푸르밀, 신동환 대표 체제 조타수 '김재열' 발탁롯데푸드 출신 ‘식품 영업통’, 사내이사 등 경영 수뇌부 중책
박규석 기자공개 2022-01-17 08:11:29
이 기사는 2022년 01월 13일 07:4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푸르밀 이사회가 신준호 회장의 차남인 신동환 대표이사 사장 체제로 개편됐다. 신 회장이 등기임원에서 물러나면서 차남인 신 대표가 이사회 수장 자리에 앉았다. 신 회장의 부재로 생긴 이사회 공백은 지난해 말 취임한 롯데푸드 출신인 김재열 부사장이 맡게 됐다.1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푸르밀은 지난 11일 故(고) 신격호 롯데 회장의 동생인 신 회장이 대표이사직을 내려놨다고 공시했다. 신 회장이 대표이사에서 물러나면서 푸르밀의 이사회는 신 대표를 중심으로 한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하게 됐다.
동시에 신 대표의 경영 승계도 사실상 마무리되게 됐다. 일찍이 신 회장은 신 대표를 사내이사로 올리며 경영권 승계를 위한 토대를 다졌다. 2018년에는 당시 부사장이던 그를 신임 대표로 선임하며 본격적인 2세 경영의 시작을 알렸다. 하지만 신 회장이 대표이사직과 등기임원을 유지했던 만큼 신 대표의 위치는 ‘후계자’라는 꼬리표를 떼기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 회장의 대표이사 사임은 그간 준비해온 경영권 승계의 최종 단계라는 게 업계 평가다. 신 회장이 푸르밀의 지분 60%를 보유해 대주주 지위를 유지하고는 있지만 실질적인 경영은 신 대표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여건이 마련됐기 때문이다.

특히 이사회는 신 회장의 부재로 신 대표의 영향력이 더욱 공고해졌다. 신 회장의 장녀인 신경아 이사가 등기임원으로 이름을 올리고는 있지만 ‘기타비상무이사’라는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사내 영향력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해 말 취임해 올 초 사내이사로 이름을 올린 김재열 부사장 역시 신 대표의 경영을 보좌하는 역할이 크다. 롯데푸드 출신인 그는 롯데푸드 영업전략부문장 이사와 빙과영업담당 상무, 홈푸드사업담당 전무 등을 역임한 후 현재 자리에 올랐다. 롯데그룹 내에서는 식품 B2C 영업 전문가로 꼽힌다.
푸르밀이 김 부사장을 영입한 배경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신 대표와 함께 실적을 개선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푸르밀은 2018년 15억원의 영업손실 이후 현재까지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푸르밀이 신 대표를 중심으로 새롭게 경영 체계를 구축한 만큼 사업측면에서 변화도 함께 꾀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푸르밀 관계자는 “김재열 부사장은 지난해 말 취임했으며 신 대표를 도와 경영 총괄을 담당하며 실무적인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며 “향후 최종 의사 결정권자인 신 대표를 중심으로 수익성 제고 등에 힘쓸 것 ”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교현 롯데케미칼 부회장 "일진머티리얼즈, 좋은 회사"
- 우리금융 회장 DLF 행정소송 2심 선고 '22일'로 연기
- TS인베, 4개 본부 체제 조직개편…세대교체 신호탄
- 국보·보그인터내셔날 "카타나골프와 골프 기어 MOU"
- [케이뱅크 IPO]카카오만으로 역부족, 피어그룹 외국계 2곳 포함
- [IPO 모니터]대성하이텍, 탄탄한 해외사업 불구 '확실한' 가격 메리트
- 이차전지 산파 CIS, 사업확대 발판은 '해외수주력'
- 삼성전자, 중요성 평가 'SCM' 키워드 첫 등장
- 리서치 조직 꾸리는 코인 거래소…콘텐츠 경쟁 시작되나
- LG마그나, 해외법인 잇딴 투자…믿는 구석은
박규석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윤홍근 BBQ 회장, 베트남 출국 '글로벌 확장' 속도낸다
- [편의점 빅4 차별화 전략]'후발주자' 이마트24, 점포 '차별화·특화' 개발 승부
- '주총 불참' 구미현, 공동지분 매각 조항에 발목 잡혔나
- [골프패션업 리포트]강태수 까스텔바작 부사장, 카테고리 ‘웨어→용품’ 확장 주도
- 신세계푸드, 리오프닝 기대 '외식·급식' 활성화 시동
- 롯데호텔 서울, 여름 공략 카드 '프리미엄 홈시네마'
- 지마켓글로벌, 신세계 '멤버십·새벽배송' 시너지 시동
- '배상민 체제 2년' 국순당, 사업 리빌딩 '수익·재무' 결실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점검]풀무원, 이사회 독립성 원천 '선임사외이사'
- 전자랜드, 온오프 투트랙 강화 '적자탈출'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