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리포트]요진건설산업, 업황 부진에도 4년 연속 실적 '우상향'원가율 84%대, 3년 동안 지속해 감소…일산 와이시티, 평택 미군기지 덕 톡톡
성상우 기자공개 2023-04-20 07:46:36
이 기사는 2023년 04월 18일 15시5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요진건설산업이 건설업 전반에 닥친 불황에도 불구하고 실적 성장세를 이어갔다. 4년 전 1900억원대까지 떨어졌던 매출 외형이 매년 반등세를 이어가는 모양새다. 특히 원가율이 3년 연속 안정세를 보이며 80% 초반대까지 떨어뜨리는 기염을 토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요진건설산업은 지난해 매출 2779억원, 영업이익 220억원을 기록했다. 순이익은 107억원이다. 이 기간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7.9%, 3.8%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4년 연속 상승세다. 영업이익의 경우 2019년 이후 대비 7배 가량 늘었다. 매출은 1910억원대에서 2780억원대로 크게 뛰었다. 이 기간 영업이익률은 1%대에서 8% 수준까지 올라왔다. 지난해 국내 건설업 전반에 불어닥친 불황과 부동산 PF 리스크, 원자재값 상승으로 인한 각 현장의 사업성 악화 등을 고려하면 눈에 띄는 실적이다.
대부분의 중견 건설사들의 경우 지난해 실적 부진을 크게 겪었다. 특히 매출 규모를 가까스로 유지하더라도 수익성 측면에서 큰 타격을 본 곳이 많았는데 요진건설산업의 경우 수익성을 오히려 상승세로 돌려놓는 기염을 토했다.
매년 이어지는 수익성 개선세는 원가율 사수 덕분에 가능했다. 지난해 큰 폭의 원가율 상승을 겪었던 대부분의 중견사들과 달리 요진건설산업은 최근 3년 연속 원가율이 하락세다. 2020년 말 기준 90.2%였던 매출원가율은 이듬해 87.1%대로 떨어지더니 지난해 말 84.3%까지 낮아졌다.
기록적인 불황에도 원가율을 지킬 수 있었던 배경엔 무리한 사업 확장을 자제한 경영 기조가 있다. 요진건설산업은 지난 2015~2016년 4000억~5000억원에 육박하는 연매출을 냈다. 지만 이후 매년 실적 하락세를 거듭하며 2019년 1900억원대까지 외형이 쪼그라들기도 했다. 당시 몇 년 만에 처음으로 적자 전환을 했다. 이후 회사는 매년 무리하지 않는 안정적인 성장을 추구해왔다.
실제로 지난 3년간 실적 지표를 보면 대부분의 수치가 개선되고는 있지만 큰 폭의 상승은 없었다. 안정적이면서도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해왔다. 원가율 역시 주요 메인 사업장을 중심으로 수익성을 지키는 데 집중하고 무리한 수주 확대를 자제한 데서 관리가 가능했다.
지난해 실적을 견인했던 주요 사업장으로는 △일산 요진와이시티(Y CITY) 업무시설(관공서) 신축공사와 △평택패밀리하우징신축공사 현장이 꼽힌다.
일산에서 가장 높은 아파트 단지로 꼽히는 와이시티 업무시설 공사 사업장에선 지난해 약 415억원의 공사매출이 인식됐다. 평택 패밀리하우징은 평택 주한미군기지인 캠프험프리 내 주택단지 공사다. 2019년 수주한 사업장으로 지난해 공사매출 계상액은 약 490억원이다. 그 밖에 평택고덕신도시 지식산업센터와 쉥커코리아 글로벌 배송센터 신축공사 현장에서도 각각 300억원대, 200억원대의 매출이 계상됐다.

순이익은 지분법 손실액 감소로 전년 대비 늘어나는 효과를 봤다. 주요 지분법 인식 자회사들의 손익이 전년도 225억 적자에서 166억 적자로 줄면서 영업외 비용으로 차감되는 액수가 줄었다. 특히 자회사 중 YJ싱가폴홀딩스(YJ Singapore Holdings.Pte. Ltd.)의 순손실이 전년도 217억원에서 지난해 99억원으로 감소한 이 컸다.
요진건설산업 관계자는 이번 실적에 대해 "지난해의 경우 주요 사업장들의 사정이 전반적으로 괜찮았다"며 "사업을 무리하게 확장하지 않고 포트폴리오를 안정적으로 가져가려는 성향이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제일엠앤에스 시장복귀 여정]거래소에 상폐 이의신청서 제출 '해명절차 착수'
- 현대차, 1분기 미국서 반짝 성장…본게임은 2분기부터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라구나인베·TS인베, 신기술 분야서 문체부와 인연 물꼬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IP직접투자, 카스피안캐피탈 선정…KVIC 첫 인연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이변 없었던 '문화일반', 케이넷투자 2관왕 달성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핑크퐁' 스마트스터디벤처스, 'IP 분야' 재도전 성공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수출분야, 문화투자 VC 싹쓸이…크릿벤처스 '재수' 성공
- [i-point]신테카바이오, AI슈퍼컴퓨팅 센터 ‘ABSC’ 홈페이지 오픈
- 금호건설, 에코델타시티 아테라 '순항'
- [디아이동일 줌인]동일알루미늄 흡수합병, 경영 효율성 '방점'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신테카바이오, AI슈퍼컴퓨팅 센터 ‘ABSC’ 홈페이지 오픈
- [i-point]인텔리안테크, '저궤도' 시대 맞아 유텔샛 원웹과 동맹 강화
- [i-point]케이쓰리아이, 말레이 체험관 현지 '랜드마크'로 "글로벌 공략 시작"
- [thebell interview]이승준 원일티엔아이 전무 "LNG 넘어 수소 시대 선점, 연관기술 내재화"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글로벌 1위’ 인텔리안테크, 지상용·저궤도 장악
- [뉴파워프라즈마 줌인]도우인시스 자회사 편입에 계열사 자금 동원
- [i-point]옵트론텍, 과천 신사옥으로 확장·이전
- [i-point]미래컴퍼니, 파라과이서 레보아이 활용 첫 수술 성공
- [Company Watch]유리기판 '순항' 태성, 중우엠텍에 'TGV 에칭기' 추가 공급
- [뉴파워프라즈마 줌인]8년 공들인 도우인시스, 몸값 4000억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