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3년 05월 08일 07시5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수소란 언제나 공부 대상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에너지원에 대해 기사를 쓸 때면 차라리 희뿌연 연기를 내뿜는 석유화학 공장이나 여러 가지 모양의 2차전지 생각이 간절하다. 재무제표라도 쏙쏙 발라내 숫자나 사업적 히스토리를 끌어낼 수 있다면 좋겠다만 불행하게도 수소는 아직도 먼 미래 얘기다.그럴 때일수록 일하며 만난 취재원들을 집중해서 떠올린다. 탄소중립 에너지를 북돋기 위한 코멘트가 오가는 상황에서도 이익실현은 언제쯤 가능할지, 초창기 사업 계획에서 미뤄진 건 없는지와 같은 품고 있는 질문을 던져야 했다. 그렇지만 이내 집중하게 만든 이들의 공통된 한마디. "저희 자신 있어요".
누군가는 안쓰러워하기도 한다. 당장 청정수소를 개발한다고 해도 유의미한 수요가 없을 텐데 어쩔 거냐고. 수소에 대한 관심이 식었고 청정수소 발전시장 개설 시점은 이미 많이 늦었다고. 그러게 왜 그들은 녹록지 않은 길에 뛰어든 걸까. 강렬한 자신감의 표현을 들여다보면 답이 나온다. 어려운 만큼 기회가 확실하기 때문이다.
수소 경제가 반드시 도래할 거라고 굳게 믿기 때문이기도 하다. 무엇보다도 업계는 안다. 수소라는 건 언뜻 보면 탄소중립 시대에 수많은 대체 에너지원 중 하나에 그치지만 종국에는 개발과 생산, 저장, 운송, 활용에 이르는 막대한 에너지 자산이 될 수 있다는 걸. 결국 단단한 경제 생태계에 대한 믿음 때문에 투자하고 또 투자한다.
최근 황진구 롯데케미칼 대표이사와 나눈 이야기가 유독 기억에 남는다. 그는 "이 얘기만은 꼭 드리고 싶습니다. 올 한 해를 우리가 그동안 뿌린 씨앗을 걷어들이는 시간으로 만들어 보려 합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소 사업은 로드맵을 따라 잘 성장하고 있다며 늘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지 못해 미안하다는 말도 덧붙였다.
롯데케미칼은 최근 대통령의 미국 순방에서도 세계 최대 암모니아 생산 기업 'CF인더스트리'와 루이지애나 지역 내 청정 암모니아 생산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 씨앗이 싹트면 또 어떤 열매를 맺는 걸까. 확실한 건 수소 업계가 내딛고 있는 모든 발걸음들은 결국 성공 스토리가 될 것이란 사실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동인기연, 필리핀 바타안경제특구청과 협력 강화
- [i-point]태성, 임대공장 계약 "복합동박 장비 초도물량 대응"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베트남 생산비중 높은 HS효성, '고관세' 영향 불가피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고ROE와 상반된 PBR…중국공장 신설효과 기대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
- NH증권 점프업리그, 해외로 확장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KB국민은행, 가판대 대폭 조정…한·중 펀드에 힘
이호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무관세' 종료 美시장…KG스틸USA, 실적유지 가능할까
- 아주스틸, 420억 손상차손…PMI 통해 자산 재평가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단기금융상품 '두배 늘린' KG스틸, 유동성 확보 총력
- CJ대한통운, 신사업 ‘더운반’ 조직개편 착수
- ㈜LS, 배당 확대 시동…2030년까지 30%↑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제철소 4.25조 조달 '안갯속'…계열사 ‘책임 분담’ 주목
- 고려아연, 경영권 수성…MBK와 장기전 돌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