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콘 파이낸셜 스토리]'상장' 꿈꾸는 무신사에 주어진 과제 두가지③'밸류 견인' 아태시장 개척, '이익 실현역량 입증' 판관비 제어 부각
박동우 기자공개 2023-05-04 07:31:45
[편집자주]
'유니콘(unicorn)'은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사를 뜻한다. 현재 국내에는 23곳의 유니콘 기업이 포진해 있다. 스타트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혁신적 사업 아이템만 있었던 건 아니다. 자금을 확보하고 비용을 제어하는 최고재무책임자(CFO)의 분투도 유니콘 기업의 성공 신화를 뒷받침했다. THE CFO는 국내 유니콘 기업의 재무 구조와 CFO 면면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4월 27일 16:02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패션 이커머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국내 입지를 공고히 다진 무신사가 '상장'을 꿈꾸고 있다. 경영진은 내년 하반기 시장을 살핀 뒤 기업공개(IPO) 시점을 정하는 계획을 세웠다. 그 전까지는 '두 가지 과제'를 풀어나가는 데 집중한다.하나는 '밸류에이션 견인'이다. 아시아·태평양 시장을 개척하면서 내수 기업이라는 인식을 탈피하고 기업가치를 끌어올리는 구상을 그렸다. '안정적 이익 실현 역량'을 입증하는 일 역시 해결할 숙제다. 판매관리비 등을 제어해 사업 내실이 탄탄함을 어필하고 중장기 투자 매력을 갖춘 회사로 거듭나는 관건이기 때문이다.
◇2024년 이후 'IPO 추진' 염두
증시에 입성하는 과제는 무신사 경영진의 핵심 목표로 떠오르는 모양새다. 투자사에서 거액을 조달하며 회수 방안으로 IPO가 부각된 대목과 맞물렸다. 2019년에 미국계 모험자본 세쿼이아캐피탈이 1900억원을 집행하면서 제시한 투자 조건이 '5년 이내 상장'이었다.
무신사 관계자는 "2024년 하반기의 시장 동향을 파악한 뒤 상장 적기를 판단하겠다"며 "다만 2019년에 투자금을 유치하면서 설정한 '5년 이내 IPO' 조건은 의무 이행 사항이 아니고, 국내와 해외 중 어느 증시를 택할 것인지는 거론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올해 상반기 투자금을 유치하는 행보 역시 상장 로드맵에 탄력을 줬다. 무신사는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산업은행, IMM인베스트먼트 등에서 4000억원을 확보하는 데 집중해왔다. 투자 세부 조건을 협의하며 책정된 밸류에이션은 4조원 수준이다. 2019년 당시 평가받은 기업가치 2조2500억원과 견줘보면 4년새 1.7배 넘게 불어났다.
미래 상장에 우호적인 여건을 조성할 제일 과제는 '밸류업(value-up)'이다. 기업가치를 최대한 끌어올려야 무신사 주식의 거래 가격이 한층 높아지기 때문이다. 지분을 팔아 투자금을 회수하는 밑그림을 그려놓은 주주들의 이해와도 부합한다.
무신사 경영진은 해외 사업을 토대로 밸류에이션을 상향하는 방침을 택했다. 내수 시장에 의존한 성장이 한계에 도달할 수밖에 없다는 인식을 감안했다. 앞으로 기업가치 산정 국면에서 글로벌 기업을 유사기업군(피어그룹)으로 선정해도 시장에서 충분한 타당성을 얻겠다는 계산도 깔렸다.
아시아·태평양 권역을 국외 시장 공략의 첫 무대로 낙점했다. 소비 여력이 탄탄한 중산층 인구가 두텁게 형성된 데다 대중문화 트렌드가 유사한 대목을 눈여겨봤기 때문이다. 처음 기반을 다진 시점은 2021년으로 당시 무신사는 일본 법인을 설립했다.
