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업 방향 굳힌 SK네트웍스, AI 활용 방안은 투자활동 진행하며 AI 성장성 확신, 가전·호텔 사업에 우선 접목
김위수 기자공개 2024-02-19 08:33:44
이 기사는 2024년 02월 16일 17시1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네트웍스를 수식하는 어구는 최근 10년 사이에 빠르게 변화했다. 2015년에만 해도 종합상사로 분류됐던 SK네트웍스는 2016년 SK매직, 2018년 SK렌터카 인수를 통해 렌털 분야로 사업을 다각화했다. 이 시기 SK네트웍스에게는 '렌털 종합회사'라는 꼬리표가 뒤따랐다.그러던 중 2020년에 접어들며 '사업형 투자회사'로의 전환을 선언했다. 투자부문을 강화하며 사업형 투자회사로의 도약을 준비, 2022년을 원년으로 포트폴리오의 중심을 투자로 옮기는 데 성공했다.
지금도 SK네트웍스는 사업형 투자회사로 회사를 표현하고 있다. 단 올해부터는 사업형 투자회사 앞에 '인공지능(AI) 중심'이라는 설명이 덧붙여진 점이 눈에 띈다.
◇활발한 투자 끝 투자방향 확립
SK네트웍스가 사업형 투자회사로서 눈에 띄는 투자활동을 보인 시기는 2022년이다. 당시 SK네트웍스 다양한 신사업 분야 초기 스타트업에 활발하게 투자해 주목받았다.
같은해 1분기에만 미국 뇌 회로 분석 기업 엘비스, 친환경 대체 가죽기업 마이코웍스, 국내 블록체인 기술 스타트업 블록오디세이 등에 대한 투자를 발표했다. 최대 2000만달러(약 267억원) 규모의 투자가 이뤄졌다. 이후에도 트랙터 무인화 기업, 메타버스 기업에 대한 투자가 이어졌다. 에스트래픽의 전기차충전사업부 인수도 시행했다.

여기에 더해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업총괄 사장(사진)의 주도로 미국 벤처 투자사인 보우캐피탈과 협력관계를 구축하기도 했다. 보우캐피탈의 비벡 라나디베 회장이 그간 글로벌 기술 투자 시장에서 활동해 온 만큼 향후 AI 관련 투자에서 협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AI 활용 방안은
SK네트웍스는 기존 사업에 AI를 적용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겠다는 계획이다. SK매직·워커힐 등을 통해 진행하는 사업들이 대상이 된다.
이를테면 가전 렌털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SK매직은 펫·실버케어·헬스케어 등 분야의 AI 신규 제품을 내놓겠다는 계획이다. 올해 중 AI 제품을 출시하는 것이 SK매직의 목표다. 신제품을 기반으로 미국·일본 등 글로벌 사업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2028년까지 영업이익률 20%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SK네트웍스의 호텔 브랜드인 워커힐은 AI를 접목한 콘텐츠를 도입한다. 앞서 워커힐은 아이돌 그룹 팬들을 위한 K팝 콘텐츠를 선보인 바 있다. 이런 'K컬처'와 AI를 접목한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을 계획으로 보인다. 신규 사업을 기반으로 2026년까지 객실 점유율 73%를 달성하는 것이 워커힐의 목표다.
엔코아는 SK네트웍스 AI 사업의 중심으로 계열사 등의 AI 도입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SK네트웍스는 2026년 7000억원의 영업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난해 SK네트웍스의 연간 영업이익은 2372억원으로 나타났다. 2년만에 영업이익을 세 배 올려야 하는 상황이다. SK네트웍스 관계자는 "사업 모델 혁신과 AI, 로보틱스 분야의 신규 성장 엔진 발굴 등의 성과가 연계되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위세아이텍, 대한소방공제회 사업 수주…데이터 기반 행정 고도화
- [i-point]감성코퍼레이션, 75억 규모 자사주 취득·소각
- [thebell note]글로벌세아그룹의 민간외교
- [thebell interview]"왓타임, 중고시계 1등 플레이어 목표…일본 공략"
- [VC 투자기업]리코, 585억 시리즈C 투자 유치…업박스 고도화
- 오거스트벤처, 영화투자 강자 급부상 '비결은'
- [김화진칼럼]보험 사기
- [리걸테크 스타트업 점검]엘박스, 투자 혹한기 깨고 시리즈C 성료 임박
- [달바글로벌 road to IPO]구주매출 고사한 FI…'오버행 우려' 기우일까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13곳 몰린 재도약, 나우IB·교보증권 탈락 이변
김위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League Table]시장 위축되자 딜 몰렸다…DB증권 1위 수성
- [thebell League Table]여전채 주관 경쟁 시작, KB증권 선두 유지할까
- [CFO 워치]이주랑 카카오페이증권 경영관리총괄, 과제는 '비용 관리'
- [로킷헬스케어 IPO]연구인력 일부 회사 떠났다…R&D 역량 영향없나
- [원일티엔아이 IPO]LNG 시장 훈풍, 할인율 높여 시장 친화적 밸류 어필
- 모회사 지원 부족했나, SK넥실리스 사모채 조달
- [증권사 생크션 리스크 점검]5년간 당국 제재 NH증권, 내부통제 마련 숙제
- [원일티엔아이 IPO]창업자 일부 구주매출, 보호예수는 '6개월'
- [IB 풍향계]신한투자증권 스팩 전략, 연초부터 '삐그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주관사 압축, 수수료율 낮춰 발행사-증권사 '윈윈'