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KL·VL인베, LS니꼬동제련 안정성에 딜 '속전속결' 논의 4개월 만에 막판 협상 단계, IPO 통한 엑시트 유력
조세훈 기자공개 2022-02-22 08:37:23
이 기사는 2022년 02월 21일 16:46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사모펀드(PEF)운용사 JKL파트너스와 VL인베스트먼트가 일본 2대주주가 소유한 LS니꼬동제련 지분을 인수한다. 논의 4개월 만에 속전속결로 협상을 이어와 딜 종결을 눈앞에 두게 됐다. 글로벌 시장에서 안정적인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LS그룹이 보장하는 딜이라는 점이 빠른 협상의 배경으로 꼽힌다.2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JKL파트너스와 VL인베스트먼트는 일본의 합작투자법인 JKJS(한일공동제련)이 보유한 LS니꼬동제련 지분 49.9%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거래금액은 약 8000억원이다. 지난해 10월부터 협상을 이어오고 있으며 상세 실사는 마무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세부 사항을 놓고 막판 줄다리기 중이다.
인수 구조는 JKL파트너스가 지분 33.3%를 인수하고 남은 16.6%는 VL인베스트먼트가 책임지는 형태다. LS니꼬동제련의 사업 안정성이 뛰어나 거래금액의 상당액은 인수금융으로 충당하기로 했다.
LS니꼬동제련은 1999년 LG금속과 일본 최대 구리 생산회사인 JX금속이 주축이 된 JKJS 컨소시엄이 합작해 설립됐다. 2005년 LG전선그룹이 LG그룹에서 계열 분리한 뒤에는 LS니꼬동제련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고순도 유리(전기동) 등을 비롯한 귀금속에서 세계 2위의 생산량을 갖추고 있다. 지난해에는 매출 10조원, 영업이익 300억원을 기록했다.
알짜 사업으로 분류되지만 니꼬그룹이 사업 재편을 추진하면서 매물로 나오게 됐다. JX금속은 구리 채굴량이 20만t, 구리 제련 능력이 45만t에 이르는 세계적인 구리회사다. 지난해부터 동제련 사업에서 철수하고 금속과 리사이클, 첨단소재 등 신성장 분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신규 투자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LS니꼬동제련의 지분을 매각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JKL파트너스와 VL인베스트먼트는 추후 LS니꼬동제련의 기업공개(IPO)를 통해 투자금을 회수한다는 방침이다. LS그룹이 하방안정성을 보장하고 있어 크레딧 성격의 투자라는 해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오름테라퓨틱, 'ADC+TPD' 항암제 임상 1상 진입
- 블루베리NFT-현대백화점, 팝업스토어 이벤트 마무리
- '3000억 베팅' NVC파트너스, 메쉬코리아 공동 경영 나선다
- SK에코플랜트의 자회사 'TMI'
- [건설사 시공능력 점검]한신공영, 시평순위 주춤…선별수주 전략 선회
- [건설사 시공능력 점검]동양건설산업, 9년만에 50위권 첫 진입
- [thebell interview]비즈니스캔버스 "즐겁게 함께 일하는 문화 확산 기여하겠다"
- 퀀텀벤처스, 'LP지분 유동화' 펀드 만든다
- CJ CGV, 영구CB 발행 불구 신용도 방어 힘겹다
- [IPO 모니터]서울보증 주관사 경쟁, 은행계 하우스가 거머쥐나
조세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노앤파트너스, 전기차 넘어 수소차 시장 투자 '진격'
- 운용사 품은 포레스트파트너스, 종합 투자사 받돋움 '눈길'
- '중흥 체제' 대우건설, 사이판 리조트 매각 재도전
- 홍종성 2기 체제 딜로이트안진, '성장'에 방점 찍었다
- 메가스터디교육 매각, 이번엔 의기투합한 '손주은·손성은' 형제
- 'mRNA 백신 원료 생산' 솔루스바이오텍, 해외 원매자 러브콜 '함박웃음'
- [2022 더벨 M&A 포럼]"변동성의 시대, 현금창출 기업·딜 하방 안정성 구축 주목해야"
- '가격vs종결 안정성' 고심 커진 넥스플렉스 새 주인 찾기
- 글로벌 독서앱 1위 인셉션XR, 투자유치 추진
- '1년만에 2조딜 OK' 조영식 회장, 글로벌 기업 변신 '통큰 베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