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 분석/아주그룹]배당 딱 두 번 아주글로벌, 변수는 '호텔 사업'②오너가 문윤회 대표 약 7억 수령…투자 우선 집행한 후 여력 볼 듯
이호준 기자공개 2023-10-31 07:38:49
이 기사는 2023년 10월 27일 10시0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아주글로벌은 오너 3세 문윤회 아주컨티뉴엄 대표의 개인회사나 마찬가지다. 아주글로벌의 지배구조는 '문 대표(69%)→아주글로벌→아주프라퍼티즈·아주컨티뉴엄·아주호텔서교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분만 봤을 때 이미 그룹의 일정 부분을 지배하고 있다.추후 어떤 방식으로든 승계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아주그룹의 모태 사업을 이끄는 지주사 ㈜아주와의 합병이 그 시나리오 중 하나다. 두 회사가 합병하면 현재 ㈜아주 지분이 없는 문 대표도 합병 비율에 따라 지분이 껑충 뛰어 지배력을 갖출 수 있다.
합병 전략과 더불어 아주글로벌 배당 수입을 토대로 한 소득 등도 문 대표의 승계 과정에서 이목을 끌 공산이 높아 보인다. 문 대표가 아주글로벌의 대주주인 만큼 급증한 회사 수익은 현금배당을 통해 문 대표의 호주머니로 고스란히 다시 들어갈 수 있어서다.
눈길을 끄는 건 아주글로벌의 배당 현황이다. 아주글로벌은 문 대표가 아버지 문규영 아주그룹 회장으로부터 지분을 양도 받은 지난 2010년 이후 현금 배당을 실시한 전력이 딱 두 번에 그친다. 2015년과 2017년에 각각 2억원, 7억9000만원을 배당한 상태다.
지분율에 따라 문 대표가 받은 배당금은 1억3800만원, 5억4500만원 수준이다. 비상장 개인회사가 승계 자금줄로 이용되는 통상의 오너가에 견줘 미미한 금액이다. 아주글로벌과의 탄탄한 지배 고리는 있지만 아직 수익 창출의 기회를 얻지 못한 셈이다.
다만 아이러니하게도 아주글로벌의 곳간은 차고 있다. 물론 이 회사의 순이익은 2017년 이후 들쭉날쭉했다. 2019년처럼 41억원의 순손실을 낼 때도 있었고 2020년처럼 187억원의 순이익을 낸 해도 있었다. 최근 2년간은 40억~50억원대 순이익을 기록 중이다.

하지만 배당 재원이 되는 이익잉여금은 우상향해 왔다. 2017년부터 3년간은 300억원 안팎의 규모를 유지하다가 최근 3년간은 '466억원(2020년)→524억원(2021년)→568억원(2022년)'으로 늘어왔다. 풍족해진 곳간을 자산 증식에 활용하지 않는 모습이다.
아주글로벌의 지배구조가 안정적으로 구축되지 않았다고 판단했던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아주글로벌은 최근까지도 보유 현금을 자회사인 아주컨티뉴엄에 우선적으로 써 왔다. 아주컨티뉴엄은 아주그룹의 신사업격인 '호텔 전문 투자회사'를 표방하는 곳이다.
아주글로벌은 2019년과 2020년 아주컨티뉴엄 유상증자에 약 400억원을 넣었다. 자금을 지원하고 지배력을 높이기 위함이었다. 그 대가로 아주네트웍스와 아주오토리움은 매각했다. 이제 회사는 자산가치를 높이기 위해 호텔 사업의 성장에 더 베팅할 수밖에 없다.
저평가된 호텔을 찾아 투자를 계속해야 해 배당 결정에 있어 아주컨티뉴엄은 여전한 변수일 가능성이 높다. 코로나 이후 움츠러들었던 업계가 기지개를 켜는 분위기라 투자에 방점을 찍고 자금을 우선 집행한 후 여력을 보고 배당을 고민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어차피 아주그룹은 아버지인 문규영 회장이 막대한 배당금을 해마다 받아간다"라며 "문 대표가 아주컨티뉴엄 성장에 관심이 큰 만큼 배당 수익보다 투자에 더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 [금융사 KPI 점검/우리은행]내부통제 실패하면 총점의 40% 감점한다
이호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업계 재편 불붙나...현대제철, 동국제강과 현대IFC 매각 논의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세금부담 줄어든 지금이 '증여 적기'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운전자본 가중 동국산업, 현금흐름 개선 묘수있나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성장보단 생존 우선...동국산업, 올해 만기 도래 '2200억'
- [thebell note]장세욱의 싸움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무관세' 종료 美시장…KG스틸USA, 실적유지 가능할까
- 아주스틸, 420억 손상차손…PMI 통해 자산 재평가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