지난해 하반기에 모바일 쇼핑 플랫폼 '무신사 글로벌 스토어'를 구축해 △미국 △일본 △싱가포르 등 13개 국가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올해 3월에는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가 운영하는 온라인몰 티몰글로벌에도 입점하면서 진출 권역을 넓혔다.
◇투자매력 지속 관건 '수익성 뒷받침' 판단
안정적 이익을 실현하는 회사로 자리매김하는 과업 역시 해결해야 할 숙제다. 시장에서 투자 매력을 계속 이끌어내려면 수익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판단했다.
이익 창출 수준이 현저히 악화하면서 위기의식이 형성된 영향도 작용했다. 별도 기준 영업이익률은 2021년 16.7%에서 2022년 8.4%로 반토막 났다. 계열사 실적까지 반영한 연결 기준으로 살펴보면 12.7%에서 0.5%로 급락했다.
신사업 부진 외에 판매관리비의 과도한 증가가 영향을 끼쳤다. 지난해 별도 기준 판관비는 3664억원으로 2021년(1794억원)과 견줘보면 1900억원가량 불어났다. 1년새 104.2%나 많아졌는데 같은 기간 매출 증가율 60.3%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판관비 구성 항목 가운데 △인건비(급여·퇴직급여·복리후생비) △광고선전비 △지급수수료 등이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해 집행한 인건비는 901억원으로 전년대비 96.5%나 늘었다.
790억원으로 나타난 광고선전비도 2021년 364억원과 비교하면 116% 넘게 확대됐다. 지급수수료도 2021년 377억원에서 2022년 715억원으로 89.7% 증가했다. 본업 수행에 따르는 비용이 지나치게 늘지 않도록 통제하는 노력이 이익률 상향의 열쇠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컴이노스트림, '도장 인식 시스템' 특허 취득
- [클라우드 키플레이어 MSP 점검] '신생' 안랩클라우드메이트, 최우선 과제 '포트폴리오 강화'
- [저축은행 예보한도 상향 여파]예보료율 인상 따른 비용 부담 확대 '우려'
- [JB금융 김기홍 체제 3기]후계자 준비 본격화…계열사 CEO 인선 촉각
- [저축은행 예보한도 상향 여파]'머니무브 효과' 수월해진 자금 유치…조달 개선 기대
- 나우어데이즈 신곡 '렛츠기릿', 주요 음원차트 진입
- [JB금융 김기홍 체제 3기]임추위 마음 사로잡은 '성장스토리 시즌2' 프리젠테이션
- 유연성·독립성 갖춘 코웨이 코디, 시공간 제약 없어 'N잡' 가능 눈길
- [SGI서울보증 IPO 돋보기]기한 내에서 최대한 신중히...예보도 팔 걷었다
- [JB금융 김기홍 체제 3기]'속전속결' CEO 승계 완료, 대체불가 리더십 입증
박동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피플 & 보드]'배당 창구' 코스트코코리아, 이사진 전원 '외국 국적'
- [보수위 톺아보기]출범 1주년 맞은 LS일렉트릭 보상위 '빛과 그림자'
- 베일에 가려진 임원 '보상기준'
- [피플 & 보드]10대그룹 총수일가 취임·승진, 미등기 사례가 '75%'
- [이슈 & 보드]카카오 투자·감사준칙 성패 좌우하는 '준법지원인' 면면은
- [Board Keyword]코오롱글로벌 이사진 화두 떠오른 '재무구조 개선'
- [그레이존 이사회 점검]'배당논란' 홈센타홀딩스, 박병준 회장 '혈연' 중심
- [보수위 톺아보기]IS동서 권혁운 회장 '미등기' 7년간 100억 수령
- [2024 이사회 평가]LS에코에너지, 4개 영역 '1점대'…외부등급도 '미흡'
- [2024 이사회 평가]동원시스템즈, 이사진 활동 모니터링 체계 '양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