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 폐기물 재활용업체 인수 추진 배경 '범그룹 시너지' 높은 진입 장벽 탓 PE 파트너 물색, 그룹 정유사업 ESG 이슈 해소 가능
감병근 기자공개 2023-06-26 07:51:26
이 기사는 2023년 06월 22일 10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GS건설이 재무적투자자(FI)와 협력해 폐기물 재활용업체 인수를 추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제한된 플레이어들이 주도권을 쥔 재활용 시장에서 전문 FI들의 도움이 필요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인수에 성공할 경우 자체 운영 중인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은 물론 GS그룹 정유사업 부문과 시너지도 클 수 있다는 평가다.22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GS건설은 폐기물 재활용업체 인수를 논의하기 위해 국내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3~4곳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GS건설은 이들 중 한 곳이 설립하는 프로젝트펀드에 300억원 가량을 출자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GS건설은 인수 우선 순위로 폐플라스틱 재활용업체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국내 대형 폐플라스틱 재활용업체가 희소해 1000억원대 매물을 구하기는 어렵다는 평가다. 이에 폐기물 수집·운반업체를 추가로 인수, 페플라스틱 재활용 관련 수직계열화를 시도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GS건설이 직접 인수에 나서지 않고 PEF 운용사를 찾아간 이유로는 폐기물 재활용 시장의 진입 장벽이 높다는 점이 꼽힌다. 폐기물업계는 복잡한 인허가, 지역주민과 마찰 등으로 초기 사업자가 진입하기 쉽지 않은 시장으로 여겨진다.
특히 재활용과 수집·운반 분야는 어느 정도 대형화된 소각·매립 등 처리 분야와 달리 소형 업체들로 대부분 구성돼 있다. 이는 관련 경험이 적은 GS건설 입장에서는 더욱 인수 난이도를 높이는 요인이 될 수 밖에 없다.
GS건설이 폐기물 재활용 및 수집·운반 업체를 확보할 경우 누릴 수 있는 시너지는 확실하다는 평가다. 현재 영위 중인 폐배터리 재활용사업의 경우도 폐가전 수집·운반 업체 인수로 사업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다만 투자업계에서는 이보다는 GS그룹 차원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이번에 GS건설을 통해 규모가 있는 폐플라스틱 재활용업체 인수에 성공하면 GS그룹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한 정유부문 계열사들이 큰 시너지를 누릴 가능성도 높다는 설명이다.
세계적 환경규제 강화로 정유사들은 원유에 일정 비율 이상의 재생유를 의무적으로 혼합해야 하는 상황이다. 국내 역시 2025~2026년경 관련 입법이 이뤄질 것으로 보는 의견이 많다. 재생유는 보통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추출한다. 이에 최근에는 폐플라스틱이 새 플라스틱보다 높은 가격을 인정받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GS그룹 입장에서는 GS건설이 폐플라스틱 재활용 관련 사업체계를 확보할 경우 주요 ESG 이슈에 안정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셈이다. 재활용 업체를 직접 인수하는 PEF 운용사나 펀드에 투자할 다른 LP도 인수 업체가 안정적인 거래처를 확보한다는 점에서 좋은 투자가 될 수 있다는 평가다.
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GS그룹의 방계인 코스모화학까지 생각한다면 GS건설의 폐플라스틱 재활용 업체 인수는 여러모로 긍정적인 부분이 많다”며 “다만 GS건설과 FI들의 눈높이에 맞는 업체를 찾아내고 이를 인수로 연결시킬 수 있는 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동인기연, 필리핀 바타안경제특구청과 협력 강화
- [i-point]태성, 임대공장 계약 "복합동박 장비 초도물량 대응"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베트남 생산비중 높은 HS효성, '고관세' 영향 불가피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고ROE와 상반된 PBR…중국공장 신설효과 기대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
- NH증권 점프업리그, 해외로 확장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KB국민은행, 가판대 대폭 조정…한·중 펀드에 힘
감병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P Radar]'역대 최대 출자' 산재기금, PEF 시장 존재감 커진다
- 대형 조선사, SK오션플랜트 관심 배경 '신규 야드'
- '3조 몸값 반토막' 젠틀몬스터, 구주 거래 밸류 떨어진 이유는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몸값 6000억 현실성 있나 'PE들 회의적'
- '1조 몸값에 구주 취득' 룩소티카, 젠틀몬스터 지분 20% 확보
- 신생 코발트인베-VCM 컨소, 엠플러스운용 인수 완주할까
- 애경그룹, AK플라자 대신 중부CC 파는 이유는
- IMM인베, 1.5조 목표 '10호 인프라펀드' 조성 본격화
- [thebell League Table]김앤장, 1위 지켰다...세종·광장 초박빙 2위 경쟁
- [한화 아워홈 인수추진]'펀딩 순항에도…' 삼녀, 한화 딜 클로징에 의구심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