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텍 열전]'3차원 조직 배양' 스페바이오 시리즈A 45억 완료①엑소좀 신약개발 뒷받침할 수익 사업 탑재하며 FI 러브콜
최은수 기자공개 2023-09-07 09:19:40
[편집자주]
최근 제약바이오를 향한 투자 분위기가 경색되고 있다. 비상장 기업이 3000여개가 넘는다는 잠정 집계가 나올 정도로 창업 열기가 뜨거웠던 상황과 대조되는 분위기다. 그러나 이런 상황 속에서도 투자 유치를 하며 사업성과를 쌓아 나가는 바이오텍은 있다. 더벨은 유의미한 사업성과를 기반으로 투자자의 선택을 받은 신약개발 바이오텍을 만나봤다.
이 기사는 2023년 09월 05일 08시1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설립 4년차 신생 바이오텍 스페바이오가 3차원으로 조직을 배양하는 기술로 시리즈A 자금 조달을 마무리했다. 한국투자파트너스와 컴퍼니케이파트너스가 주요 투자자로 참가했다. 조달자금은 3D조직배양기술의 고도화와 바이오 소재 사업화를 통해 조기 수익 창출을 위한 마중물로 사용한다.◇펀딩난 딛고 FI 통한 초기 투자 완료… 특색 있는 '바이오 소부장' 눈길
스페바이오는 지난달 말 한국투자증권, 컴퍼리케이파트너스, 파라투스인베스트먼트, 히스토리액트원 등을 대상으로 총 45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마무리했다. 3년 전 설립 후 누적 투자금은 총 56억원이다.
이 회사는 안근선 대표가 2020년 창업한 바이오 벤처다. 그는 포스텍(POSTECH) 석사 출신으로 바이오소재 연구개발(R&D) 및 사업화 경력 10년차의 전문가다.

설립 초창기 바이오텍 가운데선 드물게 매출이 나오는 점이 투자자들을 사로잡았다. 분리 ·정제 기술서비스를 기반한 R&D 용역서비스를 통해 위탁 용역 매출을 창출하고 있다.
바이오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의 경우 국내에서 전문적으로 다루는 업체가 드물다. 상장사 가운데선 티앤알바이오팹이 손에 꼽힌다. 안 대표는 티앤알바이오팹에서 조직공학 및 세포치료제를 개발하던 경험과 더불어 포스텍으로부터 기술이전(L/I)받은 원천 기술로 바이오 소부장 영역에서 남다른 길을 걷고 있다.
스페바이오는 현재 3D 바이오프린팅 기반 세포응집체(Cell Spheroid) 플랫폼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특히 정밀한 세포응집체 제작 기술을 이용해 균일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기술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이외 엑소좀 생산기술과 융합해 통합된 생산기술 플랫폼을 바탕으로 향후 응용 기술을 연구, 개발해 바이오산업에서의 혁신을 추구할 계획이다.
◇신약개발 위한 다양한 수익 창출 전략 탑재… CRO부터 소재사업+CDMO까지
스페바이오는 궁극적으로 신약개발을 지향한다. 다만 최근 어려운 투자시장 상황을 고려해 생체모방 생산기술과 바이오소재, 그리고 3D 기반 CDMO(유전자·세포치료제 위탁생산) 등으로 지속가능한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세부적으로 3D세포모델과 생물학적 제제의 생산 및 분석(R&D 용역)서비스는 20201년부터 사업화를 시작했다. 글로벌 뷰티·에스테틱 기업과 협업 관계를 구축하면서 화장품을 원료 공동개발 POC를 진행하는 성과를 창출하기도 했다. 이밖에 생산 및 체외(In vitro) 실험 구축을 위한 용역 서비스 사업화도 진행 중이다.
최근 생물학적 제제 R&D 트렌드가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그리고 엑소좀(exosomes)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꼽고 있다. 세포 외 소포에서 모달리티(치료 접근법)로 작용할 수 있는 특별한 인자를 뜻하는 엑소좀은 아직 상용화 된 의약품은 없지만 연구용 시장이 활발하게 커지는 중이다.
스페바이오의 바이오 소재의 사업화는 최근 ESG 트렌드에도 부합하는 분위기다. 글로벌 빅파마와 뷰티·에스테틱 기업의 화두는 ESG에 기반한 친환경 소재 도입인 것도 긍정 요인이다. 2030년까지 동물실험(Human·anamal-free)을 원천 배제하고 화학적 처리를 최소화(Minimizing chemical processing)한다고 선언한 로레알(LOREAL)이 대표적이다.
후속전략으로는 식물세포배양 기반 바이오 소재를 사업화하는 방안을 진행 중이다. 특히 식물 유래 성분(Cellus)을 추출할 때 발생하는 비효율을 제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스페바이오가 생산한 배양 제제가 기존 천연물 유래 성분 대비 순도·효능이 높은 게 강점이다.
안근선 대표는 "이번 조달 자금은 다양한 생물학적 제제 생산 원천 기술을 개발하고 스케일업을 위한 기술 개발, 그리고 바이오소재 사업화를 위한 자금으로 쓰인다"며 "장기적으로 글로벌 네트워크 확보를 비롯해 2026년 경 코스닥 상장 추진 등을 계획 중"이락도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슈 & 보드]롯데지주, 바이오로직스 또 베팅 '관세폭풍 두렵잖다'
- [Board Change]'전무 승진' 김성완 애경케미칼 CFO, 사내이사 연임
- 롯데의 '억울함'을 풀어줄 바이오로직스
- [ROE 분석]하나금융, 창사 최대 수익 성과...향후 계획은
- [ROE 분석]우리금융, '팬데믹 후 유일한 두자릿수'…2024년도 '톱'
- [ROE 분석]KB금융, 4대 지주 유일 '3년 연속 상승세'
- [인벤토리 모니터]셀트리온, 통합 후 마지막 잔재 '3조 재고자산'
- [SK의 CFO]SK케미칼, 묘수 찾아낼 '재무·전략통' 강석호 본부장
- [SK의 CFO]SK스퀘어, '그룹 상장사 유일 CFO 겸직' 한명진 대표
- [Board Change]삼성화재, 구영민 부사장 사내이사로 'CFO 출신만 2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